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27

..

인터넷 강국 대한민국 해킹 무방비

  • 리쥐화(李菊花) 창원대 객원교수·중국학

    입력2010-03-11 09:5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터넷 강국 대한민국 해킹 무방비
    726호 커버스토리 ‘神이 된 해커, 줄줄~ 새는 내 비밀’은 독자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한국의 보안 문제를 지적한 의미 있는 주제였다. 그러면서도 내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막연한 불안감이 어느새 현실이 됐다는 사실에 놀랐다. 인터넷 강국 대한민국의 해킹 보안 수준과 환경이 이 정도라니. 특히 기자가 전문가와 직접 해킹을 시연한 기사는 그 심각성을 한눈에 알 수 있었다. 인터넷뱅킹을 하는 도중 해커에게 기자의 공인인증서와 인증서 비밀번호, 계좌 비밀번호, 보안카드 등 개인정보가 몽땅 넘어간 현실이 충격이었다. 필자 역시 인터넷뱅킹을 할 때 이동식저장장치(USB)를 사용, 안심하고 있었는데 이마저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기사와 2008년 도입된 일회용 비밀번호 발생기(OTP)도 안심할 수 없다는 내용은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대한민국 국민이 해킹에 무방비 상태임을 알려줬다.

    해킹의 위험성을 가장 먼저 인지하고 앞장서 막아야 할 금융기관들이 “해킹 피해가 발생하면 그때 대처하겠다”는 식의 안이한 생각을 가지고 있어 또 한 번 놀랐다.

    ‘댁에도 밤보초네(큰아기)가 있습니까?’라는 기사는 이탈리아의 20, 30대가 부모에게 기대 사는 ‘밤보초네’ 현상을 다뤘다. 밤보초네 문제는 이탈리아뿐 아니라 한국, 중국에도 존재한다. 특히 중국은 ‘80後’(1980년대 이후 태어난 세대) 문제가 심각하다. 성인이 돼서도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이 세대 때문에 최근 중국에서 인기 있는 직업의 하나로 가정부가 떠오르고 있다니 가히 국제적인 문제라 할 만하다.

    ‘새 싱글 때마다 또 다른 소녀시대!’는 최근 아이돌 그룹의 특징을 분석하면서 표절과 짝퉁 문제까지 다뤘다. 필자도 중국 인터넷에서 중국판 소녀시대를 접했다. 수많은 한국 가수의 노래와 한국 영화, 드라마 등의 해적판이 범람하고 한국 아이돌 그룹을 모방하는 것이 중국의 새로운 문화현상으로 자리매김되는 느낌이다. 중요한 것은 한국 문화가 일본 문화의 모방에서 벗어나 동아시아 문화를 선도할 새로운 콘셉트를 창출하는 것이 아닐까. 한류가 중국에서 위세를 떨칠수록 한국의 국가브랜드가 상승하고 경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