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40

2018.05.30

구가인의 구구절절

'버닝’의 메타포를 이해하기 위한 안내서

이창동 감독의 ‘버닝’

  • 입력2018-05-29 11:28: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반응은 갈렸다. ‘마스터피스’ 같은 칭찬도 많지만, ‘잘 모르겠다’는 평도 적잖다. 노골적 비난은 많지 않다. ‘작품을 이해하기엔 내가 부족하다’류의 ‘내 탓이오’ 댓글이 일부 눈에 띄는 것도 이 영화의 특징이다. 

    이창동 감독이 8년 만에 내놓은 신작 ‘버닝’은 배우 유아인, 스티브 연의 출연으로 화제가 됐고, 올해 칸영화제 경쟁부문에도 올랐다. 다만 대사에 ‘메타포’에 대한 언급이 나올 만큼 상징과 은유가 많고 극 중 현실과 판타지의 경계도 모호해 난해하다는 평이 꽤 있었다. 

    원활한(?) 이해를 위해 원작소설인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 ‘헛간을 태우다’를 읽는 건 도움이 된다. 영화는 소설 속 2명의 남성(‘나’ ‘그’)과 1명의 여성(‘그녀’)이라는 삼각구도와 일부 에피소드를 인용했지만, 두 작품의 분위기는 전혀 다르다(이하 스포일러 있음). 

    영화 속 종수(유아인 분)는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는 소설가 지망생이다. 하루는 배달 간 곳에서 어린 시절 동네친구 해미(전종서 분)를 만난다. 둘은 금세 가까워지고, 종수는 아프리카 여행을 떠나는 해미로부터 고양이를 돌봐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그러나 여행에서 돌아온 해미 곁엔 벤(스티븐 연 분)이라는 남자가 있다. 부유한 벤은 미스터리한 인물이기도 하다. 어느 날 벤은 종수에게 자신의 비밀스러운 취미, 비닐하우스 방화에 대해 고백한다. 

    하루키 소설의 주인공(나)이 서른한 살의 유부남 소설가로 담담한 관찰자에 가까운 반면, 불안한 20대인 종수는 좀 더 많은 감정을 분출한다. 해미에게 애틋한 감정을 느끼는 종수는 벤을 질투한다. 영화에선 사회적 계층도 또렷하다. 종수와 해미는 대남방송이 들리는 경기 파주의 농촌 출신. 반면 강남 고급빌라에 살며 포르쉐를 끌고 다니는 벤은 ‘재미’를 추구하는 인물이다. 종수는 해미에게 벤을 일컬어 “한국엔 개츠비(젊은 나이에 부자가 된 소설 ‘위대한 개츠비’의 주인공)가 너무 많다”고 말한다. 



    영화는 미국 소설가 윌리엄 포크너도 인용한다. 종수는 좋아하는 작가로 포크너를 꼽으며 “내 이야기 같다”고 말한다. 하루키 소설과 제목이 같은 포크너의 단편(국내에는 ‘헛간 방화’ ‘헛간 타오르다’ 등으로 소개)에서 주인공의 아버지는 세상에 대한 분노를 남의 헛간을 태우는 것으로 분출한다. 영화 속 분노조절장애를 가진 종수의 아버지 역시 공무원 폭행으로 법정에 선다.

    불태우거나 사라지는 청춘

    영화와 두 소설의 공통점은 태우는 행위다. 물론 “비닐하우스를 태운다”는 벤의 말은 살인의 메타포에 가깝다. 종수는 “주변 비닐하우스를 태울 것”이라는 벤의 얘기를 듣고 지속적으로 자신의 주변 비닐하우스를 살피지만 방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하루키 소설 속 헛간처럼 벤의 비닐하우스 방화는 여성의 실종과 연결된다. 벤은 “지저분해서 눈에 거슬리는 비닐하우스를 태우며 희열을 느낀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것조차 모호하다. 소설이나 영화 모두 살인에 대해서는 단정적으로 묘사하는 부분이 없다. 

    동시에 방화는 분노의 표출이기도 하다. 포크너 소설에서 아버지의 분노를 물려받은 무기력한 소년처럼 느껴지는 종수는 영화 말미 방화를 저지른다. 이창동 감독은 최근 매체 인터뷰에서 “젊은 주인공이 나오고 젊은이의 삶의 방식을 담았는데, 꼭 청춘에 대한 이야기라기보다 우리가 사는 세상과 현실이 어떤 모습인지 묻고 싶었다”며 “요즘 젊은이는 종수가 사는 파주나 벤이 사는 서래마을 사이 어딘가에 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2명의 청춘 남성이 불안과 분노를 다른 방식으로 표출하고 있다면, 그사이에서 해미라는 여성이 연기처럼 사라져버렸다는 점이 눈에 띈다. 손바닥만 한 햇살이 아주 가끔 스며드는 원룸에 살며 카드 값에 허덕이는 해미는 “배가 고픈 사람이 아닌 삶의 의미에 굶주린 사람, 그레이트 헝거”를 꿈꾸던 인물이기도 하다. 다만 해미의 존재가 남성 주인공을 움직이는 동력에 그쳐버린 듯한 느낌은 다소 아쉽다. 

    과거 이 감독의 데뷔작인 ‘초록 물고기’를 기억하는 팬이라면 청춘을 바라보는 비슷한 듯 다른 시선을 감지하는 재미가 있다. 물론 약 150분의 상영시간 동안 상당한 집중력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호불호는 갈릴 수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