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430

..

퇴직연금 대세로 떠오른 TDF, 숨겨진 비용 줄여야 수익 커진다

[김성일의 롤링머니] 가입 채널·운용 계좌에 따라 비용 달라져… 투자설명서 꼼꼼히 확인해야

  • 김성일 업라이즈투자자문 연금·투자연구소장

    입력2024-03-13 09: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최근 퇴직연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TDF (Target Date Fund)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2월 13일 기준 TDF 설정액(가입자가 납부한 금액)은 8조8688억 원으로 올해 들어서만 2943억 원 증가했다. 지난 한 해 동안 늘어난 설정액 3940억 원의 75%에 이르는 금액이 한 달 반 사이 늘어난 것이다. 또한 같은 기간 평가액(펀드 잔고가 반영된 금액) 기준 TDF 전체 규모는 12조438억 원으로 지난해 말 11조4399억 원보다 6039억 원 증가했다.

    TDF는 투자자가 은퇴준비자금 마련 등 특정 목표 시점(Target Date)을 가진 펀드에 투자하면 해당 시기가 다가올수록 안전자산 비중을 자동으로 높여 위험도를 낮추는 상품이다. 기본적으로 자산배분 형태를 띠며 주식과 채권, 대체투자 자산에 분산투자하고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도 분산투자하는 경우가 많다.


    [GettyImages]

    [GettyImages]

    은퇴 시점 맞춰 자산 비중 자동 조절

    TDF 시장 확대에는 지난해 7월부터 시행된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가 한몫하고 있다. 퇴직연금사업자(금융회사)가 내놓은 디폴트옵션 펀드 상품 89개 가운데 59개가 TDF이기 때문이다. 디폴트옵션 가입 펀드 수탁고 기준으로 전체의 82.3%(8400억7000만 원)에 이른다. 아울러 개인형 퇴직연금(IRP) 계좌를 보유한 개인의 투자 니즈에 따른 선택 영향도 크다.

    2월 15일 기준 연초 이후 설정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상품은 ‘키움키워드림TDF2030’으로 196억 원이 들어왔다. 그다음으로 ‘미래에셋전략배분TDF2035’(190억 원), ‘삼성ETF를담은TDF2035’(117억 원), ‘NH-Amundi하나로TDF2030’(104억 원) 등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개인투자자가 이런 투자상품을 선택하는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무엇보다 최근 수익률 영향이 큰 것 같다. 또한 기사나 광고에서 해당 펀드의 수익률만 얘기할 뿐, 위험지표에 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아 생긴 결과일 수도 있다.

    공모펀드의 기초지수 움직임은 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 공시돼 누구나 조회가 가능하다. 해당 자료를 이용해 이 4개 TDF 펀드의 성과를 다각도로 분석해봤다(표 참조). 분석 기간은 가장 늦게 출시된 펀드를 기준으로 2020년 3월 말부터 2024년 1월 말까지 46개월이다.



    분석 기간의 연환산수익률은 ‘미래에셋전략배분TDF2035’ 펀드가 11.77%로 가장 높다. 2020년 3월부터 2021년까지 성과를 보면 ‘미래에셋전략배분TDF2035’와 ‘키움키워드림TDF2030’은 다른 두 펀드의 성과를 훌쩍 넘어선다. 하지만 2022년 하락장에서는 ‘NH-Amundi하나로TDF2030’이 -12.61%로 4개 펀드 중 하락폭이 가장 적다. 2023년 성과도 16.57%로 가장 높다.

    또한 최근 2년간 성과만 보면 ‘NH-Amundi하나로TDF2030’이 가장 우수하고, ‘키움키워드림TDF2030’이 가장 저조하다. 조사 기간 최대낙폭도 -16.49%에서 -12.61%로 펀드 간 편차가 있다. 연환산수익률을 연변동성으로 나눠 계산하는 샤프비율 관점에서는 ‘미래에셋전략배분TDF2035’이 1.18로 가장 우수하다.

    보통은 은행이나 증권사 등 금융회사 직원이 추천하는 상품을 선택한다. 나보다 잘 알 것이라고 짐작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최근 수익률을 중요하게 생각하면 ‘NH-Amundi하나로TDF2030’이 가장 좋게 보이지만 전체 기간수익률을 중시하면 ‘미래에셋전략배분TDF2035’가 나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펀드를 선택할 때는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자산배분형 상품 특성상 움직임 비슷해

    또 하나 확인해야 하는 것이 숨겨진 비용이다. 4개 펀드는 모두 자산배분형 상품이라서 코스피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낮고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그래프 참조). 이런 경우에는 비용이 낮은 상품의 장기 수익이 더 뛰어나게 마련이다. 보수나 비용에 관한 내용은 기사와 광고에 잘 언급되지 않지만 투자설명서에는 반드시 기재하게 돼 있으며, 전자공시시스템(dart.fss.or.kr)에서 조회할 수 있다.

    다음은 4개 펀드 가운데 한 사례를 살펴본 것이다. 먼저 투자설명서에 ‘1000만 원을 투자할 경우 투자자가 부담하는 수수료 및 보수, 비용’을 공지하고 있다. 그런데 가입 유형에 따라 같은 펀드라도 부담해야 하는 보수나 비용이 다르다는 사실은 각 상품을 확인해야만 알 수 있다.

    만약 선취수수료 방식인 A 클래스 상품에 오프라인으로 가입하면 ‘판매수수료 및 합성 총 보수, 비용’의 10년간 합계액은 113만9000원으로 투자 원금의 11.39%가 비용으로 나간다. 이를 온라인 클래스인 A-e 상품으로 가입하면 77만9000원으로 낮아진다. 또 퇴직연금 계좌에서 오프라인용 클래스인 C-P2(퇴직연금) 상품에 가입하면 100만7000원이고, 온라인 클래스인 C-P2e(퇴직연금)에 가입하면 73만7000원이다. 즉 특정 TDF 상품 가입을 결정했더라도 가입 채널에 따라, 운용 계좌에 따라 보수나 비용 차이가 발생한다. 퇴직연금용 상품은 가입 기간이 10~30년 등으로 길다. 그러므로 이런 비용 손실 부분을 꼼꼼히 분석한 뒤 가입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유튜브와 포털에서 각각 ‘매거진동아’와 ‘투벤저스’를 검색해 팔로잉하시면 기사 외에도 동영상 등 다채로운 투자 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