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對 민간, 계급·연차별 연봉 비교
‘5급 공채’ 합격하면 평생 ‘상위 25% 대기업’보다 높은 연봉 받아
7급 연봉은 중견기업에 육박, 9급 연봉은 중소기업과 앞서거니 뒤서거니
정년 보장에 공무원연금까지 고려하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로 출근하고 있는 공무원들. [뉴시스]
인터넷 게시판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사연이다. 대학가에 ‘공시 열풍’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7급 혹은 9급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공시족’ 중에는 명문대 재학생도 상당하다. 2000년대 초반 연세대를 졸업한 한 직장인은 “얼마 전 모교 카페에서 후배들이 7급 공무원시험 준비에 대해 열띤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다. 내가 대학 다닐 때는 5급 행정고시를 준비하는 사람만 있었지, 7급은 고려 대상조차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고려대를 졸업하고 2년 전 7급 공무원시험에 합격한 한 국가공무원은 “7급 시험을 준비할 때 주변에서 ‘왜 고대생이 7급 공무원이 되려고 하느냐’고들 했는데, 학교에는 이미 7급 공시 스터디 모임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더라”고 전했다.
성과급은 제외하고 비교
지난해 5월 26일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수험생들이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 마련된 면접시험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인사혁신처는 매년 민간 대비 공무원 보수 수준을 발표한다. 공무원 처우 개선에 참고하려는 목적에서다. 민간기업 임금(상용 근로자 100인 이상 사업체의 사무관리직 보수)을 100이라 했을 때 공무원 보수는 2018년 기준 85.2. 2011년 이후 83~86을 오가고 있다.
하지만 ‘주간동아’가 기업정보 사이트 잡플래닛이 최근 발표한 ‘2019 연봉 분석 보고서’(연봉보고서)를 참조해 공무원과 민간기업 직장인의 연봉을 비교해본 결과 ‘공무원은 박봉’이라는 세간의 인식이 더는 유효하지 않다는 결론이 나왔다. 5급 공무원 연봉은 대기업 평균은 물론 상위 25% 대기업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급 공무원 연봉은 중견기업 평균에 거의 육박한 수준이며, 9급 공무원 연봉은 중소기업 평균보다 다소 낮지만, 하위 25% 중소기업 평균보다는 높았다.
연봉보고서는 지난해 잡플래닛에 제출된 연봉 정보 가운데 유의미하다고 판단된 21만여 건을 분석해 연차별, 지역별, 기업 규모별 평균연봉을 산출한 결과를 담았다. 여기서 연봉은 기본급과 매월 고정적으로 받는 수당을 합한 것이다. 성과금은 제외됐다. 주간동아는 이중 기업 규모별(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외국계기업) 각 연차(1~13년 차)의 평균연봉을 인사혁신처가 공개한 일반직공무원 봉급표 및 수당 규정을 참조해 산출한 공무원 연봉과 비교했다.
공무원 연봉 산출을 위해 우선 남성이 5급과 7급, 9급의 2호봉으로 입직해 공직 생활을 시작하는 것으로 가정했다(21개월 군 복무를 마치고 별다른 경력 없이 공직 사회에 입문하면 2호봉에 해당한다). 승진 소요 연수는 인사혁신처가 발표한 ‘2018 공무원 총조사’를 참조해 9급에서 한 직급씩 승진하는 데 3년(8급)→5년(7급)→9년(6급)→10년(5급)→9년(4급)→7년(3급)→5년(2급)→4년(1급)→3년(고위공무원)이 소요된다고 가정했다. 실제 계급별 평균 승진 소요 연수는 ‘표1’과 같다.
9급 11년 차, 대기업 평균연봉 돌파
이렇게 산출한 공무원의 연차별 연봉을 민간기업의 연차별 연봉과 비교했다(그래프1 참조). 1년 차부터 13년 차까지 줄곧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일자리’는 대기업이 아닌 5급 공무원. 5급 공무원 연봉은 1년 차 때 대기업보다 740만 원 많은데, 이 차이는 갈수록 벌어져 13년 차 때 1170만 원에 달한다. 5급 공무원 연봉은 ‘상위 25% 대기업’과 비교해도 항상 높다(그래프2 참조).
