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393

..

美 연준의 시간이 다가온다, 금리는 이제 어디로?

종료 vs 동결 vs 지속… 연준 위원 사이에서도 의견 대립

  • 한지영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연구원

    입력2023-06-12 10: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 세계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6월 15일(현지 시간) 미국의 통화정책 경로가 결정된다. [GettyImages]

    전 세계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6월 15일(현지 시간) 미국의 통화정책 경로가 결정된다. [GettyImages]

    6월 13~14일(이하 현지 시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수많은 금융시장 참여자가 저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통화정책 경로를 놓고 다양한 셈법을 내놓고 있다. 현 시점에서는 다음 3가지 시나리오가 주류로 부상하고 있다. Ⓐ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6월 금리 동결, 즉 5월 인상이 마지막), Ⓑ 금리인상 사이클 스킵(6월 동결 후 7월 인상), Ⓒ 금리인상 사이클 지속(6월 인상 후 추가 인상)이다. 개인적으로는 시나리오 Ⓒ의 현실화 가능성은 극히 낮으며, Ⓐ나 Ⓑ 가운데 판가름이 날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뜨거운 美 고용시장

    다시 말해 6월 FOMC에서 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종료(end)될 것인지, 아니면 스킵(skip)될 것인지가 향후 글로벌 자산시장의 방향성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가 될 듯하다. 현재는 이를 놓고 시장 참여자 간 의견 충돌이 수시로 일어나고 있으며, 연준 위원 사이에서도 의견 대립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사실은 5월 공개된 FOMC 의사록에서도 확인 가능한데, 일부 위원은 경기 전망을 고려할 때 5월 회의 이후 추가 정책 강화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반면 다른 일부 위원은 2% 인플레이션으로 복귀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근거로 추가 정책 강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과연 연준은 6월 FOMC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까. 조심스럽게 전망한다면 ‘5월 FOMC를 끝으로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6월 매파적 신호를 보내며 동결+동결 기조 유지 후 연말 혹은 내년 초 금리인하 사이클 도입’이라는 Ⓐ 시나리오가 유력해 보인다. 일단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5월 19일 연설에서 강조한 대로 (최근 잠잠한 것처럼 보이는) 미 지역은행들의 위기는 현재진행형이며, 해당 위기가 경제 및 신용 여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 연준이 지난해부터 공격적으로 진행해온 금리인상의 부작용들을 확인하고 싶어 하는 의지가 최근 발언은 물론, 이전 FOMC 회의록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 Ⓐ 시나리오가 유력해 보이는 근거가 된다.

    물론 6월 2일 발표된 미국의 5월 비농업부문 신규 고용(33만9000건, 컨센서스 18만 건) 서프라이즈는 연준의 6월 금리인상을 정당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법하다. 하지만 실업률(3.7%, 컨센서스 3.5%)이 상승하면서 연준이 올해 실업률 전망치로 제시한 4.5%를 향해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 5월 고용지표상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전달 대비 0.3%, 컨센서스 0.4%)이 둔화되고 있으며, 5월 말 발표된 JOLT(구인·구직 보고서)에서 이직자들의 이직 프리미엄도 하락하는 등 임금 인플레이션 압력이 전반적으로 완화하고 있다는 점도 연준이 6월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시나리오를 타당하게 만든다. 그와 동시에 원론 수준의 매파적 발언을 통해 ‘금리인상 사이클 중단 또는 금리인하’에 대한 시장의 과도한 기대를 차단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안에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역전 가능성

    그리고 ‘이 같은 매파적 동결 이후 통화정책 경로가 어떻게 될 것인가’는 6월 FOMC 이후 시장이 풀어야 할 과제가 될 테다. 간단하게 통화정책 경로만 전망해 보자면 연말 금리인하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판단된다. 먼저 미국은 현재 소매판매, 소비자심리지수 등 경제의 70%를 차지하는 소비경기가 둔화하면서 수요 측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내려가고 있다(그래프1 참조). 더 나아가 ① 은행권 위기 출현 이후 은행들의 대출 심사 강화 ② 추가적인 긴축 부작용 발생 가능성 ③ 부채한도 증액 후 재정지출 여력 축소 및 그에 따른 잠재적 성장동력 약화 등도 셈법에 넣어야 한다. 즉 미국 경기는 침체가 기정사실화돼 있으며, 침체 강도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연준의 금리인하 명분은 쌓여갈 것으로 보인다.



    또 1970년대 이후 연준의 금리인하 사이클에서 ‘실업률 > 인플레이션’라는 전제조건이 충족됐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6월 현재까지 집계 데이터 기준으로 5월 실업률은 3.7%, 4월 인플레이션은 4.9%(5월 4%대 초반 예상)로 실업률보다 인플레이션이 우위에 있지만 연말로 갈수록 실업률이 인플레이션보다 높게 나타날 전망이다(블룸버그 컨센서스 연말 실업률 전망치 4.5% vs 인플레이션 전망치 3.0%).

    마지막으로 ‘연준 기준금리-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간 스프레드는 지난해 상반기 -8%까지 벌어졌으나 현재는 역전됐으며(그래프2 참조), 이 추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임을 고려한다면 연말 혹은 늦어도 내년 초 금리인하 사이클 돌입은 충분히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로 판단된다. 최근 파월 의장이 지적했듯이 연준과 시장의 금리인하 기대 차이는 인플레이션 경로에 대한 기대 차이로 발생한 것이다. 이 같은 연준과 시장 간 괴리는 추후 입수되는 인플레이션, 소비지표 같은 데이터에 따라 수시로 확대와 축소를 반복하겠지만, 앞서 강조한 것처럼 연말~연초 금리인하로 중심을 잡고 시장 대응을 해나가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유튜브와 포털에서 각각 ‘매거진동아’와 ‘투벤저스’를 검색해 팔로잉하시면 기사 외에도 동영상 등 다채로운 투자 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