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학교 6학년 수진(가명)이는 같은 반 민혁(가명)이를 오랫동안 좋아해왔다. 민혁이도 자신에게 관심 있다고 생각한 수진이는 부모가 집을 비운 날 민혁이를 초대했다. 민혁이에게 “사랑한다”고 고백하며 스킨십을 주도한 수진이. 민혁이는 본능적으로 발기했고 결국 성관계까지 이르렀다. 수진이는 임신했다.
부모는 낙태를 권했지만, 수진이는 아이를 낳겠다고 고집했다. ‘사랑하는 민혁이의 아이’라는 게 이유. “드라마를 보면 결혼하지 않고도 사랑하는 남자의 아이를 낳더라”며 고집을 피우는 수진이. 부모는 어안이 벙벙해졌다. 반장에다 공부도 잘했던 민혁이 또한 자신에게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조차 가늠하지 못하며 우왕좌왕했다.
# 경기도 모 초등학교 운동장. 5학년 남학생 7명과 여학생 2명이 모여 있었다. 이 중 호영(가명)이와 민정(가명)이는 사귄 지 100일 된 커플. 친구들이 “너희 사귄 지 100일 됐으니 이 자리에서 뽀뽀해”라고 강요했다. 호영이는 며칠 전 친구들과 본 포르노가 생각났다. 상상도 못한 ‘기괴한’ 짓들이 눈앞에서 펼쳐졌는데, 고추가 단단해지면서 기분이 야릇했다.
민정이는 혀와 혀가 닿는 뽀뽀는 더러워서 싫었다. 하지만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연인들은 다 그렇게 뽀뽀를 했다. 사귄다면 그 정도야 할 수 있지 않나 싶었다. 두 아이는 친구들 앞에서 입을 맞췄고, 호영이는 민정이의 입 안에 혀를 집어넣었다. 민정이는 찜찜했지만 호영이가 기분 나빠할까 봐 거절하지 못했다. 친구들은 박수를 치면서 환호했다.
어른들은 어린이가 무성(無性)의 존재로 남길 원한다. 어린이에게 성적인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 자체가 터부시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은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조숙하다. 초등학교 교사 김희주 씨는 “4학년만 되면 가슴이 나오고 초경을 하는 여자아이가 많다”며 “가슴이 나오면 부끄러워서 감추려 하던 과거와 달리 요즘 아이들은 ‘S라인’ 몸매를 동경하며 자신 있게 가슴을 펴고 다닌다.
또 고학년 남학생 중엔 덩치가 커지고 여드름이 생기며 변성기가 시작된 아이도 많다”고 전했다. ‘성조숙증’으로 진료를 받는 아이도 급증했다. 성조숙증이란 여아는 만 9세 이전, 남아는 만 10세 이전에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증상. 대개 여아는 유방의 발육으로, 남아는 성기가 커지거나 변성기가 나타나는 것 등으로 성조숙증 여부를 알 수 있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에게 제출한 ‘성조숙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성조숙증으로 진료받은 어린이는 1만4751명으로 2004년 2795명보다 5.3배 늘었다.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진료받은 어린이는 4만명에 가깝다. 이 중 여아가 3만6111명으로 91.6%, 남아가 3311명으로 8.4%를 차지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가슴이 도드라지게 나오는 여아와 달리 남아는 성조숙증이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성조숙증을 보이는 남아가 드러난 것보다는 훨씬 많을 것”이라고 말한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성 관련 매체도 주범
(사)푸른아우성 구성애 대표는 “요즘 아이들은 육식 위주로 식사를 하고, 운동은 거의 안 하며, 스트레스는 과다하게 받는다. 이런 생활은 2차 성징을 일으키는 호르몬의 발생을 촉진하고, 그 결과 성조숙증을 가진 아이들이 늘었다”며 “신체적 성숙으로 정서적 사춘기도 빨라진다는 게 문제”라고 강조했다. 즉 사춘기적 특성인 조울증(여아)과 분노 및 공격성(남아)이 갈수록 어린 나이에서 나타나게 됐다는 것.
너무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성 관련 매체도 요즘 아이들을 조숙하게 만드는 주범이다. ‘아하! 청소년 성문화센터’의 김은주 교육사업팀장은 “판단 능력이 미숙한 나이에 수위가 높은 성적 정보를 접하면서 정서적으로 조숙해지는 경향이 있다”라고 했다.
TV 화면은 키스하고 애무하는 연인들로 가득하고, 드라마 주인공들은 결혼을 안 해도 사랑한다면 성관계를 맺고 아이를 낳는다. 인터넷에는 음란사이트와 성인용 영상물이 가득하다.
보건복지가족부가 일반 청소년(전국 중고교 재학생 1만4716명)과 위기 청소년(전국 소년원 수용 청소년, 가출 청소년, 학교 부적응 청소년 159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08 청소년 유해환경 접속 종합실태조사’에 따르면, 일반 청소년이나 위기 청소년 모두 유해매체를 처음 접한 시기로 중학교 1학년이 가장 높았고 초등학교 4~6학년이 그 뒤를 이었다.
