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대신 일본해(Sea of Japan)`라는 표기를 사용한 독일산 수입 지구본.
[자료1] 今日(금일) 吾人(오인)의 朝鮮獨立(조선독립)은 朝鮮人(조선인)으로 하여금 正當(정당)한 生榮(생영)을 遂(수)케 하는 同時(동시)에, 日本(일본)으로 하여금 邪路(사로)로써 出(출)하야 東洋(동양) 支持者(지지자)인 重責(중책)을 全(전)케 하는 것이며, 支那(지나)로 하야금 夢寐(몽매)에도 免(면)하지 못하는 不安(불안) 恐怖(공포)로서 脫出(탈출)케 하는 것이며, 또 東洋平和(동양평화)로 重要(중요)한 一部(일부)를 삼는 世界平和(세계평화), 人類幸福(인류행복)에 必要(필요)한 階段(계단)이 되게 하는 것이라. - ‘국어교과서’ 상, ‘기미독립선언서’
[자료2] 1929년 발행된 ‘해양과 바다의 경계’ 초판은 한반도와 일본 사이의 해역을 ‘일본해(Japan Sea)’로 표기했다. 식민지 상태인 한국이 IHO에 대표단을 파견하지 못해 빚어진 일이었다. 사실상 국제표준으로서의 권위를 지닌 이 책이 ‘일본해’로 지칭한 이상 이 해역의 표기 문제는 논란거리가 될 수 없다는 것이 일본의 일관된 주장이다. 한국으로서는 ‘해양과 바다의 경계’에서 ‘일본해’를 삭제하는 일이 당면 과제다. 2002년 한국에 그런 기회가 있었다. 그해 4월 모나코에서 열린 IHO 총회에서 1953년 3차 개정판이 나온 이후 50년 가까이 ‘일본해’ 표기를 유지한 ‘해양과 바다의 경계’의 개정이 논의됐다. 당시 한일 양국 정부의 외교전은 실제 전쟁을 방불케 할 정도로 치열했다. ‘동해’를 싣지는 못했지만 ‘일본해’를 빼냈다는 점에서 한국으로서는 일단 만족스런 결과였다. 그러나 한국의 적극적인 공세에 밀리던 일본이 막판 반전을 이끌어냈다. - ‘동아일보’ 2007년 4월30일자, 연합뉴스
두 자료는 교과서 내용과 시사 이슈를 쉽게 관련지을 수 있는 사례다. 자료1)의 교과서 내용은 일제강점기 조선 독립에 관한 글이다. 자료2)는 ‘동해’를 ‘일본해’로 바꾸려는 일본의 의도가 드러난 시사 이슈다. 자료1)은 일제강점기의 ‘조선 독립’은 말 그대로 식민지에서 해방되는 것이었지만, 자료1)의 ‘조선 독립’을 자료2) 이슈와 관련해 확장하면 ‘동해 표기 확정’도 그에 해당한다. 자료1)의 자주독립 관점에서 자료2)를 검토하면 ‘동해’를 일본이 ‘일본해’로 표기하는 것은 당연히 문제가 된다. 또한 자료1)을 바탕으로 자료2)의 ‘일본’의 구실도 조명할 수 있다. ‘세계평화, 인류행복 증진’을 원하는 자료1)로 볼 때 ‘일본해’ 주장은 일본의 올바른 구실이 아니라는 비판을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수험생들은 교과서의 원론적 내용으로 시사 이슈를 분석,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수험생에게는 ‘교과서를 새로 익히는’ 자세가 필요하다. 즉, 자료1)을 자료2)의 시사 이슈와 관련지어 ‘독립선언’의 가치를 현실에 맞게 재창출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만일 자료1)을 당시 일제강점기라는 상황에서만 이해했다면 어떨까. 편협한 자료 해석으로 심층적 논의를 이끌어내지 못했을 것이다. 또한 현실 문제를 다루려는 핵심이 없기에 논술의 맛이 사라질 것이다. 이는 교과서를 교과서로만 이해했을 때 나타나는 부정적 결과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교과서에 신문을 통합’해 공부해보자. 교과서의 가치를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 획득하는 창의성을 얻게 될 것이다.
서울대에 입학한 이종준 군은 교과서의 제한된 내용을 시사 이슈와 관련시켜 이해했다고 한다. 그는 “신문이나 시사주간지는 수많은 현실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룬다. 그리고 시사주간지와 월간지는 지면이 넉넉하기 때문에 어떤 주제에 대한 다각적이면서도 자세한 분석이 가능하다. 특히 ‘좌담’이나 ‘대담’을 흥미 있게 읽었다. 어떤 논쟁거리를 두고 그 분야의 전문가들이 나누는 대화는 심층적이어서 논술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한다. 이군의 말은 통합논술의 학습 방향과 관련해 시사하는 바가 많다. 교과서와 시사 이슈를 서로 관련시켜 보면 교과서의 추상적 내용이 구체화됨을 생생하게 느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