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목 놓아 불렀던 ‘통일’이 여전히 ‘우리의 소원’일까. 지난 8월 15일 이명박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통일세 도입을 제안하자, 국민 사이에서 통일세는 물론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논란마저 일고 있다.
‘주간동아’가 온라인 리서치기업 ‘마크로밀 코리아’와 함께 8월 23~24일 이틀간 전국 5대 도시 20~50대 남녀 500명에게 통일세 도입 찬반 의사를 물어본 결과, 국민 10명 중 7명(70.2%)이 도입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신뢰구간 95%, 표본오차 ±4.4%). ‘통일 준비는 해야 하지만, 통일세를 논의할 때는 아니다’가 43.8%로 가장 높았고, ‘통일세를 비롯해 통일 준비 자체가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응답이 26.4%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에 통일세를 비롯해 실질적인 통일 준비를 해야 한다’는 21.4%에 머물렀다.
통일세를 걷는 방법으로는 ‘별도의 통일기금 조성’이 4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가가치세에 포함하는 간접세 형태’(20.2%)와 ‘소득세나 법인세에 부과하는 직접세 형태’(19.4%)가 그 뒤를 이었고, ‘별도의 통일세 신설’은 8.8%에 불과했다. 즉 통일세 부과에 대한 저항이 낮은 순으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것이다.
가장 놀라운 사실은 “통일이 반드시 이뤄져야 하느냐”는 질문에 38%의 응답자가 “그렇지 않다”고 했다는 것이다. 특히 20대의 경우 46%에 이르렀다. 이제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 아닐 수도 있다는 뜻.
이에 대해 연세대 심리학과 황상민 교수는 “10년 전부터 통일에 대한 당위성은 점차 옅어져갔고, 2~3년 전부터 가속화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국민은 북한을 ‘못사는 친척’쯤으로 여긴다. 어느 정도 경제적 도움은 줄 수 있지만, 함께 살기엔(즉 전적으로 책임지기엔) 매우 부담스러운 존재인 것”이라며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이렇게 인식하고 있는 국민에게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통일세 제안은 반감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고 했다.
*온라인 리서치기업 ‘마크로밀 코리아’(대표 주영욱 www.macromill.co.kr)는 일본 온라인 리서치업계 1위인 마크로밀의 한국법인으로, 최첨단 시스템을 통해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간동아’가 온라인 리서치기업 ‘마크로밀 코리아’와 함께 8월 23~24일 이틀간 전국 5대 도시 20~50대 남녀 500명에게 통일세 도입 찬반 의사를 물어본 결과, 국민 10명 중 7명(70.2%)이 도입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신뢰구간 95%, 표본오차 ±4.4%). ‘통일 준비는 해야 하지만, 통일세를 논의할 때는 아니다’가 43.8%로 가장 높았고, ‘통일세를 비롯해 통일 준비 자체가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응답이 26.4%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에 통일세를 비롯해 실질적인 통일 준비를 해야 한다’는 21.4%에 머물렀다.
통일세를 걷는 방법으로는 ‘별도의 통일기금 조성’이 4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가가치세에 포함하는 간접세 형태’(20.2%)와 ‘소득세나 법인세에 부과하는 직접세 형태’(19.4%)가 그 뒤를 이었고, ‘별도의 통일세 신설’은 8.8%에 불과했다. 즉 통일세 부과에 대한 저항이 낮은 순으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것이다.
가장 놀라운 사실은 “통일이 반드시 이뤄져야 하느냐”는 질문에 38%의 응답자가 “그렇지 않다”고 했다는 것이다. 특히 20대의 경우 46%에 이르렀다. 이제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 아닐 수도 있다는 뜻.
이에 대해 연세대 심리학과 황상민 교수는 “10년 전부터 통일에 대한 당위성은 점차 옅어져갔고, 2~3년 전부터 가속화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국민은 북한을 ‘못사는 친척’쯤으로 여긴다. 어느 정도 경제적 도움은 줄 수 있지만, 함께 살기엔(즉 전적으로 책임지기엔) 매우 부담스러운 존재인 것”이라며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이렇게 인식하고 있는 국민에게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통일세 제안은 반감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고 했다.
*온라인 리서치기업 ‘마크로밀 코리아’(대표 주영욱 www.macromill.co.kr)는 일본 온라인 리서치업계 1위인 마크로밀의 한국법인으로, 최첨단 시스템을 통해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