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41

2004.07.01

찬란한 과학유산 ‘수표교’ 청계천 재이전은 무리

  • 입력2004-06-25 17:0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청계천이 옛모습을 되찾아가고 있다. 아련하게 내 젊은 시절의 떠오르는 청계천을 그리면서, 한편으론 ‘수표교(水標橋)의 운명이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에 관심이 쏠린다. 수표교는 원래 청계천 2가에 있었는데 바로 앞에 세워둔 수표의 눈금을 읽어 청계천의 수량을 재던 장치에서 이름을 얻었다. 세종 때 측우기와 함께 수표를 만들었다니, 대략 560여년 전의 얘기다.

    그런데 지금 남아 있는 ‘수표’ ‘수표교’ ‘측우기’는 세종 당대의 것이 아니다. 세종 때의 수표는 나무 기둥이었지만 그것이 18세기 무렵 돌로 바뀌어 전해 내려온 것이며, 필경 그 앞의 수표교 역시 세종 때 원본이 아닌 18세기에 새롭게 만든 것으로 추측된다. 나무로 만들었건 돌로 만들었건 이들 세 가지 유적과 유물은 우리 역사에 크게 빛을 발하는 업적임이 틀림없다. 조선말고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강우량을 재는 측우기 같은 장치를, 서기 1441년 이전에 만든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천의 유량을 재던 장치 역시 마찬가지다.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강우량과 유량 측정의 증거로 남아 있는 찬란한 우리 역사인 셈이다. 이 자랑스런 수표교가 당연히 청계천 복원과 함께 옛 자리를 찾아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한다.

    근세 역사에서 수표교의 운명은 어찌 되었던가. 혹시 모르는 사람도 있겠지만, 1959년 청계천을 덮어 길을 만들면서 수표교는 장충단공원 입구로 옮겨졌다. 지난 봄 필자는 일부러 그 다리를 찾아가 곰곰이 수표교의 운명을 고민해보았다. 아무래도 귀중한 이 다리를 옛터로 옮기는 일은 무리인 듯싶었다. 게다가 길이 27m인 이 다리를 제자리로 가져간들 더 넓어질 청계천 양쪽을 이어주는 다리로는 모양새도 좋지 않을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그보다도 더 큰 걱정은 다시 옮길 경우 돌 조각이 훼손되거나 버려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결국 필자가 내린 결론은 지금 장충단공원 입구에 있는 수표교는 그대로 두자는 것이다. 대신 이 다리 모양을 그대로 본떠 만든 새 수표교를 청계천의 옛 자리에 세우는 편이 옳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 옛터에는 수표도 세워야 제격일 것이다. 그런데 이왕 새 수표교를 만들어 세울 바에는 ‘새 수표’도 만들어 세우고, 원래의 수표는 지금 있는 대로 홍릉의 세종기념관 앞뜰에 그대로 놓아두는 편이 옳을 듯하다. ‘새 수표’와 ‘새 수표교’는 말하자면 한참 동안 ‘가짜’ 대접을 받게 될 것이다. 하지만 지금 남아 있는 것들이 세종 때의 것이 아니라, 1760년 또는 그 직전에 다시 제작된 ‘가짜’였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문화재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새로 가짜가 만들어지지만, 그 가짜가 시간이 지나면 자체로서 문화재가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새로 청계천에 세울 수표교는 옛 수표교를 본떠 만들되 더 멋진 디자인으로 현대화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당연히 청계천 폭이 넓어지면 그에 맞게 다리 길이도 길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위 물속에 세울 수표 역시 마찬가지로 약간 개량된 모습이어도 좋겠다. 물론 제작 과정만은 충실하게 설명해 기록으로 남길 일이다. 이렇게 하면 우리는 하나뿐인 수표와 수표교를 각각 둘씩 갖게 될 것이고, 이것들은 시간이 지나면 모두 귀중한 문화재로 우리 후손들에게 전해질 것이다.



    한국외국어대 과학사 교수/ parkstar@unitel.co.kr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