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13

..

머리부터 발끝까지 치료 보톡스의 진화는 무죄

과민성방광 치료 건강보험 적용…만성 편두통, 눈꺼풀 경련, 사시, 다한증 등 치료

  • 최영철 주간동아 기자 ftdog@donga.com

    입력2015-11-16 13:3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머리부터 발끝까지 치료 보톡스의 진화는 무죄

    주름 개선 치료제의 고유명사처럼 불리는 보톡스가 10월 1일부터 과민성방광 치료제로 국민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받게 됐다.

    대기업 임원인 이동엽(58·가명) 씨는 6개월 전부터 시도 때도 없이 찾아오는 배뇨감에 수시로 화장실을 들락날락했다. 자다가도 한두 번은 꼭 화장실에 가야 해 숙면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당연히 근무 중에 조는 일이 많아지고 항상 피곤에 찌들어 살았다. 이씨는 3개월 전 업무에 지장을 받을 정도가 되자 그때서야 비뇨기과 클리닉을 찾았다. 진단 병명은 ‘과민성방광’. 먹는 약으로 치료를 시작해 거의 다 나았나 싶었지만 한 달 전 증상이 재발했다. 최근 다시 비뇨기과 클리닉을 찾은 이씨는 전문의로부터 보톡스 시술을 권유받고 깜짝 놀랐다. ‘과민성방광을 치료하는데 얼굴에 맞는 보톡스를 쓰겠다니….’ 의아해진 그는 전문의에게 물었다. “얼굴과 방광이 무슨 관계가 있나요?”

    참을 수 없는 소변을 잡다

    보톡스는 미간이나 눈가 주름을 개선하는 데 사용하는 약제로 알려져 있다. 얼굴 주름은 피부 밑 근육이 피부를 잡아당기기 때문에 생기는데, 보톡스는 얼굴근육을 일정 기간 이완해 주름을 개선한다. 근육을 이완하는 보톡스는 사실 주름 개선뿐 아니라 과도한 근육 수축으로 인한 질환을 치료하는 데도 다양하게 사용돼왔다(Tip 참조). 우리가 모르고 있었을 따름이다.

    그중에서도 최근 재조명받는 치료 분야가 바로 과민성방광 질환이다. 10월 1일부터 과민성방광 질환치료제로서 국민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됐기 때문이다. 보톡스에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된 것은 과민성방광이 최초다. 다만 적절한 보존요법과 항콜린제 치료에 실패한 신경인성 배뇨근 과활동성 환자나 과민성방광 환자만 급여 지원 대상이 된다.

    과민성방광은 요로감염 등 다른 뚜렷한 원인이 없는데도 갑작스럽게 참을 수 없을 정도로 강하게 소변이 마려운(요절박)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과민성방광은 소변을 참지 못해 화장실에 가기 전 소변이 새는 절박성 요실금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하루 8회 이상 소변을 보는 주간 빈뇨와 밤에 잠자리에 들어서도 소변을 참지 못해 1회 이상 잠에서 깨는 야간 빈뇨 증상을 동반한다.



    과민성방광 치료에는 행동치료와 약물치료가 우선적으로 시행되며, 방광 훈련과 골반근육운동 등 행동치료, 방광 수축을 억제하는 항콜린제가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과민성방광 환자의 20~50%는 이런 약물치료로 만족할 만한 치료 결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 오승준 서울대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과민성방광을 약물요법으로 치료할 경우 정도 차이는 있지만 입이 마르거나 변비, 시야 흐림, 졸림, 인지장애, 소화기장애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심각한 부정맥이 있거나 협각성 녹내장, 소화기능 장애 등이 있는 환자에게는 약물치료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런 환자들은 보다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찾는 게 중요하다. 특히 약물치료와 행동치료로 증상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 보톡스 시술을 통한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보톡스는 평소보다 과하게 활동하는 방광 근육을 이완해 과민성방광 증상을 개선한다. 우리 뇌는 소변을 볼 때 방광에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수축신호를 전달하는데, 보톡스를 방광근육에 투여해 이 신호 전달을 원천 차단하는 원리다. 방광근육이 수축하지 않으면 빈뇨 증상은 자연스럽게 완화된다.

