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70

..

왜구 토벌 ‘홍산대첩’ 현장 매월당 발자취도 여전

동헌·객사 예전 그 모습, 한때 영화 증명 … 교원리엔 ‘청일서원’이 반겨

  • 글·사진=신정일/ 황토현문화연구소장 hwangtoh@paran.com

    입력2005-01-19 19:2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왜구 토벌 ‘홍산대첩’ 현장 매월당 발자취도 여전

    조선 헌종 때 지어진 원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홍산객사 전경.

    충남 부여군 홍산면으로 가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부여에서 백마강교를 건너가는 길이 있고, 서해안고속도로 서천 인터체인지로 들어가는 길도 있으며, 충남 보령시 미산면에서 아홉 굽이로 된 아홉사리 고개를 넘어가는 방법도 있다.

    다양한 길이 뚫려 있다는 것은 그만큼 한때라도 번성했다는 증거일 것이다. 지금은 쇠락해 부여군의 한 면이 된 홍산의 백제 때 이름은 대산현. 고려시대 초기 지금의 이름이 붙은 홍산은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은 1914년 부여군에 병합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홍산’이라는 지명은 날아가는 기러기처럼 생긴 홍산의 진산 ‘비홍산(飛鴻山)’에서 따온 것. 홍산에는 이외에도 갖가지 사연이 담긴 지명이 많다. 홍산면 남촌리 서쪽에 있는 ‘옥녀봉’은 옥녀가 거문고를 타는 형색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 남촌 남쪽에는 ‘닷전모랭이’라는 지명도 남아 있는데, 옛날에 닭전(닭시장)이 서던 곳이라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닷전모랭이 뒤에는 둘레 1030자(약 310m), 높이 7자(약 2m)의 석성(石城)인 홍산읍성이 남아 있다.

    백제 때 대산현 … 비홍산에서 ‘홍산’ 이름 따와

    홍산이 현이던 시절, 현감이 집무를 보았던 동헌도 남촌리에 있다. 한때는 동헌 자리에 파출소가 있었다는데, 지금은 잘 정돈된 동헌이 늦가을 햇살에 빛나고, 그 옆에 눈이 부시도록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가 그림처럼 서 있다.



    왜구 토벌 ‘홍산대첩’ 현장 매월당 발자취도 여전

    만수산 무량산에 있는 김시습의 부도.

    동헌에서 북촌리 쪽으로 천천히 걷다보면 좁은 골목 막다른 곳에서 한때 면사무소로 쓰였던 홍산현의 객사도 볼 수 있다. 충남 유형문화재 제97호인 홍산객사는 1836년(헌종 2년) 홍산현감 김용근이 세운 것. 홍산을 찾는 관청의 손님이나 사신들이 머물던 건물로 1871년 개수한 뒤 1983년 중수해 지금도 예전의 모습을 그대로 살펴볼 수 있다.

    객사 중앙의 정당(正堂)은 정면 3칸 측면 3칸. 좌우에 날개 형상으로 부속 건물이 있는데 동익실(東翼室)은 정면 5칸 측면 2칸 건물이며, 서익실(西翼室)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구성돼 있다. 정랑(淨廊)은 전면에 문짝이 없어 다 트여 있는 게 독특하다. 동익실과 서익실도 전면은 개방하고, 양쪽의 3칸은 대청으로 사용했으며, 왼쪽 내부 뒤쪽의 2칸 통은 막아 온돌방을 들였다. 현판에는 ‘비홍관(飛鴻館)’이라고 쓰여 있다.

    왜구 토벌 ‘홍산대첩’ 현장 매월당 발자취도 여전

    한적한 홍산 면소재지.

    사료에 따르면 객사의 서쪽에 홍산현의 군기고가 있었다는데 지금은 찾을 길이 없다. 아마도 객사 뒤편으로 넓게 펼쳐져 있는 들이 그 시절 ‘과녁들’이 아니었을까 짐작만 할 뿐이다.

    고려 말 왜구 토벌 전투 가운데 가장 빛나는 승전으로 손꼽히는 ‘홍산대첩’은 이곳에서 벌어졌다. ‘홍산대첩’은 고려시대 우왕 때 왜구가 침입하자 최영 장군이 거느린 고려군이 바로 이 지역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른 것을 기려 붙여진 이름.

    동헌 뒤의 비석거리를 지나 교원리로 향하면 홍산향교가 있다. 홍산향교의 건립 연대는 정확하지 않다. 조선시대에는 향교에 5성(五聖)과 10철(十哲), 송조 6현(宋朝六賢)과 한국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모셔놓고 때마다 제사를 지냈으며, 나라로부터 토지와 노비를 지급받아 정원 30명의 서생을 가르쳤다고도 하는데, 1894년 갑오개혁 이후 향교의 교육 기능이 사라지면서 지금은 봄가을 석전(釋奠)을 지내고 초하루 보름에 분향을 하는 곳이 되었다.

    왜구 토벌 ‘홍산대첩’ 현장 매월당 발자취도 여전

    김시습을 모신 청일서원.

    교원리의 청일골에는 매월당 김시습(金時習)을 모신 청일서원(淸逸書院)도 있다. 이 지역에 그를 기리는 서원이 생긴 이유는 홍산에서 김시습이 말년을 지냈기 때문.

