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66

2012.12.10

“아아 으악새~” 그 꽃이 맞습니다

참억새

  • 이유미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장 ymlee99@forest.go.kr

    입력2012-12-10 10:0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아 으악새~” 그 꽃이 맞습니다
    초겨울, 흰 눈이 펑펑 내려 소담하게 쌓이기 전까지 들판은 참 스산합니다. 바람이라도 불어 마른 낙엽을 이리저리 쓸고 다니노라면 가슴 깊은 곳에 숨겨 두었던 한 해의 회한들이 풀어져 나오기 시작합니다. 꽃 이야기를 하기엔 참 어려운 계절입니다. 하지만 꽃은 졌는데도 피어나는 식물이 있지요. 바로 억새입니다. 지난 가을부터 들판에 일렁이던 억새 무리는 하얗게 서리를 맞으면서도 여전히 그렇게 서 있네요.

    흔히 억새가 하얗게 부풀어 오르면 억새꽃이 피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이즈음 억새꽃은 핀 것이 아니고 진 것이랍니다. 억새꽃은 초가을에 핍니다. 볏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니 화려한 꽃잎은 볼 수 없고, 작은 꽃들이 줄줄이 ‘총’이라고 부르는 꽃자루에 달리며, 이들이 모여서 마치 먼지떨이 모양을 하고 있지요.

    꽃잎도 없이 꽃이 핀 줄 어찌 아느냐고요? 가만히 들여다보면 작고 노란 수술이 밖으로 나와 달랑달랑 흔들거린답니다. 식물학적으로는 이때가 바로 꽃이 핀 것이고, 사람들 시각에서는 아직 피기 직전(정확히는 하얗게 부풀기 직전)의 모습입니다. 바람의 도움을 받아 꽃가루받이가 성공적으로 끝나면 가볍고 작은 씨앗이 익고, 그 익은 씨앗이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털이 부풀어오른 것이 바로 하얗게 핀 모습이지요. 어때요, 꽃이 핀 것이 아니고 진 것이 맞지요?

    억새란 이름은 어찌 붙었을까요? 억새는 다 자라면 사람 키를 훌쩍 넘기기도 합니다. 줄기를 옆으로 뻗으며 퍼져 나가는 억새는 잎 너비가 손톱길이만큼 되고 색깔은 녹색을 띠면서 가운데에 하얀 줄이 납니다. 가장자리에 있는 작고 단단한 톱니 때문에 자칫 손을 베일 수도 있지요. 보통 볏과 식물 가운데는 기름새, 쌀새, 솔새처럼 ‘새’가 들어간 이름을 가진 식물이 많은데, 아마도 억새는 그 날카로운 가시와 튼실한 줄기로 ‘억센 새’가 되었나 봅니다.

    그런데 혹시 억새와 갈대를 혼동하고 있진 않나요? 지금껏 많은 사람이 억새를 일컬어 갈대라고 잘못 부르기도 했는데, 사실 억새와 갈대는 별개 식물입니다. 오늘 주인공 억새가 산과 들에 많은 것에 비해, 갈대는 물이 있는 곳에서 많이 자랍니다. 꽃도 억새는 밑에서부터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반면, 갈대는 가지가 위로 올라가면서 여러 번 갈립니다. 다 익고 난 후에도 갈대는 억새처럼 은백색이 아닌 갈색을 띠지요. 우리가 흔히 갈대숲이라고 하는 것은 대부분 억새숲입니다. 낙동강 하구 을숙도 주변, 많은 물새가 둥지를 마련하는 그곳에서 자라는 것이 갈대숲이랍니다.



    억새들의 군무는 누구에게나 인상적으로 비치는가 봅니다. 노래와 시에 심심찮게 등장하거든요. 어지간히 나이 든 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부를 수 있는 ‘짝사랑’이란 노래의 “아아 으악새 슬피우우는 가아을이인가아요”라는 구성진 가락에서 ‘으악새’는 새 이름이 아니라 억새를 가리키며, ‘슬피 우는 것’은 바람 따라 흔들리는 억새 모습을 묘사한 것이지요. 단풍놀이가 끝나고 고산(高山) 설화 구경이 시작되기 전까지 우리 산야에서는 명성산, 천황산, 재약산, 취서산, 신불산에서 마지막엔 제주 들녘까지 이어지는 억새의 군무가 슬프도록 아름답습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