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98

..

워싱턴에 쿠바 국기 나부끼던 날

54년 만에 업무 재개한 대사관…찬반 시위대로 아수라장

  • 신석호 동아일보 워싱턴 특파원 kyle@donga.com

    입력2015-07-27 13:4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54년 만에 쿠바 국기가 다시 내걸린 미국 워싱턴 시내 쿠바대사관은 백악관에서 정북 방향으로 뻗은 16번가에 자리 잡고 있다. 누구든 백악관에서 이곳으로 가려면 길 하나만 타고 운전하거나 걸으면 도착할 수 있는 거리인 셈이다. 하지만 2.5km라는 거리는 짧지 않았다. 각국 대사관이 밀집한 듀폰트 서클을 한참이나 지난, 한마디로 워싱턴 주변부였다. 서울로 치면 사대문 북쪽 밖이라고나 할까.

    묘한 위치는 건물이 지어진 1916년 당시 사실상 미국 식민지였던 쿠바의 위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쿠바는 캐나다, 멕시코 등과 함께 미국과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나라지만, 미국의 도움으로 스페인의 400년 식민지에서 갓 벗어난 가난한 섬나라였다. 감히 ‘워싱턴의 사대문’ 안에 대사관을 낼 만한 경제적 능력도, 위상도 없었을 것이 분명하다.

    그나마 1961년 1월 3일 국교가 단절되면서 더욱 멀어졌던 두 나라는 54년 만에 다시 쿠바혁명 이전 관계로 회복을 모색하고 있다. 77년부터 이익대표부로 쓰이던 이 건물이 다시 대사관으로 승격된 뒤 열린

    7월 20일 오전(현지시각) 개관식은 쿠바 군의장대의 쿠바 국기 게양과 양국 국가 연주로 절정을 맞았다. 개관식이 끝난 뒤 대사관 주변은 ‘친(親)카스트로’와 ‘반(反)카스트로’를 외치는 시위대들의 외침으로 한동안 아수라장이 됐다.

    국교정상화 지지자들은 분홍색 우산으로 ‘US Y CUBA AMIGOS(미국과 쿠바는 친구)’라는 글자 구호를 만들었다. ‘쿠바 시, 엠바고 노(쿠바 예, 금수조치 아니오)’를 연신 외치며 “미국은 쿠바 금수조치를 해제하라”고 요구했다. 현장에서 만난 페루 출신 미국인 바실리오 사네스(62)는 기자에게 “나는 쿠바와 쿠바인, 그들의 역사를 사랑한다”며 “이번 미국과의 국교정상화로 쿠바 역사는 한 단계 더 나아갔다”고 말했다.



    반면 바로 옆에서 피켓을 들고 쿠바 민주화시위를 하던 민간단체 회원 아미메리 리오스(31)는 “미국과 유럽 정부들이 카스트로 독재정권에게 ‘자유선거를 실시하고 주민 인권을 보장하라’며 협상을 요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999년 부모와 함께 쿠바를 탈출해 미국에 정착한 그는 “쿠바에 투자하는 다국적기업들이 카스트로 독재를 유지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카스트로 시위대는 ‘쿠바 시, 카스트로 노(쿠바 예, 카스트로 아니오)’라고 외치며 오바마 행정부를 압박했다.

    역사적인 대사관 재개관식에 참석한 브루노 로드리게스 파리야 쿠바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후 미 국무부를 찾아 존 케리 장관과 회담을 가졌다. 쿠바 외교부 장관이 미 국무부 청사를 방문한 것은 카스트로 혁명 직전인 1958년 이후 최초라고 미국 언론들이 보도했다. 케리 장관은 쿠바 수도 아바나의 미국대사관에서 국기 게양식을 주재하기 위해 8월 14일 쿠바를 방문할 예정이다.

    케리 장관은 “오늘은 그동안 고장 났던 것을 고치고 너무 오래 닫혔던 것을 여는 날”이라며 “쿠바 국민 및 정부가 미국과 새로운 관계를 시작하게 된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로드리게스 파리야 장관은 쿠바에 대한 미국의 경제제재 해제와 쿠바 관타나모의 미 해군기지 대지반환 등을 요구했다. 케리 장관은 의회가 권한을 쥐고 있는 금수조치가 해제되길 바란다면서도 관타나모 반환은 거부했다고 미국 언론들이 전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