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계 가족 질환이 있다면 ‘가슴통증’을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된다.
특정 가족에 집중 발병 경향
평소 비만과 수축기 혈압이 170mmHg를 넘는 고혈압으로 통원치료를 받던 가정주부 정모씨(54). 정씨는 최근 두 시간 이상 지속되는 심한 가슴통증으로 응급실에 실려 갔다. 심초음파 및 흉부 CT를 포함한 각종 검사를 받은 결과 심장에서 머리로 올라가는 대동맥이 심하게 손상돼 파열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씨는 즉시 손상된 대동맥 부위를 인조혈관으로 대체하는 응급수술을 받았다. 비록 수술 후 어느 정도 건강을 회복했지만, 그는 퇴원을 앞두고 병원측으로부터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근본 치료를 강력히 권고받았다. 5형제 중 3명이 뇌졸중이나 심근경색으로 사망한 가족력을 지닌 정씨는 언제라도 응급실에 실려갈 가능성이 높은 이른바 ‘고위험군’ 예비 환자였다.
평소 건강관리를 꾸준히 하거나 고혈압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성인병인 관동맥 질환(동맥경화)이나 다른 심혈관계 질병 등 치명적인 질병으로 이환되는 경우가 있다면 이는 모두 가족력에서 근본 원인을 찾아야 한다. 사실 환경적 위험요소로 분류할 수 있는 흡연을 제외하고는 관동맥 질환의 대표적인 위험인자로 알려진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과 기타 최근에 추가된 다른 위험인자들 모두가 특정 가족에 집중되어 발병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 부천세종병원 심장내과 과장 홍석근 박사는 “부모 중 모계는 65세 이전, 부계는 60세 이전에 관동맥 질환이나 뇌혈관 질환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을 앓은 적이 있다면 그 직계 자녀들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소를 지니고 있을 확률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예방의학적으로 볼 때도 심혈관계 질환은 가족력이 강한 영향을 미치는 질병군이다. △대동맥에 손상을 초래하는 말판 증후군 △뇌혈관이나 관상동맥 동맥경화를 가속화하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심장 근육조직의 특정 부위가 두꺼워지면서 이완기능 장애 및 심장 돌연사를 유발하는 비후성 심근병증 등이 대표적인 질환. 이 질환들은 전통적으로 소수의 특정 가족군에 발생해 치명적인 질병으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일반인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부분은 이런 특정 가족군에서만 나타나는 질환이 아니라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거나 중증의 후유 장애를 남기는 유전성 질병들이다. 심근경색증과 함께 발생하는 고혈압, 당뇨병, 혼합형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확장성 심근병증 등이 이에 속한다.
심혈관 조영술을 받고 있는 환자.
당뇨병은 동맥경화를 심화시키는 일등공신. 심혈관계 질환이 전체 당뇨병 환자 사망원인의 80%를 차지하는 것도 이와 연관성이 크다. 전 국민의 10%를 차지하는 당뇨병 환자 중 50% 정도가 가족력으로 인해 발병한 경우다.
동맥경화를 가속시키는 혼합형 고콜레스테롤혈증도 여러 유전자가 관련되는 가족력 질환이다. 심부전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확장성 심근병증은 심장근육 자체에 이상이 발생, 심장 기능이 약화되는 질환. 진단 후 5년 이내에 환자의 50% 이상이 사망하는 무서운 병이다. 이 질환은 보고자에 따라 6~23%까지 차이가 있지만 보통 15%의 환자에게서 가족력을 볼 수 있다.
복부 비만 사망률과 매우 밀접
관상동맥 중자술을 통해 좁아졌던 혈관 내경을 넓힐 수 있다. 사진은 수술 전(위)과 수술 후의 모습.
심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금연을 비롯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다. 흡연은 심혈관 질환의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이므로 흡연을 하면서 병에 걸리지 않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혈압이 높은 사람들은 짠 음식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
부천세종병원 홍박사는 “염분 섭취는 혈압 상승과 상관이 있다”며 “한국인의 식단 성격상 염분 섭취량이 일반 저염식 치료식인 하루 5g보다 월등히 많아 쉽지는 않지만 지나치게 짜거나 매운 음식과 인스턴트 식품은 되도록 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