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75

2005.03.08

억지로 몸만들기 ‘코르셋’과 ‘전족’

  • 최현숙/ 동덕여대 의상디자인학과 교수

    입력2005-03-04 10:0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억지로 몸만들기 ‘코르셋’과 ‘전족’
    패션이 대표적이긴 하지만 예술에도, 심지어 학문에도 시대에 따라 일종의 유행이라 할 만한 흐름이 있다. 어떤 특정한 작품 경향이나 이론이 세계 여러 곳에서 묘하게도 동시다발적으로 등장하면서 얼마 지나지 않아 그와 관련된 작품과 연구가 그 분야의 독보적인 흐름이 되는 것이다.

    20세기 말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우리를 사로잡아 온 주제는 ‘몸’인데, 몸은 여전히 강력한 지배력을 과시하고 있다. 몸을 소재로 한 미술 작품은 이미 극한에 도달한 듯하다. 우리의 일상에서도 보디빌딩을 비롯해 요가·필라테스·태보·재즈댄스 등 몸만들기를 위해 뭔가 하나쯤 하고 있지 않으면 시대에 뒤진 사람으로 여겨질 정도다.

    또한 2005년 ‘이상문학상’은 ‘몽고반점’을 당선작으로 발표하면서, 몸의 아름다움과 몸에 내재된 삶의 의미를 천착하여 몸 담론의 정수를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선정 이유로 들었다.

    ‘이러한 몸을 가리거나 덮는 것이 의복이다’는 말은 맞다. 그러나 틀린 말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의복은 몸을 만들기도 하기 때문이다. 간단한 예로 TV 홈쇼핑 채널에서 보는 체형 보정 속옷에 관한 광고는 마술이기라도 한 것처럼, ‘입기만 하면 당신 몸이 이렇게 변한다!(문자 그대로 변신)’고 유혹한다. 물론 반신반의하며 신청했다가 결국 옷장의 골칫거리로 전락시킨 경험이 있는 여성들이 많다. 하지만 그건 오로지 실천의 문제였을 뿐이다. 충분히 오랜 기간 의복을 통한 과도한 압력이 주어진다면 틀림없이 몸의 형태는 바뀐다!

    18, 19세기 서구 여성들에게 코르셋은 바로 그런 구실을 했다. 차이가 있다면, 현대 여성들에겐 소비라는 형태의 선택 사항이지만, 당시의 여성에게는 피해갈 수 없는 강제였다는 점이다.



    여자 어린이가 4~5세 되면 착용하기 시작하는 코르셋에는 고래 뼈나 나무 등으로 만든 단단한 심이 들어가 있어, 가슴 아래 등뼈 부위를 구부리지 못하게 지탱하면서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해 결국은 한 손에 들어갈 만한 날씬한 허리를 만들어냈다. 뒤에서 최대한 조여 묶어서 자기 손으로는 입지도 벗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아 하녀나 기숙사 사감이 도와줘야만 했다.

    억지로 몸만들기 ‘코르셋’과 ‘전족’

    몸을 ‘만드는 것’은 코르셋이기도 하고, 사회적 요구이기도 하다.춤으로 코르셋 착용을 풍자한 가수 브리트니 스피어스. 전족을 한 중국 여성들. 전족 신발과 전족한 발뼈 모양(위부터).

    오랜 착용으로 인해 등 근육이 발달할 기회가 없어, 코르셋을 벗으면 자기의 몸을 제대로 지탱할 수 없기 때문에 계속 착용하고 있어야 하는 악순환이 이어졌다. 억눌린 갈비뼈로 인해 흉강이 좁아져 내장도 위축되었고, 이로 인한 건강의 폐해는 이루 말할 수가 없을 정도였다. 우리가 19세기 소설에서 흔히 보는, 툭하면 기절하는 가냘픈 여성들의 모습은 교태를 부리기 위한 기술이 아니라 실제로 정신적인 흥분을 견뎌낼 수 없을 만큼 허약해진 몸 때문이었다. 동양에서는 청나라까지 계속돼온 중국의 전족이 대표적인 예다. 어린아이 때부터 수m에 달하는 긴 끈으로 발가락이 발바닥을 향하게 꽁꽁 묶어두면, 성장하면서 뼈가 기형으로 되었다. 성인 여성의 발길이가 3인치에 불과한 예도 있다. 이런 발을 ‘연꽃 발(金蓮)’이라 부르며 그 전족 신발에 술도 부어 마시면서 중국 귀족계급의 남성들은 혼자 힘으로는 뛰지도 걷지도 못하는 여성을 자신의 소유물로 여겼다.

    20세기에 태어나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나를 비롯한 대다수의 여성들은, 옛날엔 사회적 강제사항이었던 몸만들기가 지금은 내재화된 압력이 되어버린 건 아닌지 자문해봐야 할 것 같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