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5년 영업을 시작한 ‘수유손칼국수’는 쌍문동을 대표하는 서민식당으로 손색이 없다. 커다란 그릇에 가득 담긴 칼국수를 보면 먼저 포만감이 느껴진다. 멸치육수에 바지락을 넣어 끓인 국물은 맑고 맛이 깊다. 고명으로 들어간 바지락과 호박, 감자, 김가루의 구성이 오래된 칼국수의 맛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쌍문동 일대를 돌아다니다 보면 유독 돼지갈비를 파는 집들이 눈에 띈다. 냉면집으로 시작해 돼지갈빗집으로 명성을 굳힌 ‘감포면옥’은 쌍문동 사람들이 고기가 당길 때 많이 찾는 집이다. 경기 수원의 소 왕갈비처럼 길이 10cm가 넘는 돼지 왕갈비로 일대를 평정한 집이다. 저렴한 가격과 엄청난 양 덕에 유명해졌다. 갈비탕을 시키면 갈비찜을 주는 집으로 유명한 ‘쌍문각’도 동네 사람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갈비탕을 시키면 달콤한 갈비찜은 물론이고, 10여 가지 반찬이 딸려 나온다.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매운갈비찜이다.
쌍문역 주변의 ‘한우양곱창구이’는 이름과 달리 돼지곱창이 더 유명하다. 돼지곱창은 냄새를 잡는 게 가장 힘든데 이 집 곱창은 냄새가 없고 보들보들하다. 마지막엔 남은 곱창에 밥을 볶아 먹는다. 서민들이 고기를 먹는 전형적인 방식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삼일회관’은 가정식 백반 같은 반찬에 푸짐한 밥, 그리고 옛날식 부대찌개로 토박이들

정의여고 앞에는 치즈밥을 파는 분식집이 몇 군데 있다. 처음 치즈밥을 시작한 ‘호호분식’은 젊은이들로 장사진을 이룬다. 돌솥에 케첩, 치즈를 넣고 비벼 먹는 밥은 맵고 달고 짭조름하다. 이런 맛을 싫어할 젊은이는 없다. 가격은 미안할 정도로 저렴하고 맛은 기대 이상이다. 부부가 음식을 만들고 주문을 받으니 그 자체로 훈훈하다.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은 한동안 잊고 살던 공동체를 복원해 사람들을 열광케 했다. 공동체를 이루는 가장 큰 요소로 음식만한 게 없다. 혼밥(혼자 먹는 밥), 혼술(혼자 먹는 술)이 유행하는 요즘, 밥을 같이 먹는 식구문화가 왠지 먼 이야기처럼 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