주간동아 226

..

개성없는 대한민국 ‘출입국 印’

  • 입력2006-03-08 11:3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로마의 콜로세움, 파리의 에펠탑, 중국의 만리장성. 서울엔? 한국엔? 빛바랜 관광포스터 속의 한복 입은 여인을 내세우기엔 거리감이 있다. 그렇다고 달리 내세울 이미지도 마땅치 않다.

    역사 이후로 국가나 개인은 여러가지 형태로 자신의 권위와 정체성을 표현하고자 애써 왔다. 그 결과는 앞서 말한 것과 같은 유명 건축물로 나타나기도 했고, 국기와 같은 상징이나 인장(印章)의 형태로 남겨지기도 했다. 그 중에서도 조직과 개인을 나타내는데 널리 쓰인 인장의 역사는 흥미롭다. 중국은 진시황의 천하통일 이후 본격적인 인장제도를 확립하여 종류와 등급을 달리하여 사용했다. 황제는 새, 열후는 장, 관리는 인, 그리고 개인이 쓰는 사인으로 구분하여 불렀고 대별하여 관인은 인, 장, 인장으로 부르고 사인은 도장으로 불렀다.

    우리나라에서도 건국 신화의 주인공 환웅의 천부삼인을 시작으로 고려 의종 때 ‘인부랑’, 조선시대 때 ‘상서사’라는 부서를 두어 관인과 새보를 맡아 관리했다고 한다. 이렇게 오랜 역사를 가진 인장은 서명 혼용이 보편화된 요즘에도 서양권과는 달리 동양권에서는 그 중요도가 여전하다. 그러나 동서양을 불문하고 도장과 스탬프가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여권에 찍히는 비자와 출입국 스탬프가 그것이다.

    해외여행 자율화 이후 더욱 많은 사람들의 여권에 찍히게 된 비자와 출입국 스탬프는 친지들에게 하나의 자랑거리이기도 했다. 그것들은 입출국의 구분, 국가와 공항명, 출입국일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모양은 각국의 문화와 상징을 반영하듯이 개성적이다. 이 작고 복잡한 공간에 자국의 좋은 이미지를 심기 위해 치열한 디자인 경쟁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필리핀의 경우 입국인은 영어의 Arrival의 첫글자 A를 외형으로, 출국인은 Depature의 첫글자 D를 외형으로 하고 있다. 태국은 세모꼴로 변형을, 폴란드는 자국의 독수리문장으로 개성을 한껏 드러내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각국의 스탬프들을 살펴보면 그 나라에서의 추억이 새롭게 떠오르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출입국인은 어떠한가. 그야말로 무표정하다. 웃지도 않고 무뚝뚝한 표정인 것이다. 법무부 편람 규정대로 가로 30mm, 세로 20mm의 공간에 출국인은 타원, 입국인은 직사각형으로 개성이라곤 찾아보기 어려운 모양새다. 물론 한국만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조그마한 출입국인 하나가 대통령이 몸소 출연한 관광CF보다도 외국인들에게 더 좋은 이미지를 안겨주고 홍보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한국을 대표하는 얼굴이 거창하고 화려해야 하는 것만은 아니다. 조그마한 것에서도 한국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한국의 비자사증인 규격은 일본과 똑같다. 우연이라고 보기엔 왠지 개운치 않은 느낌이 든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