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는 입에서 나온다
馬援曰 聞人之過失이거든 如聞父母之名하여 (마원왈 문인지과실 여문부모지명)耳可得聞이언정 口不可言也니라 (이가득문 구불가언야)마원이 말하기를 “남의 허물을 들으면 부모의 이름을 듣는 것과 같이 하여, 귀로는 가히 들을지언정…
200903032009년 02월 25일인류의 보물 ‘도자기 예찬’
영어 ‘China’는 중국이라는 의미와 더불어 자기(瓷器·ciqi)를 지칭하기도 한다. 서구인들은 일찍부터 자기 제작 기술을 발명한 중국과 자기 자체를 하나로 봤다. 도기(陶器·ta、oqi)에서 발전(發展·展·fa-zhan)된 중국…
200902242009년 02월 19일중국인, 茶 없인 못 살아!
차 마시기를 좋아하는 중국 사람들은 식사할 때는 물론 친구나 손님이 왔을 때도 보통 차를 대접한다. 그만큼 차는 중국 사람들의 생활에서 빠져서는 안 되는 필수품이다. 고대 중국 사람들은 차나무를 발견한 이후 처음에는 약으로 사용하다…
200902172009년 02월 11일‘세한삼우’ 고상함의 상징
소나무와 대나무, 매화나무는 예부터 선인(先人)의 사랑을 받아왔다. ‘세한삼우(歲寒三友· 寒三友)’로 일컬어지는 이 세 나무는 옛사람들이 추구하는 고상한 정서를 상징한다. 소나무는 생명력이 강한 상록수로 엄동설한에도 푸르고 무…
200902102009년 02월 05일공자도 증자도 “신의”
성실(誠實· )함은 충성(衷誠)스럽고 정직(正直)하며, 언행(言行)이 일치하고 겉과 속이 똑같다는 것을 뜻한다. 신의(信義·信 )를 지킨다는 것은 약속(約束· 束)을 준수(遵守)하고 사기(詐欺)를…
200901272009년 01월 29일문방사보=文房四友
예부터 사람들이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리는 데 빼놓을 수 없었던 종이, 먹, 붓, 벼루 네 가지를 문방사보(文房四寶)라고 불렀다.종이 : 선지(宣紙)는 종이 중의 명품으로 일찍이 당나라 때 황제에게 공물로 진상됐다. 이 종이는 안휘…
200901202009년 01월 13일2009년은 만사여의
중국 민간에는 상서로움을 의미하는 수많은 도안이 전해 내려온다. 이를 길상도안(吉祥圖案)이라고 한다.설이나 경사스런 날이 되면 사람들은 행복한 삶을 소망하고 좋은 날을 축하하기 위해 모두 이 상서로운 도안들로 자신의 집이나 물건을 …
200901132009년 01월 07일한자를 배워야 하는 이유
한자는 우리 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을 정도로 일상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 한자 문화권 속에서 형성돼온 수많은 전통문화의 축적물에서부터 21세기를 사는 현대인의 언어와 문자 영역까지 한자는 광범위하게 살아 숨쉬며 우리와 함께하고 …
200901062008년 12월 31일익자삼우, 손자삼우
공자(孔子)는 사귀어서 유익(有益)한 세 벗과 해(害)가 되는 세 벗에 대해 말했다. 이로운 벗은 우직(友直), 우량(友諒·友▒), 우다문(友多聞·友多▒)이다. 해로운 벗은 우편벽(友便▒), 우선유(友善柔), 우편녕(友便▒)이다.공…
200812302008년 12월 22일정중지와=정저지와
정중지와(井中之蛙)는 ‘우물 안 개구리’란 뜻의 고사성어다. 좁은 우물 속에 앉아 그것이 세상의 전부인 줄 믿고 있는 개구리처럼 식견(識見· )이 좁은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에 다음과 …
200812232008년 12월 16일함흥차사=단선풍쟁
함흥차사(咸興差使·咸 差使)라는 고사성어(故事成語·故事成 )가 있다. 조선(朝鮮·朝 ) 태조 이성계는 두 차례에 걸친 ‘왕자의 난’에 울분(鬱憤·郁 )하여 아들 태종에게 왕위(王位)를 물려주고 함흥으로 가버렸…
200812162008년 12월 10일청출어람=나중 난 뿔 우뚝
푸른색은 쪽에서 나왔지만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순자(荀子)의 권학편(勸學篇· 篇)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배움은 그쳐서는 안 된다(學不可以己). 푸름은 이것을 쪽에서 취하였지만 쪽보다 푸르고(靑出於藍而…
200812092008년 12월 03일독서망양=다기망양
독서망양(讀書亡羊· 亡羊)은 책을 읽는 데 정신이 팔려서 양을 잃어버린다는 뜻의 사자성어다. 정신을 딴 데 팔다가 일을 망친다는, 혹은 중요한 일을 소홀히 한다는 비유에 쓰인다.생활 철학(哲學·哲 )과 교훈(敎訓…
200812022008년 11월 26일한자 알면 공부가 쉽다
우리가 쓰는 어휘의 70% 이상이 한자어다. 특히 분야를 가릴 것 없이 주요 개념어는 한자어인 예가 많다. 그래서 우리가 어느 분야를 처음 배울 때는 한자(漢字· 字)를 알고 있는지 여부가 학습 진도와 이해에 큰 영향을 끼친다. …
200811252008년 11월 20일한자를 배워야 하는 까닭
우리 조상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중화민족과 교류하면서 그들의 문화를 수용해 풍요(豊饒· )로운 우리 문화(文化)를 창조했다. 그리고 한자를 주된 기록(記錄· ) 수단으로 해 문학작품의 창작(創作· 作)이…
200811182008년 11월 13일오월동주=동주공제
‘오월동주(吳越同舟·Wu Yue tong zhou)’는 서로 원수지간이면서도 어떤 목적을 위해서는 부득이 협력하는 상태, 또는 서로 미워하면서도 공통의 어려움이나 이익을 위해서는 협력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유사한 표현으…
200811112008년 11월 03일종과득과=사필귀정
種瓜得瓜, 種豆得豆(종과득과, 종두득두·zhong gua- de gua-, zhong dou de dou). 우리에게 잘 알려진 속담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의 중국식 표현이다. ‘오이를 심으면 오이를 얻고,…
200811042008년 10월 27일이름 보면 요리 척 압니다
중국인들은 네 발 달린 것은 책상 빼고 다 먹고 , 두 발 달린 것은 사람 빼고 다 먹고, 날아다니는 것은 비행기 빼고 다 먹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요리 재료가 무궁무진하다. 지역에 따라 요리 종류도 다양한데, 일명·#40065;…
200810282008년 10월 22일금상첨화냐, 첨상금화냐
금상첨화(錦上添花··#38182;上添花).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널리 쓰이는 고사성어다. 비단은 실크로드를 거쳐 머나먼 유럽까지 팔려나갈 만큼 중국에서는…
200810212008년 10월 15일과하탁교=토사구팽
과하탁교(過河·#25286;橋 ··#36807;河·#25286;·#26725;). 강을 건넌 뒤에 다리를 허물다, 곧 어떤 목적을 이룬 뒤에 일찍이 자신을 도와준 사람을 헌신짝 버리듯 차버린다는 뜻이다.‘토사구팽(兎死狗烹··#208…
200810142008년 10월 0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