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09

..

같은 배 탄 ‘쇄신연대’ 종점은 어디냐

일단 인적쇄신 때까지는 공동 행보 … 2단계 행동 놓고 균열 조짐

  • < 조용우/ 문화일보 정치부 기자 > ywc@munhwa.co.kr

    입력2004-11-19 14:1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같은 배 탄 ‘쇄신연대’ 종점은 어디냐
    민주당 개혁그룹의 조직적 당정쇄신 요구는 이번이 네 번째다. 하지만 과거 세 차례에 비해 이번엔 상황과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지난해 최고위원 선거 직후 지도부 개편 요구와 연말 정동영 최고위원을 주축으로 한 소장파의 ‘권노갑 2선 후퇴’ 파문, 그리고 지난 5월 정풍파동 등에서 뼈저린 실패를 경험한 탓인지 전략과 의지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쇄신파의 주장대로 “양적·질적 면에서 과거와는 천지차이”인 것이다.

    애초 이번 쇄신파동은 후보 조기가시화에 부정적이던 동교동계 구파측 이훈평 의원이 10월 재·보선 투표일 밤 조기전대론을 흘리면서 시작됐다. 당연히 쇄신파는 동교동계의 재·보선 참패 책임 회피용으로 해석했고 10월26일 구파와 가까운 한광옥 대표가 청와대 보고 후 ‘연말 전당대회 논의착수, 당정개편 논의’ 방침을 밝히자 본격 점화됐다.

    그러나 이번에는 과거 초·재선 소장파 의원 10여명에 불과했던 개혁그룹의 몸집이 상당히 불어 있었다. 초반 분위기를 주도한 세력도 초·재선 그룹인 ‘새벽 21’(과거 13인의 반란 모임)이나 ‘바른정치모임’이 아니었다. 당초 소장파의 인적쇄신 요구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했던 열린정치포럼, 여의도정담 등의 중진들이 앞장서 분위기를 잡았다. 여기에 그동안 색채가 불분명했던 ‘대안과 실천’(대표 신계륜)까지 가세했다. 자칭 ‘쇄신연대’가 이루어진 것이다.

    더욱이 29일 쇄신과 거리가 먼 것처럼 보였던 중도개혁포럼에서조차 일부 의원이 K씨(권노갑 전 최고위원)를 거명하고 나서는 상황으로 번졌다. 사실 이날 중도개혁포럼 전체회의는 다음날 한광옥 대표 주재의 당 4역회의에서 결정될 당내 특별기구 설치 방안에 대한 사전 의결 모임 성격이 다분했다. 이 때문에 중도개혁포럼이 의원들의 쇄신 요구를 희석하기 위한 ‘작업’을 했다는 의혹의 시선도 받았다.

    어찌 됐든 개별적으로 인적쇄신을 요구하던 당내 쇄신파 의원 모임간 연대와 강경 소장파의 ‘권노갑·박지원 퇴진’ 요구 등에 결정적인 실마리를 제공한 것은 결과적으로 중도개혁포럼이 된 셈이다. 본의야 어떻든 중도개혁포럼에서 K씨가 거론됐다는 소식에 쇄신파는 자신들의 요구가 과거와 달리 당내 다수의 생각임을 간접 확인하고 자신감을 얻었다는 것.



    이에 따라 각개 약진하던 쇄신파 의원 모임 대표는 30일 밤 한자리에 모였다. 당내 개혁그룹의 리더격인 김근태 정동영 최고위원과 개별 모임 대표인 임채정(열린정치포럼) 장영달(여의도정담), 신기남(바른정치모임), 이재정(국민정치연구회), 신계륜(대안과 실천), 박인상(새벽 21) 의원 등이 심야 회동에 동참했고 이들은 선(先) 인적쇄신 요구에 공동보조를 취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어 31일에는 ‘새벽 21’ 소속 초선 의원 10명이 당내에선 언급이 금기시돼 온 권노갑 전 최고위원과 박지원 청와대 정책기획수석의 실명을 거론하며 정계 은퇴를 요구했다. 한광옥 대표를 포함한 당 5역도 사퇴 대상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11월1일 한대표가 긴급 소집한 당무회의에서 동교동계를 중심으로 최고위원 책임론이 제기되면서 상황은 첫번째 반전을 맞는다. 초점이 최고위원 책임론으로 옮아가고 있음을 감지한 개혁그룹 김근태 최고위원은 사퇴에 강력 반대했으나 역부족이었다.

    일단 7일 청와대 최고위원회의 이후로 2차 행동을 유보한 쇄신연대가 언제까지 함께 갈 수 있을 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쇄신연대측은 “일단 권노갑·박지원에 대한 인적쇄신까지는 같이 간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5일 각 모임 대표 회동에서도 이 같은 입장을 재차 확인하고 물밑에서 중진의원 포섭 작업 등을 벌이기로 했다.

    그러나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취할 2단계 행동을 놓고도 벌써부터 균열 조짐이 나오고 있다. 쇄신파 중 강경론을 주도하고 있는 ‘새벽 21’ 김성호 의원 등은 “당 총재인 김대중 대통령의 양자택일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며 총구를 김대통령에게 돌릴 태세지만, 임채정 장영달 의원 등은 이 경우 상당히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미 임채정 의원 등은 ‘새벽 21’이 권·박 두 사람의 실명을 거론한 데 대해 초선 의원들을 심하게 질책했다고 한다. 당초 첫 연대 모임에 참여했던 ‘대안과 실천’은 연대에서 이탈한 지 오래다.

    더욱이 지도체제 개편 등 본격적인 정치일정 논의가 시작되면 개별 의원들은 이해관계와 계파가 엇갈려 더 이상 연대를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다는 게 일반적 시각이다. 무엇보다 초선과 재선 그룹간 시각차가 크게 엇갈릴 수 있다. 초선 그룹은 “연대는 인적쇄신까지고, 이후 문제는 부차적인 얘기”라며 언급을 꺼리고 있다. 자칫 쇄신 요구의 순수성이 의심받을 경우 지난 5월 정풍파동 당시의 재판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다. 실제로 권·박 두 사람과 당 지도부 퇴진 요구를 밝힌 10월31일 모임에선 초선들 사이에서도 한광옥 대표의 사퇴 요구 문제를 놓고 진통을 겪었다는 후문이다.

    반면 본인들은 극구 부인하지만 재선 그룹 쪽에서는 “결국 당권투쟁이다” “개혁세력이 당권을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공공연하게 흘러나오고 있다. 개혁적 이미지와 당 조직 장악력을 갖춘 한화갑 최고위원을 당 대표로 옹립한 뒤 대선 주자도 노무현 정동영 김근태 최고위원 등 개혁 진영의 연대를 통해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 같은 논리가 음모론의 배경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지만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분위기다.

    이 같은 맥락에서 8일 전후로 예정된 권노갑 전 최고위원의 쇄신연대와 동교동 신파에 대한 반격은 큰 틀에서의 개혁진영간 연대를 촉진하는 계기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권 전 최고위원이 정면으로 한화갑 전 최고위원 등에 대해 반격을 가할 경우 개혁진영간 세 결속이 불가피해지기 때문이다. 아무튼 ‘쇄신연대’의 앞길은 김대중 대통령의 결단과 권 전 최고위원의 반격 수위 등이 변수가 될 수밖에 없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