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가 제작한 달탐사선 ‘다누리호’의 인공위성 추진 시스템[사진 제공 · ㈜한화](왼쪽)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총 조립해 6월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누리호. [동아DB]
인류 마지막 ‘블루오션’ 우주
다누리호 프로젝트의 핵심은 탐사선 본체와 여기에 실리는 6개 탑재체 제작이다. 다누리호 본체 제작은 항우연이 주관하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한화, AP위성 등 민간기업이 참여했다. 다누리호에 실리는 탑재체는 2030년 발사될 한국형 달착륙선의 착륙 후보지 탐색 임무 등을 수행한다. 탑재체 6개 가운데 미국항공우주국(NASA) 섀도캠(달 극지의 음영지대 촬영)을 제외한 탑재체 5개가 국내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대학, 기업의 협력으로 개발됐다. 항우연의 고해상도 카메라엔 한화시스템, 데크항공, 이엘엠, 아이쓰리시스템이 참여했고 한국천문연구원의 광시야 편광 카메라에는 미래기술, 샛별 등 기업이 기여했다. 경희대의 자기장 측정기엔 센서피아, 인투룰이 협력하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감마선분광기엔 뉴케어, 에스엠테크의 기술이 들어갔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우주 인터넷엔 루미르, 위즈노바 등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누리호 발사 후 지상과 통신을 담당할 심우주 지상안테나 시스템 구축은 SK브로드밴드가 맡았다.한국 우주산업에서 특히 두각을 드러낸 기업은 한화그룹과 KAI다. 한화그룹의 항공·방위산업 계열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최근 성공적으로 발사된 누리호의 엔진 6기를 제작했다. 다누리호 프로젝트에선 그룹 지주사 ㈜한화가 달 궤도 전이방식 비행을 가능케 할 인공위성 추진 시스템을 개발했다. 위성 탑재용 영상레이더(SAR), 전기광학(EO) 구성품 제작 기술을 보유한 계열사 한화시스템은 다누리호에 실린 고해상도 카메라를 제작했다. 회전익기·고정익기 국산화에 앞장선 KAI는 우주산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누리호 총조립에 이어 다누리호 본체 제작에도 참여했다.
우주산업 분야에선 국내 중견·중소기업의 활약도 두드러진다. 항우연이 공개한 ‘구매계약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항우연과 단건 금액 기준으로 가장 큰 규모의 구매 계약을 체결한 업체는 ‘정지궤도 공공복합 통신위성 탑재컴퓨터 설계 및 제작’(103억7300만 원)을 수주한 AP위성이었다. 2020년엔 쎄트렉아이가 ‘차세대중형위성4호 전자광학부체계(EOS) 개발’(149억 원 규모)을 수주해 구매 계약 1위였다. AP위성은 2000년 창업한 자본금 820억 원 규모의 중소기업으로, 인공위성 제작, 위성통신 단말기 사업 등이 주력이다. 1999년 창업한 쎄트렉아이는 소형 지구 관측 위성시스템 및 부가장치 개발에 특화된 중견기업으로, 한화그룹 계열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난해 지분 30%를 인수해 최대주주가 됐다.
그렇다면 다누리호 제작에 참여한 기업들의 투자가치는 어떨까. 윤창배 KB증권 연구원은 “인류의 마지막 ‘블루오션’이 있다면 우주다. 우주산업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로, 정부 차원의 지원 하에 민간기업의 혁신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2010년대 중반 전기차 시장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주가 하락은 “기대감 선반영 후 조정”
‘다누리호’ 본체 및 탑재체 구성.[사진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다만 누리호 발사 성공 후 관련 기업 주가가 하락하면서 우주 ‘이벤트 효과’가 아직은 제한적·단기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누리호 발사 다음 날인 6월 22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는 전날 대비 4900원 하락한 4만6800원에 장을 마쳤다(6월 29일 종가 4만9500원). 같은 날 KAI 주가도 2100원 빠진 5만1500원을 기록했다(6월 29일 종가 5만4600원).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AP위성(6월 29일 종가 1만1800원)과 쎄트렉아이(6월 29일 종가 3만2700원)도 같은 날 하루 전보다 각각 4200원 떨어진 1만2600원, 5500원 내린 3만1000원에 거래됐다.
이는 누리호 발사 같은 우주 이벤트 성공이 당장은 사업 실적 제고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다. 정부가 주도한 우주개발사업에 참가한 한 기업 관계자는 “아직까지 우주산업은 사업성을 따지기보다 그야말로 국가 발전에 기여한다는 사명감으로 참여하는 것”이라면서 “개별 사업 성패를 두고 일희일비하지 않는 장기적 투자가 필요한데, 시장에선 당장 실적 제고를 기대하는 측면도 있다”고 분석했다. 한 투자 전문가는 “우주산업 관련 이벤트는 호재지만 이것이 실적으로 이어질지는 별개의 문제”라면서 “누리호 발사에 참여한 중소기업들의 코스닥 주가가 크게 빠졌는데, 다누리호 발사를 전후해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윤 연구원은 우주산업 관련주 약세와 관련해 “안타깝지만 ‘재료 소멸’이라고 본다. 주가가 높아지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우주산업의 경우 기대감으로 올라왔다”며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우주산업 관련 종목은 성장주로 분류되다 보니 누리호 발사를 앞두고 기대감이 선반영됐다 조정받은 것 같다. 아직 국내 우주산업 시장은 작지만 정부가 주요 기술 국산화에 의지를 갖고 있어 연구 과제가 쏟아질 수 있다는 점은 호재다. 다누리호 관련 기업 주가도 8월 발사를 앞둔 7월 중순부터 조금씩 꿈틀거릴 것이다. 정부의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한 기업들뿐 아니라, 매출에서 수출 비중이 높은 ‘인텔리안테크’처럼 글로벌 시장을 타깃으로 삼는 기업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러시아 우주산업 협력 축소도 장기적 호재
국제우주정거장(ISS).[사진 제공 · NASA]
김우정 기자
friend@donga.com
안녕하세요. 주간동아 김우정 기자입니다. 정치, 산업, 부동산 등 여러분이 궁금한 모든 이슈를 취재합니다.
기업 사내변호사 역량 강화 넘버원 법무법인 율촌 IHCA
검찰, ‘손태승 부당대출 의혹’ 우리은행 본점 압수수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