‘말단 공무원은 쥐꼬리 봉급’이라는 말도 더는 현실과 맞지 않는다. 갓 공직에 입문한 9급 공무원의 연봉은 중소기업보다 오히려 약간 높다. 다만 4년 차부터 역전되기 시작해 13년 차 때 중소기업(5343만 원)보다 420만 원 적어진다. 그러나 잡플래닛은 중소기업 연봉이 실제보다 상향 평가됐을 개연성이 있다고 본다. 김지예 잡플래닛 이사는 “최저임금보다 낮은 연봉을 제출한 중소기업 데이터는 제외하고 평균연봉을 산출했다”며 “최저임금보다 낮은 급여를 주는 중소기업도 일부 존재하기 때문에 실제 중소기업 평균연봉은 연봉보고서가 제시한 데이터보다 낮을 수 있다”고 밝혔다. 9급 공무원과 중소기업 연봉 차가 거의 없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하위 25% 중소기업’과 비교하면 9급 공무원 연봉은 그보다 항상 높다(그래프3 참조).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주요국의 노동시장 유연안정성 국제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유(有)노조·정규직 근로자의 근속연수는 평균 13.7년으로, 중소기업·무(無)노조·비정규직 근로자 2.3년의 6배에 달한다. 공무원 근속연수는 이보다 높다. ‘2018 공무원 총조사’에 따르면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의 평균 재직연수는 15.8년이다. 이에 더해 공무원은 사실상 정년을 보장받고, 임금피크제를 적용받지 않는다. 잡플래닛의 연봉보고서가 13년 차 연봉까지만 산출한 이유는 그 후의 평균연봉은 의미가 크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김 이사는 “보통 민간기업의 13년 차 이상 직원은 임원으로 승진해 연봉이 크게 오르거나 더는 승진하지 못해 연봉이 종전과 별다른 변화가 없다”고 설명했다.
잡플래닛 연봉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규모별 평균연봉은 △대기업 4458만 원 △중견기업 3973만 원 △중소기업 3422만 원 △외국계기업 4090만 원이다(표3 참조). 그렇다면 7·9급 공무원은 몇 년을 일해야 민간기업의 평균연봉보다 많은 연봉을 받을까. 9급 2호봉으로 시작하면 5년 차 때 중소기업, 8년 차 때 중견기업, 9년 차 때 외국계기업, 11년 차 때 대기업 평균연봉을 돌파한다. 7급 2호봉으로 시작하면 2년 차, 5년 차, 6년 차, 7년 차 때 중소기업→중견기업→외국계기업→대기업의 평균연봉을 차례로 뛰어넘는다.
대·중소 임금 격차? 民官이 오히려 커
평생 소득을 고려해 직업을 택할 때 연봉 외에 살펴봐야 할 것 가운데 하나가 연금이다. 공무원연금 수령액은 얼마나 될까. 직급별, 재직기간별 공무원연금 기대 수령액은 국민연금 가입자의 기대 수령액과 얼마나 차이가 날까. 이와 관련한 데이터는 공개된 것이 없다. 인사혁신처 인사관리국 관계자는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 가입자의 수령액 수준을 따로 비교·분석한 자료는 없다”고 밝혔다. 다만 2017년 국회 국정감사 때 국민연금공단과 공무원연금공단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인당 월평균 수령액이 공무원연금은 240만 원, 국민연금은 38만 원으로 6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공무원들은 공무원연금 개혁에 따른 손실을 급여 보전으로 메꿔야 한다는 논리를 펴지만, 이들의 급여는 이미 민간 대비 상당히 높다”며 “공무원연금 개혁에 나서지 않는다면 민관(民官) 소득 격차는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