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 엣지.
지난해 말 여러 시장조사기관과 전문가가 삼성전자의 영향력이 지속될 것이라고 했던 전망은 빗나간 셈. 애플이 위기를 맞으리란 예상도 틀렸다. 내년 스마트폰 시장에 대한 전망은 더 어렵다. 삼성전자가 하락세를 극복할 수 있을지, 애플은 현재 분위기를 이어갈지, 중국 제조업체들은 내수 시장에서 벗어나 세계 시장에서도 선전할 수 있을지를 놓고 엇갈린 전망이 나오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스마트폰 상향 평준화
지난해만 해도 스마트폰 시장은 프리미엄 시장과 중저가 시장으로 구분됐다. 하지만 올해 들어 스마트폰이 대부분 HD(고해상도) 이상의 디스플레이, 퀄컴의 최신 칩셋, LTE(롱텀에볼루션) 지원 등의 기능을 갖추면서 성능이 상향 평준화됐다. 하드웨어 기능 경쟁의 의미가 약화되면서 경쟁 포인트는 기술에서 가격으로 넘어갔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선전할 수 있었던 배경이 여기 있다. 중국 업체들은 최신 기능은 아니더라도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는 고기능의 제품을 훨씬 저렴하게 공급하면서 시장을 잠식했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가 발표한 3분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올해의 시장 변화를 한눈에 보여준다. 3분기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24.7%로 1위를 기록했고, 애플은 12.3%로 2위에 올랐다. 이어 샤오미 5.6%, LG전자 5.2%, 화웨이 5.0% 순이었다. 삼성전자는 1위를 유지하긴 했지만 점유율은 1분기 31.2%에서 2분기 25.2%로 급락했고, 3분기에 다시 0.5%p 하락한 24.7%가 됐다. 지난해 말 삼성전자 점유율이 40%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던 점을 감안하면 놀라운 반전이다.
애플의 아이폰6.
3분기 스마트폰 시장 3위와 5위를 기록한 샤오미와 화웨이는 ASP가 각각 173달러와 166달러다. 이들 중국 제조업체는 최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을 삼성전자보다 훨씬 저렴하게 판매하는 방식으로 시장을 넓혔다. 아직은 제품 대부분을 중국 내수 시장에서 판매하지만, 점차 해외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어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된다.
올해 큰 변화를 겪은 것처럼, 내년 스마트폰 시장이 어떻게 전개될지 쉽게 점치기 어렵다. 삼성전자가 어떤 반전의 카드를 내놓을지, 애플이 경쟁력을 지속할 수 있을지 예단할 수 없다. 중국 제조업체들 역시 내수 시장을 벗어나서도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지 미지수다.
특히 올해 급속도로 성장한 샤오미에 대한 전망이 엇갈린다. 중국에서의 성장을 바탕으로 인도와 동남아 등 신흥 시장에서 돌풍을 이어갈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하지만 중국 내수 시장에서 성장할 때와 글로벌 시장은 환경이 다르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특허 문제로 인도에서 판매금지 조치를 당한 것이 단적인 예다.
성장동력 선점이 관전 포인트
12월 11일 인도 델리 고등법원은 스웨덴 에릭슨이 제기한 샤오미 스마트폰의 인도 내 판매중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였다. 에릭슨은 샤오미 스마트폰이 자사의 3세대(3G) 통신기술 특허 8건을 침해했다며 샤오미의 인도 판매전담업체인 전자상거래업체 플립카트를 상대로 판매중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이번 결정으로 샤오미는 델리 고등법원이 에릭슨의 의견을 청취하는 내년 2월까지 인도에서 스마트폰을 판매할 수 없게 됐다. 샤오미는 법원 판결 후 인도 공식 홈페이지에 ‘추가 공지 전까지 인도에서 판매가 금지됐다’고 밝혔다. 샤오미의 판매중지는 인도뿐 아니라 한국 등 다른 나라에서도 벌어질 공산이 크다. 샤오미가 보유한 특허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해외 진출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특허 문제는 중국 내에서도 변수다. 최근 화웨이와 ZTE가 샤오미를 비롯한 일부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에 특허 침해 경고장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샤오미와 달리 화웨이와 ZTE 등은 기술 개발과 특허 확보를 위해 힘써왔다.
삼성전자가 계속 하락세를 보일지, 다시 반등할지도 주목된다. 스마트폰 시장이 중저가 중심으로 재편되는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며 시장 점유율을 내줬지만, 근본적인 제조 경쟁력을 갖췄기 때문에 반등도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최근 삼성전자는 중국과 베트남 등에 해외 생산기지를 확충했다. 현지 중저가 시장에서도 한번 해볼 만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또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활용해 다시 한 번 경쟁 업체들과 격차를 벌일 신기술을 내놓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는다. 최근 삼성전자 인사에서 교체가 유력하던 신종균 IT·모바일(IM)부문 사장을 유임한 것도 지난 영광을 재현하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샤오미, 화웨이의 로고와 레노버의 아이디어 탭(왼쪽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