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12

2003.12.04

천지왕과 쉬맹이 밀고 밀리는 ‘싸움’

하늘땅신도 인간 욕망 앞에 초반 완패 … 벼락·우레 불러내 결국 ‘불바다’ 응징

  • 류이/ 문화평론가·연출가 nonil@korea.com

    입력2003-11-27 14:0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천지왕과 쉬맹이 밀고 밀리는 ‘싸움’

    천지왕이 패악한 쉬맹이를 응징하기 위해 불벼락을 날리는 모습.

    천지가 생겨나고 사람들이 일어섰으나 아직 질서가 잡히지 않았던 때가 있었다. 생과 사도 제대로 구분이 안 되고, 짐승과 나뭇잎들이 말을 하고, 귀신이 말을 걸면 사람이 대답하고 사람이 부르면 귀신이 대답하던 시절이었다.

    하늘에는 해와 달이 둘씩 있어 낮에는 사람이 더워서 죽고, 밤에는 추워서 죽었다.

    모든 짐승과 초목들이 말을 하고, 귀신과 인간의 구별이 없어서 사람이 부르면 귀신이 대답하던 시절을 무엇이라 이름 붙일까? 계절은 늘 봄이고 ‘마고성’으로 상징되던 신선들의 옥답에서 나는 과일이 도처에 풍성하여 사람들이 먹을 것을 구하기 위해 일할 필요가 없었던 시절, 마고시대의 선경을 지나서 이제 톨킨이 이름한 대로 ‘중간계’(영국의 소설가 존 로널드 톨킨이 창조한 가상세계로 ‘반지의 제왕’의 무대다)로 왔다고나 할까? 아니면 그리스신화의 황금시대를 지나 철의 시대로 왔다고나 할까?

    우리는 이제 본격적인 신화여행의 길을 나선다. 마고신화는 민중들 사이에서 전해지는 이야기 속에 조각난 채 흔적으로만 남아 있으나, 천지왕신화는 신녀들의 노래 속에 남아 기승전결의 구조를 갖춘 이야기로 전해 내려온다.

    천지왕신화는 창세신화와 천지개벽신화의 성격을 함께 갖고 있다. 부계사회와 전쟁의 시대를 열고 스스로 ‘하늘땅신’이 되었던 남성신격으로서의 천지왕이 마고의 창세신화에서 마고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하면서 창세신화의 성격을 이어받아 천지개벽시대의 신화를 만들어나간 흔적이 아닌가 한다.



    그 첫 이야기가 바로 천지왕과 쉬맹이의 싸움이다.

    신을 무시하는 쉬맹이

    >

    짐승과 초목들이 말하던 시절에는 사람들도 신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물론 천지개벽으로 신의 위상을 새롭게 세우고자 하는 천지왕의 입장에서는 참으로 평정하기 어려운 큰 혼란이었음이 분명하다. 권력은 혼란을 만들고 그 혼란을 진정시키는 과정에서 탄생하게 마련인가?

    어느 날 천지왕은 하늘에 떠 있는 해와 달을 하나씩 삼키는 꿈을 꾸었다. 이 꿈이야말로 세상을 바로잡을 옥동자를 얻을 꿈이 아닌가? 천지왕은 조만간 천생배필을 맞으러 땅으로 내려가리라 생각하고 있던 차에 저승왕한테서 쉬맹이에 관한 이야기를 듣는다.

    >

    천지왕과 쉬맹이 밀고 밀리는 ‘싸움’

    모든 새와 짐승, 초목들이 말을 하던 시절의 호랑이.

    천지왕은 쉬맹이의 행동에 분노했다.

    “쉬맹이, 이놈! 괘씸하도다! 괘씸하구나. 쉬맹이, 이놈!”

    서둘러 일만 군사를 거느리고 지상으로 내려오던 천지왕은 혼잣말을 되뇌었다.

    ‘하늘땅의 질서를 잡을 때가 온 것 같구나. 해와 달을 삼키는 꿈도, 쉬맹이를 징치(懲治)하는 것도 지금의 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음이야….’

