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47

2010.07.26

세연정 누마루 난간에 고산 윤선도 자취 남았네

남해 완도 보길도

  • 글 ·사진 양영훈 travelmaker@empal.com

    입력2010-07-27 15:2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연정 누마루 난간에 고산 윤선도 자취 남았네

    땅거미가 내려앉은 초저녁에 동구 전망대에서 바라본 예송리와 예작도 전경.

    해남 땅끝선착장에서 보길도까지 뱃길로 1시간쯤 걸린다. 풍광 좋은 다도해 뱃길이라, 실제로는 훨씬 짧게 느껴진다. 면적이 33km2, 해안선 길이가 41km인 보길도는 섬치고는 높은 산이 제법 많다. 바다에서 바라보면 커다란 종 하나가 바다에 두둥실 떠 있는 형상이다.

    오늘날의 보길도는 완도군의 여러 섬 중 청산도와 함께 가장 유명하다. 자연풍광이 빼어난 덕택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고산 윤선도(1587~1671)가 은거하며 ‘어부사시사’ ‘오우가’ 등 국문학사에 길이 빛날 걸작을 남겨 유명해졌다. 51세 때인 인조 15년(1637)에 보길도 부용동으로 들어온 고산은 자신만의 낙원을 건설했다. 낙서재에서 85세를 일기로 숨을 거둘 때까지 세연정, 동천석실, 곡수당, 무민당, 정성암 등 모두 25채의 건물과 정자를 지었다. 고산이 세상을 뜬 뒤 부용동 정원은 그의 서자와 후손이 관리했으나 점차 황폐해졌다. 이후 약 300년 동안이나 잡초 우거지고 주춧돌만 곳곳에 뒹구는 채로 방치됐다가 1993년에야 세연정과 동천석실이 복원됐다.

    현재 부용동 동구의 보길초등학교와 이웃한 세연정은 부용동 정원 중에서도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곳이다. 세연정 주변은 굵은 동백나무를 비롯한 갖가지 상록수가 울창해서 사시사철 푸르다. 세연정의 누마루 난간에 걸터앉으면 세연지, 회수담, 동대, 서대, 판석보 등이 고스란히 시야에 들어온다. 이곳에 있으면 눈과 귀가 즐겁다. 주변 풍광이 철마다 다채롭게 달라지고 어디선가 끊임없이 물소리, 바람소리, 새소리가 들려온다.

    갯돌 깔린 해변에서 해조음에 기분 좋게 취해

    고산의 처소였던 낙서재는 세연정에서 1.5km쯤 떨어진 적자봉(430m) 북쪽 기슭에 자리한다. 낙서재 입구에는 곡수당이 있다. 몇 해 전만 해도 두 곳 모두 잡초와 나무만 무성한 폐허였으나, 최근 대대적인 복원공사로 여러 채의 건물이 다시 들어섰다. 고산이 ‘부용동 제일의 절승’이라 칭송했던 동천석실은 낙서재에서 마주 보이는 산 중턱에 있다. 개울에 놓인 다리를 건너고 동백나무, 소나무 등이 우거진 산길을 15분쯤 오르면 전망대처럼 훤하게 트인 암벽 위의 동천석실에 당도한다. 부용동 일대가 거침없이 시야에 들어온다. 부용동 골짜기에 비구름이나 안개가 낮게 깔리면 선계(仙界)에 들어온 기분마저 든다.



    보길도에서 가장 큰 마을은 예송리다. 마을 앞 바닷가에는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된 상록수림이 있다. 원래 바람을 막기 위한 방풍림으로 조성됐던 숲이다. 처음에는 바닷가를 따라 1.5km쯤 늘어서 있었으나 지금은 740m쯤으로 줄었다. 이 숲에는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생달나무, 감탕나무, 동백나무 같은 상록활엽수가 흔하다. 상록침엽수인 곰솔(해송)과 낙엽활엽수인 팽나무, 작살나무, 누리장나무 등도 군데군데 눈에 띈다. 상록수림 앞에는 ‘깻돌’이라 불리는 검푸른 조약돌이 깔려 있다. 파도가 드나들 때마다 기분 좋은 해조음이 쉼 없이 들려온다.

