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49

2004.08.26

천년의 미술 ‘돈황 감동’ 눈을 뜨다

  • 김민경 기자 holden@donga.com

    입력2004-08-20 17:5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천년의 미술 ‘돈황 감동’ 눈을 뜨다

    ‘과벽지가’(2001) 앞에 선 작가 서용씨.

    한 전도유망한 화가가 있었다. 서울대 미대에서 동양화를 전공했던 그는 졸업하던 해에만 크고 작은 단체전에 10여회 넘게 불려다녔다. 한국화가로서 흔히 겪게 되는 현대와 전통의 갈림길에서의 갈등도 없었다. 작가적 아이디어에 자신이 있었고, 무엇보다 젊었다. 고구려 벽화에 심취해 있던 그는 1992년 한중 수교가 이뤄짐과 동시에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고, 현지에서도 벽화 작품으로 인정을 받아 4년 뒤 우리나라의 국립현대미술관에 해당하는 베이징(北京) 중국미술관에서 개인전을 열게 된다.

    “그런 심정 아실는지요. 제 개인전인데 전시장에 들어가기가 싫었어요. 이건 아니다 싶고, 사기 치는 것 같기도 하고. 그렇게 의문과 화두를 품고 돈황에 갔습니다. 전에도 물론 돈황에 갔었지만 전혀 다른 경험이었죠. 해답을 찾은 겁니다. 벽화의 한 부분에도 현대미술이 갖지 못하는 완벽함이 있었어요. 가족들에게 못 간다고 말하고, 귀국하려고 싸놓은 짐을 곧바로 돈황으로 가지고 갔지요.”

    지금 서울 옥션센터에서 ‘영원한 사막의 꽃-돈황 벽화’전을 열고 있는 작가 서용씨(42)의 7년 돈황 작업실 생활은 이렇게 시작된다. 그는 4세기에서 14세기까지 1000년의 세월 동안 그려진 돈황의 벽화에, 시간이 만들어놓은 완벽한 ‘자연’에 매료됐다.

    그는 처음엔 막고굴(천불동)의 작은 작업실에서, 나중엔 명사산 밑에 작업실을 지어놓고 돈황 벽화들을 그렸다. 직접 찬거리를 사다가 끼니를 짓고, 양꼬치구이에 입맛을 맞췄다. 돈황연구원의 지원을 받고 있었지만, 중국 정부가 외국인들의 문화재 약탈에 워낙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지라 날마다 석굴을 드나들며 그림을 그리는 그도 간첩으로 몰려 체포되기도 했다.

    화가 서용씨 7년 작업 결과물



    “그 모든 것을 수업료로 생각했습니다. 어차피 공부를 처음부터 다시 하기로 결심했고, 육체적 노동과 고행을 거침으로써 진짜 내 것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돈황 자체가 수도승들이 극한 상황을 인내하던 곳이었으니까요.”

    전시장 벽에 씌어진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이건 운명이고 인연이다’란 작가의 글귀가 눈에 들어온다.

    그는 처음엔 석굴의 벽화를 그대로 그리는 모사에 몰두했다. 벽화 보존을 위해 모사를 하는 연구자들과 달리 그는 벽화를 통해 ‘영원한 미술’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했다. 일상과 순간에 충실한 서구 현대미술에 대한 반동이기도 했다.

    따라서 그의 작품 중 많은 수가 불교적 도상을 담고 있지만, 결코 불화나 탱화는 아니다. 돈황 벽화 자체가 돈황 인구 스무 명 중 한 명은 승려였을 정도로 흥성했던 당나라 돈황 불교의 절대적 영향을 받아 조성됐기 때문이다. 그는 “그림 앞에서 절대 합장을 하지 말아달라”고 웃으며 부탁한다.

    같은 맥락에서 작가의 작품에 그려진 개개 도상이 차지하는 의미는 크지 않다. ‘대막지관’ 같은 대작에 그려진 끝없이 많은 불상들은 거의 미니멀한 화면의 확장일 뿐이다.

    후배 지도 국내 활동에 시간 할애

    물론 돈황 벽화나 당시의 풍속을 연구하려는 사람에게 서용씨의 작품은 충분한 사료적 가치도 있다. 그러나 그가 돈황 벽화를 선택한 이유는 벽화의 도상 때문이 아니라 그림을 그린 화공의 손과 천년 넘는 세월이 만들어낸 자연의 의지, 그 완벽한 조화 때문이었다. 그는 그것을 자신의 화폭에 옮겨 담으면서 자신을 섞어넣었다. 그 완벽한 자연의 형상을 화폭에 길게 늘여 붙이는 것이 그가 벽화를 그리는 진짜 이유인 것이다.

    “한 개의 석굴 전체가 하나의 그림이니, 그림 일부를 떼어 그린 저도 하나의 전체를 완성해야 하는 거지요.”

    그래서 서용씨의 작품 중에는 돈황 벽화를 중심에 넣고 그 아우라를 금분으로 그린 것이 많다. 하기야 그의 작품도 길게는 7년이 소요되었으니(‘수하설법천불도’) 그 황금색의 벽마저도 살짝살짝 세월의 세례를 드러내고 있기는 하다.

    벽화를 따라 서용씨도 흙벽 위에 그림을 그렸다.

    “흙벽은 제가 벽화에 매료된 첫 번째 이유 중 하나이기 때문에 꼭 해결해야 할 문제였지요. 처음엔 진짜 벽화처럼 짚과 흙을 캔버스로 만들어 그렸는데, 웬만한 그림도 어른 6명이 들지를 못해 지금은 나무틀 안에 삼을 풀고 그 위에 흙을 덮어 그립니다.”

    중국 란저우대학에서 돈황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중국 중앙미술학원 벽화과 객좌교수로 있는 서용씨는 앞으로 한동안 국내 활동에도 시간을 할애할 계획이고, 후배들에게 벽화의 아름다움을 가르치려고 한다. 돈황은 작업실을 다시 지어 돌아간다는 계획이다. 이번 전시는 중국에서만 개인전을 세 차례 연 그의 첫 번째 국내 개인전이며, 우리나라에 돈황의 벽화를 처음 소개하는 의미를 갖고 있기도 하다. 8월31일까지. 전시 문의 02-395-0330



    전시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