    천지왕과 총명 아기씨의 만남

    >

    천지왕신화에 나오는 쉬맹이는 3800년을 살았다고 해서 ‘수명장자’라고도 한다. 천지왕 시절에는 해와 달이 각각 둘씩 있어서 낮에는 뜨겁고 밤에는 얼어붙어 사람이 제대로 살 수 없었던 때다. 이때에 이미 많은 곡식과 재화를 가진 쉬맹이가 존재한 것이다.

    그러므로 쉬맹이가 평범한 인간적 존재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현대까지 남아 있는 탐라신화의 ‘천지왕 본풀이’ 노랫말을 중심으로 이야기하고자 한다. 신과 인간과 짐승이 서로 말을 나누던 시절,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의 이야기이므로….

    쉬맹이는 천하 부자다. 그리고 곡식을 많이 가지고 있는 지주이자 오래된 화폐인 쌀을 되로 꾸어주고 말로 받는 고리대금업자다.

    천지왕과 쉬맹이 밀고 밀리는 ‘싸움’

    천지왕이 쉬맹이를 징치하고, 천생배필을 맺기 위해 땅으로 내려오고 있다.

    한편 쉬맹이를 잡으러 간 일만 군사들. 군사들이 쉬맹이네 집에 도착해보니 짖는 개도 아홉이고, 무는 개도 아홉이고, 차는 말도 아홉이고, 찌르는 소도 아홉이라 들어갈 수가 없었다.

    >

    하늘땅의 신인 천지왕이 ‘물고 차고 받아버리는 개와 말과 소’ 때문에 인간세상의 쉬맹이네 집에 들어가지 못하는 상황은 오늘날의 사람들로서는 참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설정일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하여 쉬맹이나 쉬맹이네 집을 지키는 짐승을 구태여 ‘신적인 존재’로 이해할 필요는 없다. 아직 신에게 권위가 없었던, 인간과 짐승과 신이 그렇게 큰 차이가 없던 시절, 거꾸로 신화시대의 인간은 오히려 오늘의 인간으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능력을 가졌다고 해석하는 편이 더 재미있다.

    >

    천지왕이 쉬맹이에게 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주는 열두 가지 흉험 가운데 가장 먼저 나타나는 것은 솥 앞의 개미 떼다. 제주도에서는 부엌에 개미가 꼬이는 것을 아주 나쁜 징조로 여긴다. 두 번째로 나타난 용달버섯은 폐가를 상징한다. 용달버섯은 습기가 많이 차고 썩은 곳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

    아! 얼마나 허망할까? 하늘땅신으로서, 인간 하나도 어찌할 수 없는 천지왕이여!

    이 이야기에서 가장 재미있는 부분이 바로 이 부분이다. ‘하릴없이 바구왕 집으로 가는구나.’ 그렇다. 신이라고 별수 있간? 어디서? 부자 앞에서, 쌀(돈) 앞에서…. 아니, 돈을 향한 인간들의 끝없는 욕망과 타락과 투쟁에는 신도 두손 두발 다 들었다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의 냉엄한 현실이므로. 탐라신화의 첫 장을 여는 우리 천지왕 이야기는 이렇게 신화적 리얼리즘의 지평을 보여준다.

    현실에 패한 신이 찾는 곳은 어딜까? 신도 인간과 마찬가지라고 옛사람들은 생각했다. 우리를 끝까지 지지해주는 버팀목. 그게 사랑이 아닐까?

    천생배필 맺고 달콤한 5일 밤

    >

    아, 그러나 이 불행한 돈 세상을 어찌 그냥 두고 볼 수 있으리오. 신의 이름이라도 빌려서 불벼락을 내리지 않고서는 못 견디는 사람들을 위해서, 우리 신녀들이 또 다른 이야기를 준비해두었다. 천지왕이 벼락장군 우레장군을 불러서 쉬맹이네를 불바다로 만들어버리는 내용의 다른 본을 소개한다. 천지왕이 무쇠철망을 걷고 난 다음부터 이야기는 계속된다.

    >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