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96

..

우리 신화 원형 ‘서사무가’ 아십니까

오랜 세월 무속 편견 때문에 神性 상실 … “친근하고 흥미진진” 재야 학자들 대중화 시도

  • 김현미 기자 khmzip@donga.com

    입력2003-07-31 10:1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리 신화 원형 ‘서사무가’ 아십니까
    ”옛날 옛적, 그 옛날에서 더 먼 옛날 옛적, 거기서 또 한참 더 먼 옛날 옛적, 더 갈 수 없는 끄트머리 옛날 옛적에 하늘과 땅이 처음으로 생겼는데, 이때는 하늘과 땅이 지금처럼 떨어져 있지 않고 서로 맞붙어 있었더란다. 그러다가 어느 날 하늘과 땅 사이에 금이 생겨, 그 금이 점점 벌어지면서 하늘과 땅이 갈라지게 됐단다. 떨어진 땅에서는 산이 솟아오르고 골이 깊게 패여 물이 흐르고, 흐르는 물이 고여 바다를 이루었지.”(‘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신화’에서, 이하 ‘우리 신화’)

    한국에는 문헌기록으로 전해지는 창세신화가 전무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12세기 이규보의 서사시 ‘동명왕편’에 ‘元氣判沌渾, 天皇地皇氏(원기 혼돈이 개벽되니 천황씨 지황씨가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이 전부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단군신화는 환인의 아들인 환웅의 아들 단군의 건국이야기를 전하지만 정작 창조자인 환인의 천상에서의 행적이 누락돼 있다. 신화연구가 이인택씨는 “환인의 창조신화가 단군의 건국신화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창조 관련 이야기가 사라졌다”고 말한다.

    한때 반고(우주거인으로 혼돈상태에 있던 하늘과 땅을 갈라놓은 창조자)나 여와(진흙으로 인간을 빚음) 같은 창조신이 등장하는 중국의 창세신화와 같은 우리 고유의 창조신화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으나 지금은 창조신 숭배가 쇠퇴하고 제의 행위가 사라지면서 창조신화도 함께 소멸한 것으로 추정한다. ‘한국의 신화 이야기’의 저자인 이지영 박사는 “신화는 제의를 통해 전승되며 제의가 중단되면 신화의 전승도 중단되어 해당 신화가 사라지거나 또는 단순히 재미있는 이야기 내지 전설로 변질된다”며 신화의 탄생과 왜곡, 소멸 과정을 설명했다.

    창조신 제의 중단 후 전설로 변질

    우리 신화 원형 ‘서사무가’ 아십니까

    서사무가 속의 신화를 연구하고 있는 류인열씨.

    그러나 국문학과 민속학계의 구비문학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서사무가에서 잃어버린 우리 신화의 원형을 찾으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무가(巫歌)란 무당들이 제의(굿)를 치르는 과정에서 불렀던 노래로 대부분 신화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1923년 손진태가 채록한 김쌍돌의 ‘창세가’와 함경남도에서 전래되는 ‘셍굿무가’다. ‘창세가’는 미륵이라는 창세신이 하늘과 땅을 분리하고 별을 창조했다고 전하지만, ‘셍굿무가’는 세상이 스스로 열리고 만들어졌다고 묘사해 우리에게 두 갈래 창조신화가 존재했음을 알려준다.



    자신의 호를 딴 좌계학당에서 ‘조선의 꿈, 한국의 신화’를 강의하고 있는 김영래씨는 “신화의 내용을 축제화한 것이 바로 도당굿”이라고 설명한다. 김씨의 설명에 따르면 아주 먼 옛날 인류는 별에서 왔다고 믿었고 사람들끼리의 경쟁이 독을 뿜어 인류의 종말이 올 것을 두려워했다. 그들이 죄값을 대속(代贖)하겠다는 각오로 강화 갯벌에 모여 쓰디쓴 ‘마고초(익모초)’를 마시고 얼굴에 파란 창포물을 들여 독이 얼굴에 퍼지는 모양을 나타낸 후 마니산 참성단에 올랐다. 파란 얼굴의 사람들이 높은 곳을 향해 올라가는 것을 ‘파랑새’로 표현하면서 파랑새는 희망의 새로 자리잡았다. 이는 태고시대부터 유라시아 전역에 퍼진 제천의식의 하나로 후세에 동학으로 전승돼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라는 노래가 불리게 됐다고 전한다.

    이처럼 서사무가는 우리 신화의 보고(寶庫)임이 분명하나 오랜 세월 무속에 대한 사회적 편견 때문에 몇몇 학자들의 연구대상에 머물거나 신화로서의 신성(神性)을 상실한 채 흥미 위주의 민담이나 전설이 되어 떠돌았다.

    현재 ‘주간동아’에 ‘노래하는 신화’를 연재하고 있는 문화평론가 류인열씨는 이를 ‘바리데기 콤플렉스’라고 명명했다. 몇 년 사이 바리공주 이야기를 토대로 연극, 무용,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작품이 만들어지면서 ‘바리’라는 이름이 일반인들 사이에 널리 알려졌으나 정작 바리가 최초의 무당이라는 사실은 감춰졌다. 류씨는 무당 바리 대신 효녀 바리로 정착되는 과정이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무당 콤플렉스’를 보여준다고 설명한다.

