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09

1999.11.18

“에밀레, 아기를 넣지 않았다”

  • 정이담 문화평론가

    입력2007-03-06 11:4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에밀레, 아기를 넣지 않았다”
    올 한해도 이젠 얼마 남지 않았다. 다가올 연말은 다른 때보다 더 각별한 의미를 가진 듯하다. 1999년에서 2000년으로 넘어가는 지금은 지난 천년과 새로운 천년이 교차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천년 단위의 시간 변화를 피부로 느끼기는 힘든 일. 역사적 상상력이란 그래서 필요한 것인지 모른다. 에밀레종이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한 성덕대왕신종이야말로 그같은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데 걸맞은 문화유산이라 할 만하다. 서기 771년에 만들어졌으니 1200년의 세월이 그에 깃들여 있으며 지금도 제야의 종소리로 우리 곁에 살아 있는 종이다.

    연극 ‘천년보다 깊은’(12월5일까지, 제일화재 세실극장)은 그 종에 얽힌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는 점만으로도 새 천년을 맞이하는 이즈음에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이쯤에서 아직 연극을 접하지 못한 독자들은 지레 “잘 알려진 전설 이야기를 또 하는가”하는 반응을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이 연극은 종을 만든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1000년의 세월을 넘어 역사는 생생하게 살아 있음을 실감하게 한다.

    ‘에밀레, 아이를 넣지 않았다’라는 작품의 원제에서도 읽을 수 있듯 이 연극의 화두는 전설에 입각한 의문, 즉 ‘과연 에밀레종에 아이를 넣었을까’다. 신비한 소리를 얻는 데 집착한 나머지 ‘생명’을 바칠 수도 있다며 어린 손녀를 제물로 삼으려는 주종박사 박부부(전무송 분), 어린 생명을 죽여야만 한다면 그것은 진정한 중생 제도의 종일 수 없다며 딸 설이를 데리고 도피한 사위 박종익(전국환 분), 그리고 새로운 ‘기술’로 완벽한 종을 만들 수 있다고 믿는 박부부의 아들 박한미(최덕문 분) 등 세 장인들 사이의 치열한 갈등이 관객으로 하여금 과학기술과 인간적 삶의 문제에 대한 오늘날의 고민을 계속 자극한다.

    연극은 종을 만드는 작업장인 ‘주종터’와 종익이 딸을 데리고 도망해 생활하는 ‘산채’라는 공간을 왕복하면서 진행되며, 현실과 이상, 인연의 무게와 함께 더불어 사는 삶의 즐거움을 보여준다. 특히 산채 장면의 밝고 활발한 분위기는 자칫 지루해지기 쉬운 연극의 흐름에서 연극적 재미를 더해주면서도 주종터 장면의 무겁고 어두운 분위기와 대비되어 극적 갈등을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성덕대왕신종에 새겨진 비천상이 얼마나 아름답다거나, 종을 만든 과학기술이 뛰어나다고 아무리 이야기해봤자 제 소리를 못내는 종은 조각작품이거나 연구자료일 뿐이다. 종은 우리가 그 소리를 들을 때 비로소 종이 된다.



    한동안 타종이 금지됐던 에밀레종이 다시 울리게 되었다는 소식이 들린다. 천년을 넘어 새 천년으로 이어질 그 소리를 만든 장인들을 만나러 극장으로 찾아가 보자.

    공연문의:창작무대 우림(02-543-4994).

    “늦가을 그이와 함께 모노드라마에 빠져 볼까요”

    모노드라마는 무대를 장악하는 배우의 카리스마가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장르. 11월 중에는 그 ‘최고 수준의 카리스마’를 필요로 하는 모노드라마 두 편이 나란히 선보인다. 그 하나는 보부아르의 ‘위기의 여자’를 새로 꾸민 손 숙의 1인극 ‘그 여자’(11월16일~2000년 1월23일, 산울림소극장). 작품의 오리지널 버전인 ‘위기의 여자’ 자체가 워낙 화제작이었던 데다 손 숙이라는 출연자 역시 연기력이나 대중적 인기 면에서 ‘검증된’ 배우라는 점에서 일단 관객들의 주의를 집중시킨다. 더구나 손 숙씨로 서는 환경부장관으로 임명되면서 잠시 떠났던 무대로 복귀하는 작품이라 관심을 모은다. 그러나 많이 알려진 내용, 익숙한 배우라는 점이 오히려 극의 신선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약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터이다.

    한편 ‘호랑이 이야기’(11월12일~12월12일, 소극장 아리랑)는 작품 내용도, 배우도 낯설다. 97년 노벨상 수상작가 다리오 포 원작으로, 중국 대장정 당시 대열에서 낙오된 병사와 그가 만난 호랑이들의 이야기 를 그린 이 연극은 지난 6월 대구에서 국내 초연됐다. 당시 연기했던 배우 김헌근씨가 서울 공연에서도 등장하는데, 주로 대구에서만 활동해온 배우이기 때문에 서울 관객들에게는 처음 소개되는 신선한 얼굴. 익숙한 내용에 알려진 배우의 ‘그 여자’, 그리고 낯설고 신선한 내용과 배우의 ‘호랑이 이야기’. 여러 면에서 대조되는 두 편의 모노드라마다.

    김정희 기자 yhong@donga.com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