‘性은 재미있고 좋은 것’ 아끼고 관리하는 법 가르쳐야
이렇게 신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조숙해진 아이들에게 성교육은 어떻게 시켜야 할까. 구성애 대표는 “알 것 다 아는 아이들에게 순결을 강조하거나 임신, 출산에만 초점을 맞춘 성교육을 하면 비웃음만 산다”며 “이제 성교육은 윤리, 가치관이 아닌 성건강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선 아이들에게 ‘성은 더럽고 부끄럽고 변태 같은 게 아니라, 정말 재미있고 좋은 것’이라는 개념부터 심어줘야 해요. 지금 성을 아끼고 관리하는 이유도, 재미있고 좋은 성을 오랫동안 즐기기 위해서라고 가르치는 거죠.”
즉 △ 생리를 하면 나이가 어려도 임신할 수 있지만, 몸이 완전히 성숙하는 19세 이후에 아이를 가져야만 건강히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성인이 되기 전 성관계를 하는 건 좋지 않고, 부득이하게 하더라도 반드시 피임을 해야 한다 △ 음란물이 자극적이고 재미있을 수 있지만 그런 것을 많이 보면 쉽게 흥분하고 사정도 빨리 해 어른이 됐을 때 여자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남자가 될 수도 있다 △ 자신의 성이 건강하게 성숙될 수 있도록, 이성친구가 아무리 성적 행위를 원해도 ‘싫다’고 거절할 수 있어야 한다고 교육해야 한다는 것.
구 대표는 이런 성교육이 초등학교 1~3학년 때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왜곡된 성지식으로 가득 찬 음란물이 아이들의 머리를 장악하기 전에 건전하고 건강한 성의식을 심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가정 내 성교육도 중요하다.
김은주 팀장은 “13세 이하 어린이들은 부모와의 거리감도 적고 이야기도 많이 나누기 때문에 가정 내 성교육의 효과가 높다”고 설명했다(상자기사 참조).
또 가정에서는 아이가 성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게 도와줘야 한다. 아이에게 육식보다는 다양한 영양소가 담긴 식단으로 음식을 해주고, 땀 흘려 운동하도록 하며, 스트레스를 덜 받게 해주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아이들의 생각과 말을 믿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초등학교에서 성교육을 담당하는 보건교사 정혜진 씨는 “성과 생명에 대한 아이들의 사고가 무척 깊다는 데 종종 놀란다”며 “어른들이 아이들을 하나의 삶의 주체로 존중해주면, 아이들은 자신을 소중한 존재로 여기며 말과 행동을 더욱 조심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부모는 낙태를 권했지만, 수진이는 아이를 낳겠다고 고집했다. ‘사랑하는 민혁이의 아이’라는 게 이유. “드라마를 보면 결혼하지 않고도 사랑하는 남자의 아이를 낳더라”며 고집을 피우는 수진이. 부모는 어안이 벙벙해졌다. 반장에다 공부도 잘했던 민혁이 또한 자신에게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조차 가늠하지 못하며 우왕좌왕했다.
# 경기도 모 초등학교 운동장. 5학년 남학생 7명과 여학생 2명이 모여 있었다. 이 중 호영(가명)이와 민정(가명)이는 사귄 지 100일 된 커플. 친구들이 “너희 사귄 지 100일 됐으니 이 자리에서 뽀뽀해”라고 강요했다. 호영이는 며칠 전 친구들과 본 포르노가 생각났다. 상상도 못한 ‘기괴한’ 짓들이 눈앞에서 펼쳐졌는데, 고추가 단단해지면서 기분이 야릇했다.
민정이는 혀와 혀가 닿는 뽀뽀는 더러워서 싫었다. 하지만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연인들은 다 그렇게 뽀뽀를 했다. 사귄다면 그 정도야 할 수 있지 않나 싶었다. 두 아이는 친구들 앞에서 입을 맞췄고, 호영이는 민정이의 입 안에 혀를 집어넣었다. 민정이는 찜찜했지만 호영이가 기분 나빠할까 봐 거절하지 못했다. 친구들은 박수를 치면서 환호했다.
어른들은 어린이가 무성(無性)의 존재로 남길 원한다. 어린이에게 성적인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 자체가 터부시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은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조숙하다. 초등학교 교사 김희주 씨는 “4학년만 되면 가슴이 나오고 초경을 하는 여자아이가 많다”며 “가슴이 나오면 부끄러워서 감추려 하던 과거와 달리 요즘 아이들은 ‘S라인’ 몸매를 동경하며 자신 있게 가슴을 펴고 다닌다.
