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 사고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대표적으로는 악천후, 기체 결함, 조종사 과실, 관제사 과실, 테러 등을 들 수 있다. 심지어는 지나가던 새와 부딪쳐 비행기가 추락하는 경우도 있다. 만약 새가 엔진 속으로 빨려 들어가면 폭발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 가운데 단 한순간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분야가 항공관제다. 조종사는 비행기가 일단 정해진 항로에 오르면 자동조종으로 전환시키고 한숨 돌릴 수 있지만, 관제사들은 모든 비행기의 궤적과 위치를 매순간 끊임없이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긴장을 늦출 수 없다. 그래서 항공관제를 가리켜 “폭발할지도 모르는 말을 가지고 3차원 장기를 두는 것”이라고 한다.
관제사들 덕분에 대형 항공참사를 극적으로 모면한 일도 있다. 1975년 11월26일 미국에서 실제 일어났던 일. 미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공항의 관제사 1명이 근무 교대를 하고 관제석에 앉았다. 그는 레이더 화면을 살펴본 지 1분도 안 되어 엄청난 위기 상황이 임박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승객 194명을 태우고 시카고에서 날아온 아메리칸 항공사 소속 DC-10기가 지정된 고도에 오르기 위해 동쪽으로 상승중이었는데, 바로 그 고도의 맞은편에서 114명이 탄 TWA 점보여객기 1대가 날아오고 있었다. 불과 몇 초 뒤면 두 비행기는 디트로이트 부근 상공에서 공중 충돌할 참이었다. 관제사는 다급하게 DC-10기를 불러 현재 고도를 확인한 뒤, 즉시 급강하하라고 지시했다. 당시 그 비행기는 1만580m 상공을 날고 있었지만 관제사는 곧장 500m 이상을 내려가도록 조치했다.
DC-10기 기장은 즉각 조종간을 밀어 비행기를 급강하했다.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승무원이나 승객들은 다들 공중으로 튀어올랐고 복도에 있던 기내식 운반용 손수레와 뒤엉켰다. 그러나 기장은 그보다 더 아찔한 순간을 경험했다. 한순간 비행기의 앞 유리창이 시속 1600km로 날아온 TWA 점보기로 완전히 가렸던 것이다. 뒤에 조사한 결과 두 비행기는 불과 14m의 간격을 두고 아래위로 스쳐 지나갔음이 밝혀졌다.
관제사들 잠시도 한눈팔 수 없는 초긴장 업무
항공기들이 서로 위험할 정도로 가깝게 접근하는 것을 ‘니어미스’(near miss)라고 하는데 이 사건은 니어미스 중에서도 가장 아슬아슬한 경우가 아니었을까 싶다.
항공 교통의 운항 규칙에서는 비행기들 사이에 넉넉한 간격을 두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럽~미주 노선의 경우 대서양 상공에서는 수직 600m, 수평 110km의 간격을 두며 내륙에서는 수직 300m, 수평 9km의 간격을 두고 비행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규칙은 항공 교통량이 많아지는 계절에는 지켜지기 어려우며, 특히 이착륙이 빈번한 공항 부근에서는 위험성이 훨씬 커진다. 모든 항공기 충돌사고의 90%는 공항 부근에서 일어난다. 휴가철의 선진국 공항들은 밀려드는 비행기들로 몸살을 앓는다. 착륙 순서가 밀려 있을 경우, 관제사는 비행기들에게 각각 고도를 다르게 해서 선회비행하며 대기하도록 지시하는데, 어떤 경우엔 10대의 비행기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제자리를 맴돌며 착륙 순서를 기다리기도 한다. 이때 공항사용료를 더 많이 내는 항공사 비행기부터 착륙시키는 얌체 공항도 있다고 한다.
오늘날의 항공관제엔 당연히 컴퓨터가 이용된다. 특히 서방 선진국의 항공 운수량은 매년 20%씩 증가하기 때문에, 관제시스템 자체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는 필수적이다. 그와 함께 관제사들에게도 비상한 자질이 요구된다. 그들은 컴퓨터가 실시간으로 표시해 주는 항공기들을 레이더상의 점(실제는 번호)으로만 보면서 제각기 항로를 지시해 주어야 하는데, 붐비는 대형 공항의 경우 동시에 10~20개를 추적하면서 1분에 한 대꼴로 처리해야 하며 겨우 몇 초 간격만 두고 계속 조종사들과 교신한다. 그들은 그동안 어두침침한 레이더 화면을 긴장상태로 주시할 뿐,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도 거의 없다. 이처럼 까다로운 업무 특성 때문에 항공관제사를 선발하는 기준은 매우 엄격한 편이다.
