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42

2008.07.01

전쟁이 남긴 恨도 세월 지나면 香이 될까

  • 현수정 공연 칼럼니스트

    입력2008-06-25 09:2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쟁이 남긴 恨도 세월 지나면 香이 될까

    월북자인 강수와 그의 친구였던 택성이 성묘길에 재회하는 장면. 이들의 해묵은 원한은 세월 앞에 어느새 스러진 후다.

    ‘이념 대립’ ‘분단국가’ 등 시대에 뒤처진 단어가 유효한 이 땅에서 6·25전쟁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의 문제다. 연극 ‘침향’(김명화 작, 심재찬 연출)은 한국문화의 기저에 드리워진 트라우마인 6·25전쟁에 대해 한 템포, 아니 두세 템포 느린 속도로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조명이 켜지면 시골집 마당에서 경상도 사투리를 쓰는 여인들이 잔치를 준비하며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다. 그들이 기다리는 사람은 바로 56년 만에 고향을 방문하는 강수. 그는 6·25전쟁 때 인민군 편에서 일하다 월북했고, 현재 중국에서 살고 있다. 그곳에서 새살림을 차린 지 오래인 그는 스물아홉 살 된 딸을 데리고 나타난다.

    6·25전쟁 때 자진 월북한 강수 56년 만에 고향 찾아

    강수로 인해 큰 상처를 입은 사람들이 있으니, 바로 그의 친구였던 택성과 아내 애숙이다. 강수는 과거에 우익 인사였던 택성의 아버지를 죽창으로 찔러 죽였다. 이 때문에 택성은 지금까지 낫을 갈며 강수를 기다려왔다. 강수의 아내는 월북 당시 첫아이를 임신한 새색시였는데, 반세기 동안 감감무소식인 남편을 그리워하다 치매에 걸려 눈앞에 나타난 남편을 알아보지도 못한다.

    50년간 묵혀두었던 관계는 성묘길에서 드러난다. 택성은 음식을 차리고 있는 강수 앞에 낫을 들고 나타나는데, 생각보다 사건은 심각하게 벌어지지 않는다. 자신이 밟고 있는 산소의 주인이 강수의 어머니라는 것을 알고는 금세 살기를 누그러뜨리기 때문. 두 사람은 극의 말미에 어릴 때처럼 씨름을 하면서 말없이 화해한다.



    택성이 낫을 휘두른 이후 또 한 차례 소동이 일어나는데, 이번에는 정신이 온전하지 못한 애숙이 어디론가 사라진 것이다. 알고 보니 그녀는 오래전 남편 강수와 사랑을 나누던 뒷산의 ‘생강굴’에 들어가 있었다. 강수는 그 장소의 의미를 뒤늦게 기억해내고 애숙에게 간다. 그러나 제정신이 아닌 애숙은 강수와 제대로 해후하지 못한다.

    작품은 매우 느린 속도로 전개된다. 줄거리도 단순하다. ‘강수가 56년 만에 고향을 방문해 가족과 상봉하고, 성묘한 후 다시 떠난다’는 것이다. 박진감 있는 메인 플롯을 찾아볼 수가 없는데, 극 중에 새롭게 갈등이 형성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과거의 일 때문에 예고되었던 갈등도 정도가 미미하다. 가장 소란스러웠던 택성의 장면을 봐도 택성이 술에 취해 낫을 든 것이지, 강수를 진심으로 죽이려 했던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가족과의 극적인 상봉 역시 이뤄지지 않는다. 아내 애숙은 치매에 걸려 나타나지도 않고, 아들 영범은 평생 ‘빨갱이’라는 주홍글씨를 마음에 새기고 살게 한 아버지라는 존재를 마뜩잖아한다.

    이처럼 극을 느슨한 템포로 이끌고 나가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 극에서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생생하게 살아 있는 과거’ 혹은 ‘피를 철철 흘리고 있는 상처’가 아닌 것이다. 이 연극은 사건의 전개보다는 과거 일의 마무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그리고 이 작품이 담고 있는 시각은 전쟁을 겪지 않은 세대의 시점이다. 인물들은 마치 물 빠진 껌처럼 지쳐 보이고, 독기도 없어 보인다. 마치 ‘이 시점에서 얽히고설킨 역사를 한번 정리해볼 때도 되지 않았어?’라고 속삭이는 듯한 분위기다.

