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동아 로고

  • Magazine dongA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주간 한자 (번체,간체) 교실 21

중국인, 茶 없인 못 살아!

  • 황미라 (사)한중문자교류협회 기획이사
입력
2009-02-11 13:47:00
  • 작게보기
  • 크게보기

중국인, 茶 없인 못 살아!

차 마시기를 좋아하는 중국 사람들은 식사할 때는 물론 친구나 손님이 왔을 때도 보통 차를 대접한다. 그만큼 차는 중국 사람들의 생활에서 빠져서는 안 되는 필수품이다. 고대 중국 사람들은 차나무를 발견한 이후 처음에는 약으로 사용하다 나중에 음료로 마시게 됐다고 한다.

중국 찻잎은 제조 방식에 따라 크게 녹(綠· )차, 홍(紅· )차, 오룡(烏龍· )차, 화(花)차, 타( )차, 전(塼· )차 등으로 나뉘며 각각의 차 종류마다 많은 품종이 있다.

산뜻한 연녹색을 띠는 녹차는 발효차가 아니다. 유명한 녹차 품종으로는 항저우(杭州) 서호의 용정(龍井· 井)차가 있다. 홍차는 발효시킨 차로 찻물을 우려내면 붉은색을 띤다. 중국의 유명한 홍차로는 안후이(安徽)성의 기홍(祈紅)차와 윈난(雲南)성의 전홍( 紅)차를 들 수 있다. 오룡차는 반쯤 발효(醱酵· 酵)시킨 차로 찻잎이 부드러우면서 넓적하다. 우린 찻물의 색깔은 황금색이다.

화차는 중국 특유의 차로 찻잎에 향기로운 꽃냄새를 배게 해서 만든 것이다. 푸젠(福建)성에서 생산되는 재스민차가 가장 유명하다. 타차는 윈난(雲南)과 쓰촨(四川)에서 생산되는 차의 한 종류로 압력을 가해 둥근 찐빵처럼 만든 것이다. 모양이 벽돌같이 생긴 전차는 몽골족과 티베트족 등 소수민족이 즐긴다.

차는 갈증 해소와 피로 회복을 돕고 질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중국인, 茶 없인 못 살아!
교육상담 | 한중상용한자능력검정회 I ☎ 02-1577-9645 I www.hnk.or.kr



주간동아 673호 (p94~94)

황미라 (사)한중문자교류협회 기획이사
다른호 더보기 목록 닫기
1392

제 1392호

2023.06.02

코로나19 끝나 여행 수요 급증하는데 대한항공 안전성 B등급 추락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