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39

..

로비스트 박태규 둘러싼 朴 대 朴 공방 外

  • 입력2012-05-25 17:1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로비스트 박태규 둘러싼 朴 대 朴 공방

    로비스트 박태규 둘러싼 朴 대 朴 공방 外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과 부산저축은행 로비스트 박태규 씨의 만남 여부가 여야 거물의 팽팽한 기싸움을 낳고 있다. 의혹을 제기한 박지원 민주통합당 원내대표와 인터넷 팟캐스트 ‘나는 꼼수다’팀을 박 전 비대위원장이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자, 박 원내대표는 오히려 “흥미진진한 일이 벌어지겠다”고 반응했다. 그는 “두 사람이 만났다는 제보의 확실성을 믿는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 전 비대위원장 측은 “제1야당 대표가 언론플레이를 한다”며 “관련 자료를 즉각 공개하라”고 맞섰다. 구속된 로비스트 박씨는 그동안 지인들에게 “박 전 비대위원장을 만났다”고 말했으며 이 같은 내용의 진술을 검찰이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의 칼에 누가 쓰러질 것인가.

    최시중, 구속집행정지 결정 전 이미 병원에

    로비스트 박태규 둘러싼 朴 대 朴 공방 外
    파이시티 인허가 로비자금을 받은 혐의로 구속기소된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5월 23일 삼성서울병원에서 심혈관 수술을 받았다. 문제는 최 전 위원장이 법원의 구속집행정지 결정이 나기도 전에 이미 구치소를 나와 병원에 입원했다는 사실이다. 최 전 위원장 측은 5월 21일 수술해야 한다며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구속집행정지 신청을 냈다. 법원이 수술의 긴급성을 따져보려고 심문기일을 23일로 잡았으나, 그는 21일 오전 이미 병원 침대에 누워 있었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안 법원과 검찰은 당혹스러워했다. 그러나 불법은 아니다. 구치소장이 허락하면 수용자도 외부 의료시설에서 진료받을 수 있도록 법률로 규정하고 있다. 그렇더라도 ‘실세는 다르다’는 뒷말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나스닥 상장 페이스북의 모럴해저드



    로비스트 박태규 둘러싼 朴 대 朴 공방 外
    5월 18일 나스닥에 화려하게 이름을 올린 페이스북 주가가 연일 급락하는 가운데, 페이스북이 주가 전망치를 은폐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월 22일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에 따르면, 페이스북 주간사인 모건스탠리는 페이스북 상장을 앞두고 연 투자설명회에서 페이스북 주가 전망치를 크게 낮춘 기업 가치 보고서를 일부 투자자에게만 제공했다. 이에 페이스북 투자자들은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와 모건스탠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논란이 커지자 미국 금융당국도 조사에 나섰다. 페이스북 주가는 첫날 공모가 38달러를 조금 웃도는 42.05달러까지 오른 뒤 하락세를 거듭해 5월 22일엔 31달러로 마감했다. 한편 저커버그는 페이스북을 나스닥에 상장하고 다음 날 깜짝 결혼했다. 그사이 시가총액 수백억 달러가 증발했다.

    지난해 미래저축은행 숨은 구원자는 김승유?

    로비스트 박태규 둘러싼 朴 대 朴 공방 外
    저축은행비리 합동수사단(단장 최운식 부장검사)이 5월 23일 하나금융지주 계열사인 하나캐피탈 본점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하나캐피탈이 지난해 9월 사실상 퇴출을 앞둔 미래저축은행 유상증자에 145억 원을 투자했는데, 그때 금품 수수나 외압이 있었는지 규명하기 위해서다. 검찰은 최근 미래저축은행 관계자를 소환 조사하는 과정에서 하나캐피탈이 투자를 결정하는 데 김승유 전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관여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압수물을 분석해 김 전 회장의 개입 여부를 확인할 방침이라고 한다.

    금융권에서는 지난해부터 하나캐피탈이 미래저축은행에 투자한 시기를 두고 뒷말이 무성했다. 적기 시정조치(퇴출)를 유예받았으나 사실상 생존이 불투명한 미래저축은행에 거액을 투자한 것도 무리수인데, 시가가 불분명한 그림과 감정가를 웃도는 근저당권이 설정된 건물 등을 담보로 잡은 것은 정상적 투자 관행과 거리가 멀기 때문. 하나캐피탈은 연 10%의 수익률을 보장받고 박수근 화백 작품 등 그림 5점과 김찬경 미래저축은행 회장의 동생 명의로 된 건물 등을 담보로 잡았다. 김 회장이 차명으로 소유한 골프장 회원권을 하나은행이 18억 원을 주고 구입한 것을 두고도 김 전 회장의 입김이 작용했으리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 전 회장은 이런 의혹을 강력 부인했다. 하나캐피탈 측도 “투자자로서 수익을 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유상증자에 참여했을 뿐 어떠한 정치적 판단이나 외압도 없었다”고 해명했다. 고위험·고수익 투자 원칙을 지켰을 뿐인가요?



    News Briefing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