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마지막 날인 1월 24일 동대구역에서 황당한 일을 겪었습니다. 당초 가족이 함께 서울로 오려고 동대구역과 서울역 간 KTX 동반석 4인용 좌석을 예약해뒀습니다. 세트로 묶어 팔기 때문에 가격 할인율이 높습니다. 문제는 집안일 때문에 혼자만 서울로 올라오게 되면서 벌어졌습니다.
기자가 탈 좌석 1개만 놔두고 나머지 3개는 취소하려고 역에 갔더니 매표소 직원이 “동반석은 좌석별로 취소가 안 된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동반석 예약 전체를 취소하고 다른 차표를 구해 가든지, 그냥 4개 좌석 값을 모두 지불하고 홀로 앉아 가는 방법밖에 없다는 얘기였죠. 매표소 직원은 동반석의 개별 좌석 환불금지 원칙만 반복하며 은근히 암표 장사를 부추겼습니다.
KTX 동반석은 개별 좌석의 반환이 왜 안 되는 것일까요? 답은 뻔합니다. 동반석 수요가 없는 평일에 반환을 해주면 손해를 입기 때문이죠. 여기까지는 이해가 갑니다. 고객 처지에서도 동반석 전체를 반납한 후 좀 더 비싼 일반석 표를 새로 구해 타면 되니까요. 문제는 동반석 4개 좌석 예약을 개별로 취소해줘도 즉시 표가 팔리는 연휴나 명절 때도 이런 말도 안 되는 원칙을 그대로 적용한다는 데 있습니다. 예약발권시스템을 조금만 고치면 모두가 편할 수 있는데 말입니다.
요즘 정부가 경쟁을 통한 수익성 증대를 위해 KTX의 일부 운행구간(수서역 출발)을 민영화한다고 합니다. 그간 ‘가재는 게 편’이던 철도공사가 이례적으로 대놓고 반발하는 모양새입니다. “적자가 많은데도 적자 노선(인천공항철도)을 강제로 떠넘기고 흑자 노선은 대기업에 주려 한다”는 주장이죠. 논리적으론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정부가 주장하듯 1개 노선의 운영권을 1개 민간기업이 가져가는 방식이라면 민영화를 하더라도 경쟁은 없고 운임만 올라갈 소지가 큽니다. 상대적으로 안전성은 떨어지고요. 고속철도 민영화를 이룬 영국과 일본이 대표적인 본보기죠.
하지만 철도공사는 정부와 시민 사이에서 왜 걸핏하면 민영화 주장이 나오는지 잘 생각해봐야 합니다. 연례행사처럼 반복되는 KTX 고장과 역 무정차 통과, 5분 이상 연착 후에도 사과방송 한 번 안 하는 몰염치, 비싼 환불 수수료…. 적자 해소라는 명목 아래 이렇듯 고객 서비스를 포기한다면 고속철도 민영화 요구는 들불처럼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
기자가 탈 좌석 1개만 놔두고 나머지 3개는 취소하려고 역에 갔더니 매표소 직원이 “동반석은 좌석별로 취소가 안 된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동반석 예약 전체를 취소하고 다른 차표를 구해 가든지, 그냥 4개 좌석 값을 모두 지불하고 홀로 앉아 가는 방법밖에 없다는 얘기였죠. 매표소 직원은 동반석의 개별 좌석 환불금지 원칙만 반복하며 은근히 암표 장사를 부추겼습니다.
KTX 동반석은 개별 좌석의 반환이 왜 안 되는 것일까요? 답은 뻔합니다. 동반석 수요가 없는 평일에 반환을 해주면 손해를 입기 때문이죠. 여기까지는 이해가 갑니다. 고객 처지에서도 동반석 전체를 반납한 후 좀 더 비싼 일반석 표를 새로 구해 타면 되니까요. 문제는 동반석 4개 좌석 예약을 개별로 취소해줘도 즉시 표가 팔리는 연휴나 명절 때도 이런 말도 안 되는 원칙을 그대로 적용한다는 데 있습니다. 예약발권시스템을 조금만 고치면 모두가 편할 수 있는데 말입니다.
요즘 정부가 경쟁을 통한 수익성 증대를 위해 KTX의 일부 운행구간(수서역 출발)을 민영화한다고 합니다. 그간 ‘가재는 게 편’이던 철도공사가 이례적으로 대놓고 반발하는 모양새입니다. “적자가 많은데도 적자 노선(인천공항철도)을 강제로 떠넘기고 흑자 노선은 대기업에 주려 한다”는 주장이죠. 논리적으론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정부가 주장하듯 1개 노선의 운영권을 1개 민간기업이 가져가는 방식이라면 민영화를 하더라도 경쟁은 없고 운임만 올라갈 소지가 큽니다. 상대적으로 안전성은 떨어지고요. 고속철도 민영화를 이룬 영국과 일본이 대표적인 본보기죠.
하지만 철도공사는 정부와 시민 사이에서 왜 걸핏하면 민영화 주장이 나오는지 잘 생각해봐야 합니다. 연례행사처럼 반복되는 KTX 고장과 역 무정차 통과, 5분 이상 연착 후에도 사과방송 한 번 안 하는 몰염치, 비싼 환불 수수료…. 적자 해소라는 명목 아래 이렇듯 고객 서비스를 포기한다면 고속철도 민영화 요구는 들불처럼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