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동아 로고

  • Magazine dongA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피플

어둡던 시절 밝히던 ‘빨간 책’ 찾습니다

어둡던 시절 밝히던 ‘빨간 책’ 찾습니다

어둡던 시절 밝히던 ‘빨간 책’ 찾습니다
“빨간 책을 찾습니다.” 지난 11월28일부터 인터넷엔 ‘수상한’ 문구의 광고글이 뜨기 시작했다. 이 글의 내용은 “한때 한국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지금은 먼지가 켜켜이 쌓인 ‘빨간 책’들을 ‘역사의 박물관’에서 끄집어내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달라”는 것.

“‘빨간 책’은 1980년대 한국사회를 비판하고 분석했던 책들의 닉네임이죠. 굳이 따지자면 이념서적이라고나 할까요.”

글의 주인공은 고려대 앞 사회과학 전문서점인 장백서원 대표 김용운씨(35). 1986년 개업 이후 줄곧 고대생들의 사랑을 받아온 이 서점을 지난 95년 인수해 지금까지 운영해오고 있는 그가 ‘빨간 책’을 구하는 이유는 두 가지.

민주화운동이나 80년대 한국사회와 관련된 학위논문을 쓰려는 대학원생들에게 필수적인 당시의 자료나 서적들이 이미 절판됐거나 대학 도서관에서도 구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는 게 그 첫째다. 또 ‘자신의 삶을 진지하게 고민하는’ 이들과 때로 교양과목을 가르치는 교수들까지 이런 책들을 찾기 때문이라고.

장백서원이 찾는 책은 지난 80년대 한국사회와 관련된 정치-경제-사회-문화-문학서적과 불의에 저항한 인물들의 평전, 학생운동 관련 자료 및 도서 등이다. 김씨는 “인터넷에 글을 올린 지 1주일 만에 200여권의 도서를 이미 기증받았다”며 “무상기증이 원칙이지만 책에 따라선 실비로 구입할 의사도 있다”고 말했다.



고려대 84학번(경제학과)으로 한때 진보 성향의 출판사 ‘신평론’을 운영하기도 한 그가 현재 가장 애타게 구하는 책은 뭘까. 바로 지금은 절판된 ‘자본론’ 번역본(이론과 실천사)과 ‘프랑스 혁명에서 파리꼬뮨까지’(까치)다.

장백서원 사이트http://insa.jinbo.net



주간동아 264호 (p103~103)

다른호 더보기 목록 닫기
1382

제 1382호

2023.03.24

삼성전자 300조 투자, ‘소부장’ 기업부터 주가 뛰었다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