    그런 와중에 ‘침향제’에 대한 이야기가 전개된다. ‘침향(沈香)’이란 민간의례에서 온 것으로 ‘바다와 강물이 만나는 지점에 향나무를 천년 동안 묻어두면 가장 아름다운 향이 나고, 그 향이 세상을 순화시킨다’는 의미를 지닌다. 마을에서는 물건들을 타임캡슐에 넣어 천년 동안 묻는 형식의 ‘침향제’를 준비하는데, 어린 소녀가 타임캡슐에 집어넣을 물건으로 선택하는 것은 다름 아닌 6·25전쟁 당시의 기록. 그것은 애숙이 생강굴에서 꽁꽁 싸안고 나온 것으로, 강수가 월북하면서 절대로 잃어버리지 말라고 했던 물건이다.

    복수 노리던 친구, 치매 걸린 아내와의 상봉

    한편 지난 역사의 상흔은 ‘천년의 침묵’ 속에 묻고, 개인이 주체가 될 수 있는 일들은 능동적으로 해결해보자는 메시지도 느낄 수 있다. 전쟁 당시 죽거나 실종된 자들의 제의를 지냄으로써 부역자들과 죽은 자들을 화해시키는 기존의 6·25전쟁 소재 연극들과 달리, 이 작품에서는 죽지 않고 살아 돌아온 자신이 상처를 준 사람들과 직접 화해하는 것이다. 즉 관념적이거나 감상적인 시각으로 전쟁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이 역사의 상처를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며 살아야 할 것인가라는 현실적인 고민을 느끼게 한다.

    전쟁의 상흔을 고스란히 안고 있는 기록을 천년 동안 묻어둔다는 것은 더는 과거를 되씹으며 분노하거나 주저앉아 울지 말고 어떻게든 한발을 떼어보자는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기억을 묻어두고 켜켜이 쌓인 한을 향기로 변화시키는 일은 분단 현실의 변화가 수반됐을 때만 가능하지 않을까.

    템포가 매우 느린 감이 있지만, 자분자분 풀어내는 이야기는 회한과 슬픔을 담뿍 느끼게 한다. 풍물 소리 외에는 청각적 효과가 많이 사용되지 않았는데, 대신 오토메이션 장치로 무대를 다양하게 활용했다. 마치 한참 동안 산을 걸어가는 영화 속 장면처럼 인물들이 등장 퇴장을 반복하면 뒷산이 움직이며 모습을 달리한다. 시골집 마당이며 뒷산을 비추는 조명이 좀더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면 좋을 것 같다. 중견배우들의 안정된 연기가 작품의 깊이를 더했다.

    남북한 말의 비교

    남한은 표준어, 북한은 문화어


    ‘침향’은 경상도를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인물들은 투박하면서도 정겨운 경상도 사투리로 대화한다. 반면 입을 모으고 발음해야 할 것 같은 동글동글한 옌볜(延邊) 사투리를 쓰는 사람이 딱 한 명 있는데, 바로 강수의 딸인 영순. 특별한 음악적 효과를 쓰지 않아도 극이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사투리가 주는 리듬감 때문이 아닐까.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등의 사투리는 소통이 안 될 정도로 낯설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영순의 말이 도드라져 보인 것은 반세기 동안 직접 대면해보지 않은 북한 언어이기 때문이다. 영순은 안경을 쓰고 있는 꼭지에게 ‘앵구’를 썼다고 말한다. 안경이나 앵구는 그나마 비슷한 어감을 주는 말. 북한은 우리나라와 얼마나 다른 단어들을 쓰고 있을까.

    남한에서는 1988년 ‘표준어사정원칙’에 의해 교양인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을 ‘표준어’라고 부르게 되었고, 북한에서는 1966년 ‘조선말규범집’에 따라 평양지역, 노동계급 등으로 규정한 ‘문화어’를 지정했다. 북한에는 ‘말 다듬기 사업’으로 수많은 문화어가 만들어졌는데, 가장 큰 특징은 한자어나 외래어의 뜻을 풀어서 쓴다는 것이다.

    그 밖에도 문화어는 남한말에 비해 직설적인 단어들이 상당히 많다. 몇 가지 소개해보면 양계장은 닭공장, 지하수는 땅속물, 예방은 미리막이 등으로 쓴다. 그리고 버라이어티쇼는 노래춤묶음, 뮤지컬은 노래이야기로 불린다.

    어쨌든 생각해보면 뜻은 통하는데 매우 색다른 느낌을 준다. 통일이 된다면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모습에서 매력을 느낀 남남북녀, 남녀북남 커플이 꽤 생기지 않을까 하는 상상을 해본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