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호에 우리 나라에서 영어를 가르칠 때는 미국에서와 달리 강력한 학습법을 써야 성공할 수 있다는 얘기를 했다. 영어를 배울 때, 12세 이전의 어린이가 유리한 점은 다음 세 가지다.
첫째, ‘외국어 학습은 학습기간이 길수록 성취도가 올라간다’는 학설에 비추어 볼 때 일찍 시작할수록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외국어 학습을 방해하는 ‘실수 공포’나 ‘쑥스러움’ 등이 적고,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이 강하기 때문에, 배운 것을 두려움 없이 쓰는 특성이 있다. 셋째, 대뇌기능의 측면화(혀 양쪽으로 숨이 빠지는 현상)를 시작하기 전의 아이들은 외국어를 분석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그대로 복사하듯이 통째로 머리 속에 입력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들을 잘 이용해서 가르쳐야 어린이 영어교육이 성공할 수 있다. 그러면 이제부터 어린이에게 어떤 영어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자.
첫째, 영어 엔진을 입력할 가장 좋은 시기다.
초등학교 3학년 아이를 예로 들어보자. 고등학교 졸업할 때까지 10년이라는 긴 학습기간이 있다. 학교 시험의 부담이 없는 초등학교 때 탄탄한 기초력을 닦아놓고, 중-고교 때 제대로 수련만 하면, 대학입시 따위는 신경 쓸 것도 없이, 평생 영어걱정 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 어떤 영어를 어떻게 머리 속에 심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시기야말로, 들리는 그대로 복사하듯이 통째로 받아들이는 특성을 이용해서, 자연스러운 ‘영어 감각’과 ‘영어 엔진’을 머리 속에 입력시키기에 가장 좋은 찬스다. 그렇게만 하면 평생 써먹을 수 있는 귀중한 재산을 얻는다.
둘째,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본격적으로 가르친다.
일반적으로 “애들은 그저 간단한 생활회화와 노래, 게임 같은 것을 시키면서 영어에 친숙하게만 하면 된다”라는 말들을 많이 한다. 그래서 시중의 어린이 영어책들을 보면 그런 종류의 유치한 내용들만 담겨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애들이라고 해서 너무 얕보면 안 된다. 그들은 갓난아기처럼 완전한 백지상태에서 영어를 배우는 것이 아니다. 그들의 한국어 능력은 이미 성인들이 쓰는 언어구조를 거의 다 구사하는 수준이 되어 있다.
또한 이 시기의 아이들은, 새로 나온 신세대 노래들을 불과 2,3일 만에 그대로 외워 부를 정도의 대단한 흡수능력을 가지고 있다. 배워봐야 당장 써먹을 데도 없는 토막회화나 물건 이름들만 가르치며 귀중한 시기를 헛되이 보낼 것이 아니라, 좀더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본격적인 영어를 단계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
셋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함께 가르쳐야 한다
“아이들에게는 ‘듣기’ ‘말하기’만 가르쳐야지 ‘읽기’ ‘쓰기’를 가르치면 안 된다”는 어처구니없는 주장이 의외로 널리 퍼져 있다. 심지어는 초등영어교육을 담당하는 정부 관계자들 중에도 그런 주장을 하는 사람이 많다. 그 이유를 들어보면, “어린 아기가 말하기부터 배운 뒤에 글을 배우지 않느냐”고 한다. 그런데 그것은 갓난아기가 모국어를 배울 때 얘기지, 이미 한글을 깨우친 나이에 영어를 배울 때는 맞지 않는 얘기다. 다음 호에 계속.
첫째, ‘외국어 학습은 학습기간이 길수록 성취도가 올라간다’는 학설에 비추어 볼 때 일찍 시작할수록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외국어 학습을 방해하는 ‘실수 공포’나 ‘쑥스러움’ 등이 적고,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이 강하기 때문에, 배운 것을 두려움 없이 쓰는 특성이 있다. 셋째, 대뇌기능의 측면화(혀 양쪽으로 숨이 빠지는 현상)를 시작하기 전의 아이들은 외국어를 분석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그대로 복사하듯이 통째로 머리 속에 입력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들을 잘 이용해서 가르쳐야 어린이 영어교육이 성공할 수 있다. 그러면 이제부터 어린이에게 어떤 영어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자.
첫째, 영어 엔진을 입력할 가장 좋은 시기다.
초등학교 3학년 아이를 예로 들어보자. 고등학교 졸업할 때까지 10년이라는 긴 학습기간이 있다. 학교 시험의 부담이 없는 초등학교 때 탄탄한 기초력을 닦아놓고, 중-고교 때 제대로 수련만 하면, 대학입시 따위는 신경 쓸 것도 없이, 평생 영어걱정 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 어떤 영어를 어떻게 머리 속에 심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시기야말로, 들리는 그대로 복사하듯이 통째로 받아들이는 특성을 이용해서, 자연스러운 ‘영어 감각’과 ‘영어 엔진’을 머리 속에 입력시키기에 가장 좋은 찬스다. 그렇게만 하면 평생 써먹을 수 있는 귀중한 재산을 얻는다.
둘째,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본격적으로 가르친다.
일반적으로 “애들은 그저 간단한 생활회화와 노래, 게임 같은 것을 시키면서 영어에 친숙하게만 하면 된다”라는 말들을 많이 한다. 그래서 시중의 어린이 영어책들을 보면 그런 종류의 유치한 내용들만 담겨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애들이라고 해서 너무 얕보면 안 된다. 그들은 갓난아기처럼 완전한 백지상태에서 영어를 배우는 것이 아니다. 그들의 한국어 능력은 이미 성인들이 쓰는 언어구조를 거의 다 구사하는 수준이 되어 있다.
또한 이 시기의 아이들은, 새로 나온 신세대 노래들을 불과 2,3일 만에 그대로 외워 부를 정도의 대단한 흡수능력을 가지고 있다. 배워봐야 당장 써먹을 데도 없는 토막회화나 물건 이름들만 가르치며 귀중한 시기를 헛되이 보낼 것이 아니라, 좀더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본격적인 영어를 단계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
셋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함께 가르쳐야 한다
“아이들에게는 ‘듣기’ ‘말하기’만 가르쳐야지 ‘읽기’ ‘쓰기’를 가르치면 안 된다”는 어처구니없는 주장이 의외로 널리 퍼져 있다. 심지어는 초등영어교육을 담당하는 정부 관계자들 중에도 그런 주장을 하는 사람이 많다. 그 이유를 들어보면, “어린 아기가 말하기부터 배운 뒤에 글을 배우지 않느냐”고 한다. 그런데 그것은 갓난아기가 모국어를 배울 때 얘기지, 이미 한글을 깨우친 나이에 영어를 배울 때는 맞지 않는 얘기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