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15/05/79/72/1505797223558.png)
“저희는 쉽고 편한 방법을 쓰지 않아요.”
1993년 설립된 아처리 서밋은 고품질 소량생산을 추구하는 와이너리다. 와인메이커로 잔뼈가 굵은 크리스 마자핑크(Chris Mazapink)와 엘리니 파파다키스, 30년 넘게 오리건의 포도밭을 지켜온 팀 스콧(Tim Scott)이 핵심 멤버다. 이들은 자신의 전문 분야가 있지만 각자 일을 구분하지 않는다. 포도 재배부터 와인 생산, 발효조와 배럴 세척까지 모든 일을 함께 한다. 자동화는 안 했다. 모든 과정에는 ‘자연’과 ‘수작업’이라는 키워드가 존재한다.
아처리 서밋의 6개 밭은 각기 개성 넘치는 포도를 생산한다. 양조장에서도 동력을 이용해 와인을 펌핑하지 않는다. 포도가 발효조로 이동하고 와인이 배럴로 옮겨지는 모든 경로에 중력을 활용한다. 와인을 자연스럽게 다뤄 품질과 개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다. 와인 숙성은 산을 파서 만든 자연 동굴을 이용한다. 자연이 제공하는 섭씨 13~15도 온도와 75% 습도야말로 와인 숙성의 최적 조건이기 때문이다.
![](https://dimg.donga.com/a/700/0/90/5/egc/CDB/WEEKLY/Article/15/05/79/72/1505797238927.png)
아처리 서밋은 오크통을 2단 이상 쌓지 않는다. 와인이 익는 동안 끊임없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다. 파파다키스는 배럴마다 어느 밭의 포도로 만든 와인이 들어 있는지 기억한다고 했다.
“배럴 하나하나에 손을 대고 와인에 귀를 기울여요. 그러면 포도를 기르고 와인을 만들면서 겪은 에피소드가 생각나요.”
그의 말에 어린 시절 매일 장독을 닦고 장맛을 살피던 할머니의 모습이 떠올랐다. 아처리 서밋 와인이 왜 맛있는지 알 것 같았다. 정성과 손맛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