    무속에 대한 편견이 우리신화의 대중화를 가로막고 있는 사이 서구신화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우리 신화’(현암사 펴냄)의 저자 서정오 교사(대구 현풍초등학교)는 “아이들이 그리스·로마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계보를 줄줄 외고 이들의 대화 중에 자연스럽게 신의 이름이 튀어나오는 것을 볼 때마다 놀란다”면서 “신은 사람을 닮고, 사람은 신을 닮는다는 말이 있다. 서구신화에 빠진 우리 아이들이 서구 신을 닮아가고 있는 꼴”이라고 말한다.

    우리 겨레가 그 어떤 민족보다 넉넉한 신화적 자산을 갖고 있다고 믿는 서씨는 일단 우리 신화를 보다 친근하게 전달해 널리 회자되도록 하는 일이 급선무라고 말한다. ‘우리 신화’를 화롯가 정담처럼 입말투로 쓴 이유도 여기에 있다. ‘우리 신화’는 단군신화나 고주몽신화와 같이 널리 알려진 문헌신화를 제외하고 스물한 편의 구전신화를 골랐다. 또 옥황상제(천지왕), 바지왕(땅세상 지국성 슬기부인 백주할머니의 외동딸로 천지왕의 아내가 됨), 대별왕(천지왕의 큰아들), 소별왕(천지왕의 둘째아들), 염라대왕, 저승시왕, 저승차사, 칠성님, 옥녀부인, 서천꽃밭 꽃감관 등 다양한 신화의 등장인물들과 독립된 각각의 이야기를 엮어 우리 신화에 나름의 질서를 부여하려는 새로운 시도도 선보였다.

    “일제가 의도적으로 폄하 조작”

    우리 신화 원형 ‘서사무가’ 아십니까

    조선시대 ‘천상열차분야지도’에서 우리 신화의 근거를 찾는 김영래씨.

    서씨는 “우리 신화는 서구신과 달리 신과 사람의 관계를 다룬 것이 대부분”이라며 “우리 민족은 신성시되는 세계(판타지의 세계)보다 현세의 삶과 꿈을 신화에 담으려 했다”고 설명한다. 처음부터 신이었던 게 아니라 바리공주처럼 시련과 모험 끝에 신의 반열에 오르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도 우리 신화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다. 이처럼 신화 속에는 우리 겨레의 정서가 온전하게 담겨져 있는 것이다.

    전통 연희로서 굿을 연구하다 신화의 세계에 관심을 갖게 된 류인열씨는 ‘노래하는 신화’를 통해 불교의 미륵이 아닌 우리의 창세신으로서의 미륵, 신이 된 무당 바리, 사라진 거인신화 등 잃어버린 신성을 복원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일부 내용이 변질되고 사라졌을지라도 무가는 고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면면히 불려진 우리 고유의신화라는 점에서 소중하다. 무가가 고대와 현대의 단절 없는 만남이 가능케 하는 만큼 무가에 담긴 상징체계, 사유체계, 구술체계, 음악, 연행, 관중과의 관계, 놀이 등 모든 것을 종합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김영래씨는 고조선시대에 풍성했던 우리 신화가 고려, 조선의 봉건적 국가체제를 거쳐 일본 군국주의의 지배를 받으면서 의도적으로 폄하되고 조작됐다고 주장한다. 즉 고조선시대의 화백(和白·만장일치 제도)과 신시(神市·호폐시장)제도에서 나타나듯이 고대 우리의 신화는 가장 발달된 사회주의와 민주주의의 모습을 담고 있다. 그러나 봉건적 세계관에 맞춰 씌어진 ‘삼국사기’는 이 부분을 빼고 단군신화의 얼개만 전했고, 일본은 아예 ‘단군과 고조선을 날조된 역사’로 폄하했다는 설명이다.

    김씨는 조선 태조 때 고구려 천문도를 바탕으로 돌에 새긴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를 통해 잃어버린 신화의 근거를 찾는 연구를 하고 있다. 하늘에 해치가 사는 북극성이 있으면 땅에는 대구 달성(북극성 형태라고 함)을 두고, 별들이 화백회의를 하는 북두칠성이 있으면 땅에도 북두칠성의 모습을 새겼듯이 우리 민족은 ‘쌍본신성(雙本身性)’의 특징이 있었다. ‘하늘의 제도를 그대로 옮겨온 나라, 하늘의 헌법을 그대로 따르는 나라’로서 문명적 자부심이 우리 고대신화에 담겨 있다는 설명이다.

    류인열씨는 우리 신화의 특징을 “살아 있는 신화, 민중의 신화, 혁명가의 신화’라는 말로 요약했다. 문헌 속에서는 사라졌을지라도 우리 민중의 정체성 속에 도도히 흐르는 신화는 결코 지울 수 없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