    세연정 누마루 난간에 고산 윤선도 자취 남았네

    1. 정자리 망끝전망대 부근의 해안도로에서 본 저녁노을. 2. 고산 윤선도의 낙원인 부용동 세연정과 세연지. 3. 우암 송시열이 제주도 귀양길에 잠시 쉬어 가면서 시를 짓고 글씨를 새겼다는 ‘송시열 글씐바위’.



    예송리와 청별선착장 중간에서 중통리 입구를 지나게 된다. 동쪽으로 길쭉하게 돌출한 중통리 해안에는 해송숲과 모래해변을 거느린 통리해수욕장과 중리해수욕장이 있다. 교통, 민박, 편의시설 등이 잘 갖춰진 곳이라 야영지로도 안성맞춤이다. 중리해수욕장을 지나 보길도의 동쪽 끝까지 걸어가면, 제주도로 귀양 가던 우암 송시열이 잠시 쉬면서 시 한 수를 새겼다는 ‘송시열 글씐바위’에 다다른다. 말년에 떠나는 귀양길의 설움이 묻어나는 시도, 그 시가 새겨진 바위 앞에서 바라보는 바다도 퍽 인상적이다.

    보길도 서쪽 해안의 정자리 망끝전망대와 보옥리 사이의 해안도로는 해넘이와 낙조를 감상하기에 좋다. 해안도로가 끝나는 보옥리 바닷가에는 보족산(195m)이 뾰족하게 솟아 있다. 산 아래의 바닷가에는 아름다운 몽돌해변이 있다. 크고 둥글둥글한 갯돌이 마치 공룡의 알처럼 거대하다고 해서 ‘공룡알 갯돌밭’이라 불린다. 인적 뜸한 공룡알 갯돌밭에서는 파도소리, 바람소리, 새소리 같은 자연의 소리만 들려온다. 그 소리에 귀 기울이다 보면 어느덧 자연과 하나 된 희열이 파도처럼 가슴을 적신다.

    세연정 누마루 난간에 고산 윤선도 자취 남았네

    4. 예송리의 깻돌해변과 호수처럼 잔잔한 바다에 떠 있는 고깃배. 5. 보옥리 보족산 아래의 ‘공룡알 갯돌밭’.

    여/행/정/보

    ●숙박

    중리해수욕장의 해그림펜션(061-553-6254)과 솔밭콘도(061-552-2990)는 바다가 한눈에 들어오는 바닷가에 자리한 펜션형 민박집이다. 청별선착장의 세연정모텔(061-553-6782), 보길도의아침(061-554-1199), 바위섬횟집(061-555-5612) 등은 모텔과 식당을 겸하고 있다. 세연정 근처에는 백록당(061-553-6321), 청기와(061-553-6303) 등이 있고 예송리에는 선아네(011-631-6417), 예송정(061-553-6494), 파도소리민박(061-553-6418), 황토한옥펜션(061-553-6370) 등이 있다. 최근 완공된 보길대교를 건너면 노화도의 숙박업소와 식당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맛집

    대부분의 민박집에서는 미리 주문하면 식사(1인분에 약 5000원)를 차려준다. 보길도의 청별선착장 부근에는 보길도의아침(해물된장찌개), 바위섬횟집(전복요리), 세연정횟집(생선회, 061-553-6782) 등 식당이 많아서 식사를 해결하기가 어렵지 않다.

    교/통/정/보

    ●땅끝↔보길도/ 해광운수(땅끝 매표소/061-535-5786)의 카페리호가 땅끝선착장과 보길도 청별선착장 사이를 오전 6시40분부터 오후 5시40분까지 30분에서 1시간 간격으로 하루 17회 왕복 운항한다. 성수기에는 증편된다. 편도운항 소요시간은 약 1시간이며, 차량(승용차 편도운임 2만 원)도 실을 수 있다. 보길도 청별선착장보다는 노화도 산양선착장에서 타고 내리는 것이 더 경제적이다.

    ●완도↔보길도/ 완도 화흥포항(061-555-1010)에서도 보길도행 카페리호가 수시로 운항한다.

    ●섬 내 교통

    보길버스(061-553-7077)가 청별선착장에서 수시로 출발한다. 보길택시(061-553-8876) 소속의 영업용과 개인택시(061-553-6262, 6353)도 있는데 요금은 구간별 정액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