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73

2015.01.26

안방 극장 왕좌 노리는 OTT

서비스 이용자 2250만 명…기존 사업자에 새로운 얼굴들까지 도전장

  • 권건호 전자신문 기자 wingh1@etnews.com

    입력2015-01-26 13:2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안방 극장 왕좌 노리는 OTT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OTT 사업자 넷플릭스.

    방송시장 틈새를 노리고 출발한 N스크린(다양한 정보기기로 하나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과 OTT(Over The Top) 서비스가 방송시장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로 급부상했다. 기존 방송사는 물론이고 이동통신사와 전문 사업자까지 연이어 진입하면서 시장이 크게 성장했다. 여기에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주문형비디오(VOD) 위주로의 시청 형태 변화가 맞물리며 파급력이 확대됐다.

    실제로 최근 엄청난 화제가 됐던 MBC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 : 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1월 3일 방영분)의 지상파 실시간 시청률은 최고 22.2%였지만, CJ헬로비전의 OTT 서비스 ‘티빙’에서의 시청률은 75.7%에 달했다. 또 지난해 방송된 케이블채널 tvN 드라마 ‘미생’은 최고 시청률이 10%를 겨우 넘는 데 그쳤으나 VOD 시청률이 훨씬 높아 최고 화제 드라마가 됐다. 올해 다음카카오의 ‘카카오TV’(가칭)가 가세하고, 내년 글로벌 OTT 시장의 맹주인 미국 넷플릭스까지 국내에 진출하면 OTT 중심으로 방송시장 재편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초고속 성장한 OTT

    OTT는 일반 인터넷망을 통해 영상 콘텐츠를 시청자에게 보내주는 서비스다. 지상파 방송이나 유료방송 플랫폼을 거치지 않아도 방송이나 영화 등을 볼 수 있어 편리하다. 넓은 의미에서 N스크린 서비스도 OTT 일종으로 볼 수 있다. 국내에는 CJ헬로비전이 서비스하는 ‘티빙’, 지상파 방송사들이 만든 콘텐츠연합플랫폼의 ‘푹(pooq)’, 에브리온TV의 ‘에브리온TV’ 등이 대표적이다. 이동통신 3사도 각각 모바일 IPTV(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TV)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네이버는 ‘TV캐스트’를 서비스하고, 구글이 만든 ‘크롬캐스트’도 국내에 진출했다.

    이용자 수 증가세도 폭발적이다. 티빙은 가입자 수가 680만 명을 넘어섰고, 상반기 중 700만 명 돌파가 예상된다. 서비스를 시작한 지 4년 만이다. 푹도 가입자가 300만 명에 이르고, SK플래닛이 제공하는 ‘호핀’은 450만 가입자를 보유했다. 여기에 이동통신 3사의 모바일 IPTV 가입자 수 580만 명, 에브리온TV와 크롬캐스트 이용자 등을 더하면 전체 OTT 서비스 이용자는 2250만 명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국내 케이블TV 가입자 수가 1500만 명에 조금 미달하고, IPTV 가입자도 1000만 명을 조금 넘는 수준과 비교하면 엄청난 숫자다. OTT 서비스가 본격화된 것이 2~3년밖에 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놀라운 성장 속도다.



    안방 극장 왕좌 노리는 OTT

    N스크린과 OTT 서비스가 방송시장 판도를 바꾸고 있다. 구글이 만든 크롬캐스트(왼쪽)와 CJ헬로비전이 서비스하는 티빙.

    정보통신 시장조사업체 스트라베이스는 ‘2014년 시장결산 및 2015년 전망 OTT 부문’ 보고서에서 2013년 1490억 원이던 국내 OTT 시장 규모가 2019년에는 6345억 원으로 4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OTT 서비스의 급격한 성장은 스마트 기기 보급 확산과 이에 따른 시청 형태 변화 때문이다. 이동 중에도 스마트폰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동영상 시청이 가능해지면서 방 안에 앉아 TV를 보던 시대에서 이동하며 보는 시대로 바뀌었다. 지난해 DMC미디어가 만 19~59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동영상 시청 행태’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으로 VOD를 시청하는 응답자가 89%나 됐다. 또 3명 중 1명은 N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카카오TV, 넷플릭스 가세 방송시장 빅뱅

    OTT 중심으로의 방송시장 재편은 올해부터 가속화될 전망이다. 기존 OTT 사업자에 새로운 얼굴들까지 도전장을 냈기 때문이다. 국내 스마트폰 보급 대수는 지난해 이미 4000만 대를 넘어섰다. OT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가 4000만 대 이상이라는 의미다. LTE(롱텀에볼루션) 네트워크도 진화하면서 OTT 서비스 품질과 안정성이 향상됐다.

    여기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포털사이트의 동영상 서비스 강화는 스마트 기기를 통한 OTT 서비스 이용에 날개를 달 것으로 보인다. 특히 네이버 TV캐스트가 지난달부터 방송 콘텐츠 제공을 시작하면서 콘텐츠 경쟁력이 강화됐다. 그동안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는 유튜브가 독보적이었다. 하지만 방송사들이 구글과 잡았던 손을 놓고, 네이버로 파트너를 바꾸면서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시청률 조사기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국내 인터넷 사용자가 네이버 TV캐스트를 이용한 시간은 2014년 11월 마지막 주 총 1150만3000분에서 방송 콘텐츠 제공을 시작한 12월 첫 주 1384만6000분으로 크게 늘었다. 12월 둘째 주에는 1450만5000분으로 이용시간이 더 늘었다.

    다음카카오도 조만간 새로운 동영상 서비스를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범수 다음카카오 의장 지시로 내부에서 동영상 서비스 강화 전략 수립에 착수했다. 아직 구체적인 전략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동영상과 방송 콘텐츠 등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카카오톡이란 강력한 메신저 플랫폼과 연동하면 파괴력이 클 것으로 점쳐진다.

    내년에는 더 큰 변화가 예정돼 있다.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OTT 사업자 넷플릭스가 국내에 진출한다. 넷플릭스는 최근 국내 서비스를 준비할 전담팀을 파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넷플릭스는 한 달에 8.99달러(약 9750원)만 내면 영화나 드라마를 무제한으로 시청할 수 있다. 현재 50개국에서 5700만 명이 넘는 가입자를 확보했고, 지난해 연매출이 4조8000억 원에 달한다. 미국에서는 넷플릭스가 인기를 끌면서 시청자가 유료방송 시청을 중단하는 ‘코드커팅(Cord Curting)’이 크게 늘었다. 국내에서도 이와 비슷한 변화가 일어날지가 최대 관심사다.

    현재 OTT 서비스는 케이블TV나 IPTV 같은 기존 유료방송의 보완재 정도에 머물고 있지만, 대체재로 인식되는 순간 코드커팅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유료화’라는 큰 장벽을 넘는 것이 핵심이다. 국내는 콘텐츠 유료화에 대한 거부감이 외국에 비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OTT 서비스의 유료 가입자는 티빙 60만 명, 푹 23만 명 등으로 전체 가입자 대비 유료 가입자 비율이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방송업계 한 관계자는 “OTT 중심으로 방송시장이 변할 것이라는 점은 피할 수 없다”면서 “유료방송 사업자들이 OTT 서비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도 지상파 중심의 방송정책을 그만두고, 스마트 미디어 시대에 부합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