    조선시대 초기 학자와 문장가로 이름을 날린 김시습은 1435년 서울 성균관 부근에서 태어났다. 그의 자는 열경(悅卿)이며, 호는 매월당(梅月堂), 법호는 설잠(雪岑).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이름을 날려 ‘한 번 배우면 곧 익힌다’ 하여 이름이 ‘시습’이 됐을 정도로 천재였다고 한다. 당시 임금이던 세종대왕이 그에게 직접 ‘장래에 크게 쓰겠다’는 전지를 내렸을 정도다.

    하지만 당대의 명망가들에게서 학문을 배우고 익히며 이름을 떨치던 그는 스물한 살 되던 해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했다는 소식을 듣고 보던 책을 불사른 뒤 머리를 깎고 방랑길에 접어들었다. 관동, 서북 지방뿐만 아니라 만주벌판에 이르기까지 그의 발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었다고 한다.

    왜구 토벌 ‘홍산대첩’ 현장 매월당 발자취도 여전

    홍산의 동헌 모습.

    부평초 김시습 만수산 무량사에서 한평생 마무리

    31세에 경북 경주로 내려가 금오산 용장사에 ‘금오산실’을 짓고, 그 집의 당호를 매월당이라 붙인 뒤 37세까지 머물면서 그곳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 소설인 ‘금오신화’와 여러 책들을 지으며 천재성을 발휘했다. 47세 되던 해에 느닷없이 머리를 기르고 고기를 먹으며 아내를 맞기도 했으나, 임금이 왕비를 폐하는 ‘폐비윤씨 사사사건(1479년)’이 일어나자 다시 관동지방으로 방랑의 길을 떠났다.

    그가 인생에 대해 비로소 초연해진 것은 오십대에 이르러서였다고 하는데, 그가 이 나라 구석구석을 정처 없이 떠돌다 만년이 되어 마지막으로 찾아든 곳이 바로 충남 부여군 만수산의 무량사(無量寺)였다.

    ‘무량’이란 셀 수 없다는 뜻. 목숨을 셀 수 없고 지혜를 셀 수 없는 곳이 극락이니, 무량사는 극락 정토를 지향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말년의 김시습은 무량사에서 자신의 초상화를 그리곤 ‘네 모습 지극히 약하며 네 말은 분별이 없으니 마땅히 구렁에 버릴지어다’라고 자신을 평가했다고 한다. 무량사에는 지금도 진위를 확인할 수 없지만 불만이 가득한 표정의 김시습 ‘자화상’이 남아 오가는 길손들을 맞고 있다.

    김시습은 59세에 무량사에서 병들어 부평초처럼 떠돌던 한평생을 마무리했다. 그러나 그는 죽음조차 평범하지 않았다. 화장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숨을 거두어 사람들이 그의 시신을 절 옆에 안치해두었는데 3년 뒤 장사를 지내려고 관을 열었더니 김시습의 안색이 생시와 조금도 다름없었다는 것이다. 당시 사람들은 그가 부처가 되었다고 믿어 유해를 불교식으로 다비하였고, 그때 사리 1과가 나오자 부도도 세웠다.

    훗날 김시습전을 지은 율곡 이이는 그를 일컬어 ‘한 번 기억하면 일생 동안 잊지 않았기 때문에 글을 읽거나 책을 가지고 다니는 일이 없었으며, 남의 물음을 받는 일에 응하지 못하는 때가 없었다…. 재주가 그릇 밖으로 흘러 넘쳐서 스스로 수습할 수 없을 만큼 되었으니 그가 받은 기운은 경청(輕淸)은 지나치고, 후중(厚重)은 모자라게 마련된 것이 아니겠는가. 그의 뜻은 윤기(倫紀)를 붙들어서 일월과 빛을 다투었고 그의 풍성(風聲)을 듣는 사람들은 겁쟁이도 융통하는 것을 보면서 가히 백세의 스승이 되기에 남음이 있다’고 하였다.

    왜구 토벌 ‘홍산대첩’ 현장 매월당 발자취도 여전

    김시습이 말년을 보냈던 무량사 전경.

    ‘김시습이 영특하고 예리한 자질로써 학문에 전념하여 공과 실천을 쌓았다면 업적은 한이 없었을 것이다’라며 안타까움을 표해놓은 구절도 있다.

    생전에 ‘그림자는 돌아보았자 외로울 따름이고, 갈림길에서 눈물을 흘렸던 것은 길이 막혔던 탓이다. 삶이란 그날그날 주어지는 것이며, 살아생전의 희비애락은 물결 같은 것이었노라’고 노래했던 매월당이여! 사람의 역사도 나라의 역사도 그렇게 지나가는 것인가. 오늘날 작은 면으로 퇴락한 홍산을 보며 매월당의 삶을 떠올린다.



    가볼 만한 곳

    홍산에서 부여는 지척이다.

    백제의 역사를 제대로 볼 수 있는 부여에서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우리나라 정원의 원조라고 평가받는 궁남지를 둘러보는 것이 좋겠다.

    부소산에 올라 백마강을 바라보며 백제의 역사를 떠올려보는 것도 좋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