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43

..

“한·미 모두 김정일 잘못 알았다”

이임하는 크리스텐슨 주한 美 부대사…30여년간 한국과 인연 맺은 ‘한반도 전문가’

  • 입력2005-07-26 11:4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날도 더운데 땡땡이 좀 치려고 했더니, 이거 원….”

    7월23일 4년간의 한국 근무를 마치고 미국으로 귀임하는 리처드 크리스텐슨 주한 미 부대사는 집무실에 들어서는 기자에게 장난스런 농담부터 던졌다. 그것도 정확한 한국어 발음으로. 그러나 크리스텐슨 부대사가 지난 30여년간 한국과 맺어온 질긴 인연을 생각하면 이 벽안의 미국인이 이런 비속어까지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게 하나도 낯설 것이 없다. 그는 각종 고사성어나 속담 또는 농담기 어린 은어들을 한국사람들 앞에서 적절하게 구사하며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친밀감을 표시하는 것을 취미로 삼고 있는 것도 같다.

    1967년 목포서 교사생활로 첫발

    그가 한국땅에 처음 발을 디딘 것은 정확하게 33년 전인 1967년이다. 미개발국가에 파견하는 평화봉사단원의 한 명으로 목포제일중학교와 목포상고에서 영어를 가르친 것이 한국과 맺은 인연의 시초다. 이 조그만 항구도시에서 당시 ‘일중’과 ‘목상’은 수많은 영재들이 몰려들던 곳. 당연히 청년 크리스텐슨이 여기서 사제간의 정을 맺은 한국인들과의 끈끈한 인연이 없을 수 없다. 당시 크리스텐슨의 제자들 중에는, 적게는 다섯 살 정도의 나이 차이로 그와 호형호제할 만한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목포상고 개교 80주년 행사에도 은사 자격으로 초청받을 만큼 이 학교에서 톡톡한 대우를 받고 있는 그지만 정작 목포상고를 졸업한 김대중 대통령과의 인연이나 주요 정관계 지도자들과의 교분 등에 대해서는 일절 입을 다물었다. 오히려 김대통령의 야당 총재 시절 주한 미대사관이 본국에 DJ에 대한 호감을 담은 보고서를 자주 올림으로써 암묵적으로 DJ를 지지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김대통령과 처음 점심식사 자리에서 만난 시기까지 집어내가며 “과대평가된 것”이라고 손을 내저었다. 그는 주한 미대사관에서 부영사와 대사보좌관, 정치담당관 등을 두루 거친 대표적 한국통으로 꼽혀왔다. 따라서 한국의 정관계 지도자들과 공식 비공식적으로 숱한 교분을 쌓아왔을 것은 당연한 일. 그러나 그는 여기에 대해서도 일절 입을 열지 않았다. 그 대신 그는 한국인과의 인연에 대한 질문에는 30년 전 목포에서 교편을 잡고 있을 당시 만났던 ‘장삼이사’(張三李四)들에 대한 추억을 언급하는 것으로 답변을 대신했다. 찢어지게 가난했던 까까머리 중학생들이나 며칠씩 굶는 바람에 배가 볼록 솟아 있던 어린아이들에 대한 기억이 크리스텐슨 부대사가 내세우는 한국인과의 인연들이다. 그러면서도 그는 또 한번 엄살을 떤다. “유명한 사람들 중에서 누구는 친하고 누구는 안 친하다고 하면 난 그 사람한테 작살나요, 살려주세요!”



    흥미로운 것은 지난 94년 지미 카터 전 미대통령이 특사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할 때 그를 수행해 김일성 당시 주석을 만나는 등 북한을 여섯 번이나 방문했던 그가 보는 북한관, 그리고 김일성 김정일에 대한 평가다. 그는 북한과 북한의 지도자들에 대해 예상보다 훨씬 후한 평가를 내놓았다. 김일성에 대해서는 “한마디로 대단한 사람”이라고 평가했고 남북정상회담 이후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한 평가가 과장된 것 같지 않느냐는 물음에는 “여태까지 우리는 그를 잘못 알고 있었다. 한국과 미국 모두 고개를 숙일 필요가 있다”고 잘라 말했다. 이제 한미 모두 눈을 씻고 북한을 새롭게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크리스텐슨 부대사는 “남북관계에서는 한국이 운전석에 앉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미국은 절대로 운전석을 바라지 않는다”고 말했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외교 분석가들 사이에서 나돌았던 ‘한미간 불화설’에 대한 강한 부정인 셈이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을 ‘주변 각국에서 모여든 모든 자원들이 한데 모여 북한으로 떠나는 전초기지’에 비유했다. 남북간의 문제는 철저하게 양 당사자간의 문제며 미국이 여기에 이의를 달 생각은 전혀 없다는 것을 확인한 셈이다. 그러나 북한의 핵미사일이나 미국의 국가 미사일 방어체제(NMD) 문제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게 아무것도 없으니 좀더 두고 보자”고 말해 여운을 남기기도 했다.

    단, 통상 문제에 대해서만큼은 기자에게 질문을 요청할 만큼 하고 싶은 말이 많은 듯했다. “한국은 이제 약한 나라가 아니다”는 말로 한미간 통상마찰이 앞으로도 만만치 않을 것임을 시사하기도 했다. 그는 한미간 자동차 수출입 실적과 관련한 통계까지도 일일이 적어놓고 있었다. 경제 전문가가 아닌 그가 한미간 통상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는 것을 보면 역시 한국에 대한 개인적 애정과 자국의 경제적 이익 사이에는 뛰어넘을 수 없는 경계선이 놓여 있음을 직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개인적인 문제로 돌아가면 그는 역시 ‘전라도 촌놈’이다. 매향리 사건 당시 현지 대책위 사람들과 만났던 일화를 소개하며 그는 “그 사람들 이야기 뭔지 다 알아요. 그 사람이나 나나 똑같은 촌놈이거든… 촌놈은 촌놈끼리 통하니까”고 말하기도 했다. 한때 미대사관에서 10개월 동안 대리대사를 지낸 경험을 떠올리며 “과거에는 부(副)자가 안 붙은 채 대사 역할을 했던 적도 있지 않느냐”고 묻자 그의 대답이 또 한번 걸작이다.

    “그냥 원님 덕에 나팔 분 거지, 뭐. 대리대사는 돌팔이야, 돌팔이!”

    한국인 부인과 함께 사는 50대 중반의 이 외교관에게는 한국말이 하나도 어색하지 않다. 한국 기자들과 인터뷰할 때도 정확한 외교적 표현을 쓸 경우에만 간혹 영어를 사용할 뿐이다. 그나마 그것도 한국말과 영어의 짬뽕이다. 옆의 통역사를 쳐다보면서 “캔 유 인터프리트 디스, 정확하게?” 이런 식이다. 그만큼 그에게 ‘코리아’는 외교관 생활을 하며 근무했던 여러 나라 중 하나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못 먹고 못 입던 시절 가난한 한국인들과 함께했던 60년대의 추억을 이야기하면서 눈시울이 저절로 뜨거워지는 것을 보면 한국은 앞으로도 그의 외교관 생활을 지배할 중요한 화두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1년간 안식년을 얻은 크리스텐슨 부대사는 미국 평화연구소에서 동북아 평화에 관한 연구를 마치고 난 뒤 미 국무부로 복귀한다. 그는 “앞으로도 10년 동안은 한국 관련 업무를 손에서 놓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한국에 대한 애정이 식지 않을 것임을 약속했다.







    사람과 삶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