또 고학년 남학생 중엔 덩치가 커지고 여드름이 생기며 변성기가 시작된 아이도 많다”고 전했다. ‘성조숙증’으로 진료를 받는 아이도 급증했다. 성조숙증이란 여아는 만 9세 이전, 남아는 만 10세 이전에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증상. 대개 여아는 유방의 발육으로, 남아는 성기가 커지거나 변성기가 나타나는 것 등으로 성조숙증 여부를 알 수 있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에게 제출한 ‘성조숙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성조숙증으로 진료받은 어린이는 1만4751명으로 2004년 2795명보다 5.3배 늘었다.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진료받은 어린이는 4만명에 가깝다. 이 중 여아가 3만6111명으로 91.6%, 남아가 3311명으로 8.4%를 차지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가슴이 도드라지게 나오는 여아와 달리 남아는 성조숙증이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성조숙증을 보이는 남아가 드러난 것보다는 훨씬 많을 것”이라고 말한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성 관련 매체도 주범
(사)푸른아우성 구성애 대표는 “요즘 아이들은 육식 위주로 식사를 하고, 운동은 거의 안 하며, 스트레스는 과다하게 받는다. 이런 생활은 2차 성징을 일으키는 호르몬의 발생을 촉진하고, 그 결과 성조숙증을 가진 아이들이 늘었다”며 “신체적 성숙으로 정서적 사춘기도 빨라진다는 게 문제”라고 강조했다. 즉 사춘기적 특성인 조울증(여아)과 분노 및 공격성(남아)이 갈수록 어린 나이에서 나타나게 됐다는 것.
너무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성 관련 매체도 요즘 아이들을 조숙하게 만드는 주범이다. ‘아하! 청소년 성문화센터’의 김은주 교육사업팀장은 “판단 능력이 미숙한 나이에 수위가 높은 성적 정보를 접하면서 정서적으로 조숙해지는 경향이 있다”라고 했다.
TV 화면은 키스하고 애무하는 연인들로 가득하고, 드라마 주인공들은 결혼을 안 해도 사랑한다면 성관계를 맺고 아이를 낳는다. 인터넷에는 음란사이트와 성인용 영상물이 가득하다.
보건복지가족부가 일반 청소년(전국 중고교 재학생 1만4716명)과 위기 청소년(전국 소년원 수용 청소년, 가출 청소년, 학교 부적응 청소년 159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08 청소년 유해환경 접속 종합실태조사’에 따르면, 일반 청소년이나 위기 청소년 모두 유해매체를 처음 접한 시기로 중학교 1학년이 가장 높았고 초등학교 4~6학년이 그 뒤를 이었다.
‘性은 재미있고 좋은 것’ 아끼고 관리하는 법 가르쳐야
이렇게 신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조숙해진 아이들에게 성교육은 어떻게 시켜야 할까. 구성애 대표는 “알 것 다 아는 아이들에게 순결을 강조하거나 임신, 출산에만 초점을 맞춘 성교육을 하면 비웃음만 산다”며 “이제 성교육은 윤리, 가치관이 아닌 성건강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선 아이들에게 ‘성은 더럽고 부끄럽고 변태 같은 게 아니라, 정말 재미있고 좋은 것’이라는 개념부터 심어줘야 해요. 지금 성을 아끼고 관리하는 이유도, 재미있고 좋은 성을 오랫동안 즐기기 위해서라고 가르치는 거죠.”
즉 △ 생리를 하면 나이가 어려도 임신할 수 있지만, 몸이 완전히 성숙하는 19세 이후에 아이를 가져야만 건강히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성인이 되기 전 성관계를 하는 건 좋지 않고, 부득이하게 하더라도 반드시 피임을 해야 한다 △ 음란물이 자극적이고 재미있을 수 있지만 그런 것을 많이 보면 쉽게 흥분하고 사정도 빨리 해 어른이 됐을 때 여자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남자가 될 수도 있다 △ 자신의 성이 건강하게 성숙될 수 있도록, 이성친구가 아무리 성적 행위를 원해도 ‘싫다’고 거절할 수 있어야 한다고 교육해야 한다는 것.
경기도 파주의 잼잼성교육체험관에서 단체교육을 받는 어린이들.
김은주 팀장은 “13세 이하 어린이들은 부모와의 거리감도 적고 이야기도 많이 나누기 때문에 가정 내 성교육의 효과가 높다”고 설명했다(상자기사 참조).
또 가정에서는 아이가 성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게 도와줘야 한다. 아이에게 육식보다는 다양한 영양소가 담긴 식단으로 음식을 해주고, 땀 흘려 운동하도록 하며, 스트레스를 덜 받게 해주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아이들의 생각과 말을 믿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초등학교에서 성교육을 담당하는 보건교사 정혜진 씨는 “성과 생명에 대한 아이들의 사고가 무척 깊다는 데 종종 놀란다”며 “어른들이 아이들을 하나의 삶의 주체로 존중해주면, 아이들은 자신을 소중한 존재로 여기며 말과 행동을 더욱 조심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