관제사들 덕분에 대형 항공참사를 극적으로 모면한 일도 있다. 1975년 11월26일 미국에서 실제 일어났던 일. 미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공항의 관제사 1명이 근무 교대를 하고 관제석에 앉았다. 그는 레이더 화면을 살펴본 지 1분도 안 되어 엄청난 위기 상황이 임박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승객 194명을 태우고 시카고에서 날아온 아메리칸 항공사 소속 DC-10기가 지정된 고도에 오르기 위해 동쪽으로 상승중이었는데, 바로 그 고도의 맞은편에서 114명이 탄 TWA 점보여객기 1대가 날아오고 있었다. 불과 몇 초 뒤면 두 비행기는 디트로이트 부근 상공에서 공중 충돌할 참이었다. 관제사는 다급하게 DC-10기를 불러 현재 고도를 확인한 뒤, 즉시 급강하하라고 지시했다. 당시 그 비행기는 1만580m 상공을 날고 있었지만 관제사는 곧장 500m 이상을 내려가도록 조치했다.
DC-10기 기장은 즉각 조종간을 밀어 비행기를 급강하했다.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승무원이나 승객들은 다들 공중으로 튀어올랐고 복도에 있던 기내식 운반용 손수레와 뒤엉켰다. 그러나 기장은 그보다 더 아찔한 순간을 경험했다. 한순간 비행기의 앞 유리창이 시속 1600km로 날아온 TWA 점보기로 완전히 가렸던 것이다. 뒤에 조사한 결과 두 비행기는 불과 14m의 간격을 두고 아래위로 스쳐 지나갔음이 밝혀졌다.
관제사들 잠시도 한눈팔 수 없는 초긴장 업무
항공기들이 서로 위험할 정도로 가깝게 접근하는 것을 ‘니어미스’(near miss)라고 하는데 이 사건은 니어미스 중에서도 가장 아슬아슬한 경우가 아니었을까 싶다.
항공 교통의 운항 규칙에서는 비행기들 사이에 넉넉한 간격을 두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럽~미주 노선의 경우 대서양 상공에서는 수직 600m, 수평 110km의 간격을 두며 내륙에서는 수직 300m, 수평 9km의 간격을 두고 비행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규칙은 항공 교통량이 많아지는 계절에는 지켜지기 어려우며, 특히 이착륙이 빈번한 공항 부근에서는 위험성이 훨씬 커진다. 모든 항공기 충돌사고의 90%는 공항 부근에서 일어난다. 휴가철의 선진국 공항들은 밀려드는 비행기들로 몸살을 앓는다. 착륙 순서가 밀려 있을 경우, 관제사는 비행기들에게 각각 고도를 다르게 해서 선회비행하며 대기하도록 지시하는데, 어떤 경우엔 10대의 비행기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제자리를 맴돌며 착륙 순서를 기다리기도 한다. 이때 공항사용료를 더 많이 내는 항공사 비행기부터 착륙시키는 얌체 공항도 있다고 한다.
오늘날의 항공관제엔 당연히 컴퓨터가 이용된다. 특히 서방 선진국의 항공 운수량은 매년 20%씩 증가하기 때문에, 관제시스템 자체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는 필수적이다. 그와 함께 관제사들에게도 비상한 자질이 요구된다. 그들은 컴퓨터가 실시간으로 표시해 주는 항공기들을 레이더상의 점(실제는 번호)으로만 보면서 제각기 항로를 지시해 주어야 하는데, 붐비는 대형 공항의 경우 동시에 10~20개를 추적하면서 1분에 한 대꼴로 처리해야 하며 겨우 몇 초 간격만 두고 계속 조종사들과 교신한다. 그들은 그동안 어두침침한 레이더 화면을 긴장상태로 주시할 뿐,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도 거의 없다. 이처럼 까다로운 업무 특성 때문에 항공관제사를 선발하는 기준은 매우 엄격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