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동아 로고

  • Magazine dongA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국고전번역원과 함께하는 잠언

시아사덕잠(示兒四德箴)

  • 하승현 선임연구원
입력
2016-07-18 17:36:14
  • 작게보기
  • 크게보기

시아사덕잠(示兒四德箴)

시아사덕잠(示兒四德箴)
- 네 가지 덕을 일러주노라




너에게 경계하노니, 교만하게 굴지 마라
교만하면 덕을 해친다
어떻게 교만함을 없앨까?
요체는 겸손함에 있다

너에게 경계하노니, 게을리하지 마라
게으르면 할 일을 덮어두게 된다
어떻게 게으름을 다스릴까?
요체는 부지런함에 있다

너에게 경계하노니, 엉성하게 하지 마라
생각이 엉성하면 놓치는 게 있다
어떻게 엉성함을 다스릴까?
요체는 자세히 살피는 데 있다



너에게 경계하노니, 들뜨지 마라
기운이 들뜨면 지나치게 된다
어떻게 들뜸을 누를까?
요체는 평정을 유지하는 데 있다


示兒四德箴

戒爾勿驕 驕則傷德 何以去驕 要在謙抑
戒爾勿惰 惰則廢職 何以制惰 要在勤恪
戒爾勿疏 慮疏則渗 何以治疏 要在詳審
戒爾勿浮 氣浮則勝 何以鎭浮 要在沈靜

조선시대 학자 명곡(明谷) 최석정(崔錫鼎·1646~1715)이 50세에 지은 글입니다. 겸손한 마음으로 교만한 마음을 없애면 덕이 길러지고, 부지런한 마음으로 게으른 마음을 없애면 일을 잘 처리할 수 있으며, 자세히 살피고 엉성함을 다스리면 생각을 철저히 할 수 있고, 평정을 유지해 들뜨지 않으면 지나침이 없을 수 있습니다. 교만하게 굴지 말고 게을리하지 말며 엉성하게 하지 말고 들뜨지 말라는 부모의 당부는 자식이 덕 있고, 일 잘하고, 정확히 판단하고, 지나침이 없는 인격체가 되기를 바라는 데서 나오는 것이겠지요.
- 하승현 선임연구원 



직접 써보세요
 
어떻게 교만함을 없앨까?
요체는 겸손함에 있다

何以去驕 要在謙抑
하이거교 요재겸억







주간동아 1047호 (p62~62)

하승현 선임연구원
다른호 더보기 목록 닫기
1391

제 1391호

2023.05.26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