    과민성방광 치료는 방광경을 통해 배뇨근에 보톡스를 직접 주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증상이나 환자 요구에 따라 국소마취가 이뤄질 수도 있다. 치료 과정이 다소 불편할 수 있지만, 한 번 시술로 증상 개선 효과가 뛰어나 환자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실제 항콜린제 치료가 어렵거나,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과민성방광 환자 54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보톡스 1회 투여 후 12주째 60% 넘는 환자에게서 증상이 50% 이상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 삶의 질도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오승준 교수는 “많은 사람이 과민성방광을 노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증상으로 간과하거나, 남들에게 말하기 부끄러워 방치하곤 한다”며 “과민성방광은 다른 배뇨장애 질환에 동반되기도 하며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보톡스는 만성 편두통 예방에도 쓰인다. 편두통이란 뇌혈관의 기능 이상으로 발작적,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두통의 일종이다. 만약 두통이 한 달에 15일 이상 발생하고, 이 중 8일 이상 편두통이 나타나며, 이런 상태가 3개월 넘게 지속되면 만성 편두통을 의심해야 한다. 만성 편두통이 생기면 머리 한쪽에 심한 통증이 찾아오는데 맥박이 느껴지는 듯 욱신거리고 지끈거릴 수 있다. 사람에 따라서는 구역이나 구토, 빛 공포, 소리 공포, 냄새 공포, 맛 공포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한다.

    만성 편두통에도 효과적

    머리부터 발끝까지 치료 보톡스의 진화는 무죄

    2003년 한 국제포럼에서 미국 신경과 의사가 편두통 환자에게 보톡스 주사를 놓고 있다.

    만성 편두통 치료에는 주로 베타차단제, 항우울제, 항간질약, 칼슘통로차단제, 앤지오텐신 전환효소억제제(ACE inhibitor) 등이 일차적 선택 약물로 사용된다. 문제는 일부 환자에게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치료에도 편두통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만성 편두통 환자 73% 이상이 두통 치료제를 과다복용하고 있는 것도 우려할 대목이다.

    편두통 발생에는 말초성 및 중추성 감작이 모두 관여돼 있다. 감작은 외부에서 들어온 항원에 대해 신체 면역계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태를 말한다. 작은 자극에도 큰 반응을 보이는 말초성 감작이 지속되면 뇌간의 3차 신경핵이 감작되고 종래에는 중추신경 전체에서 감작화가 일어난다. 그 결과 일어나는 현상이 바로 만성 편두통이다. 보톡스는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는 작용 외에도 근육 안 수용체인 근방추의 활동을 감소시켜 통증 자극을 줄이고 신경펩디드를 함유하는 신경섬유의 작용을 억제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특히 말초신경 및 중추신경 감작화 기전에 관여하는 통증 유발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막아 만성 편두통을 예방한다.

    조수진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신경과 교수(대한두통학회 소속)는 “만성 편두통은 심한 통증과 더불어 오랜 기간 지속돼 삶의 질을 저해하는 심각한 질환이다. 발작적이고 반복적인 특징 때문에 두통 발생 사이 무증상 기간에도 일상생활이 제한되는 수가 있다. 무엇보다 전문의와 상담을 통한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Tip 보톡스의 역사

    독극물에서 다양한 질환 치료제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치료 보톡스의 진화는 무죄
    주름 개선 치료제의 고유명사처럼 불리는 보톡스는 사실 제품명이며, 성분명은 보툴리눔 톡신이다. 보툴리눔 톡신은 19세기 초 독일에서 발생한 대규모 식중독 사건(200명 이상 사망)을 조사하던 의사 유스티누스 케르너가 처음 발견했다. 이후 1세기가 훌쩍 지난 1973년 미국 스미스케틀웰 안과연구소 의사인 앨런 스콧이 동물실험 중 지나치게 수축된 안구근육을 보툴리눔 톡신으로 이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논문으로 발표하면서 질병 치료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80년대 중반부터는 근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는 작용을 이용해 안검(눈꺼풀) 경련, 목근육의 과도한 수축으로 목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사경(斜頸), 소아 뇌성마비 환자의 강직된 근육 치료에 사용됐다. 국내에선 95년 사시(斜視) 치료에 최초로 사용됐고 현재는 방광기능 장애, 만성 편두통, 원발성 겨드랑이 다한증 치료 등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