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3년 9월 경기 파주시 문산에서 열린 송환 국군포로 위문행사.이화여자중학교 학생들이 공연했다.
가장 쉽게 생각해볼 수 있는 방법은 전쟁 기간 행방불명된 참전자 수로부터 추산해나가는 것이다. 먼저 유엔군사령부가 1953년 8월 7일 유엔에 제출한 ‘휴전에 관한 특별보고서’는 국군포로 및 실종자 수를 8만2318명으로 집계했다. 종전 이후 54년부터 20여 년간 내무부가 가족들로부터 신고받아 집계한 추정인원은 총 9만 명에 조금 못 미쳤다. 74년 국방부는 이들 명단을 병적기록부와 대조해 총 5만5000여 명을 추려냈고, 93년부터 이중등록자 등을 다시 추려내 4만1954명으로 집계했다. 이들은 전사처리된 사람과 실종처리된 사람이 대략 반반을 이룬다.
최근까지 80명 귀환… 51명 생존
물론 이 실종자 수를 그대로 포로 수로 판단할 수는 없다. 가족이 없어 신고되지 않았을 개연성도 있고, 시신이 발견되지 않았거나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사망자도 많이 섞였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의용부대나 학도병, 치안대원, 후방사업에 동원된 민간인도 북한에 포로로 붙잡힌 경우가 적지 않다는 점은 집계를 더욱 어렵게 만든다. 정규군에 소속된 경우 병적기록부 대조를 통해 명단을 추릴 수 있지만, 정확한 기록 없이 참전했다 포로로 잡힌 경우는 사실상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북한 또한 포로 수를 한 번도 정확히 밝힌 적이 없다. 1953년 8월 24일 발표한 북한과 중공군의 최종전과에 따르면, 유엔군 살상자와 포로는 100만 명이 조금 넘고 한국군은 66만여 명에 달한다. 문제는 이 수치가 사망자와 포로를 구분하지 않았다는 사실. 이는 포로 송환 문제가 51년 6월 휴전협상이 시작되면서부터 가장 첨예하게 대립한 이슈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포로 수를 둘러싸고 양측은 팽팽한 견해차를 마지막 순간까지 좁히지 못했고, 북한은 이미 상당수가 사망했거나 전향해 귀가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전시 후방작업 동원이나 인민군 재입대 등의 형식으로 포로 신분을 ‘세탁’한 셈이다. 종전 이후 이들은 북한 공민 자격을 취득했지만 상당수가 탄광 등에서 강제노동에 시달려야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종전과 함께 북한이 최종 돌려보낸 국군포로는 얼마 안 된다. 1996년 국방부 국방군사연구소가 펴낸 ‘한국전쟁의 포로’ 보고서에 따르면, 포로 송환작업이 마무리된 53년 9월 6일까지 돌아온 국군포로는 총 8333명이다. 전쟁 기간 중에 교환한 부상자 수가 471명, 휴전 후 송환된 수가 7862명이었다. 같은 시기 송환된 한국을 제외한 유엔군 측 포로는 5124명이었다. 이는 유엔군이 돌려보낸 포로 수와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북한군 7만5823명, 중공군 6670명으로 총 8만2493명에 달했기 때문. 교환한 포로 수가 6배 이상 차이 나는 셈이다.
1994년 조창호 소위가 탈북 귀환한 이후 최근까지 국군포로 80명이 돌아와 현재 51명이 생존해 있다. 국방부는 이들과 탈북자들의 진술을 토대로 현재까지 북한에 생존한 것으로 추정되는 국군포로를 500여 명으로 추산한다. 아무리 낮춰 잡아도 80 전후의 연령대일 이들이 언제까지 살아 있을지는 짐작조차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