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06

2003.10.23

외국계 할인점 ‘무늬뿐인 현지화’

태극기 배포·복지시설 결연 등 ‘거부감 줄이기’ 치중 … 한국상품 수출 등 ‘윈-윈’ 전략 부재

  • 송홍근 기자 carrot@donga.com

    입력2003-10-15 14:5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외국계 할인점 ‘무늬뿐인 현지화’

    자원봉사활동과 자선행사에 나서는 등 삼성테스코(홈플러스) 까르푸 등 대형 외국계 유통업체들이 뒤늦게 ‘한국형 할인점’으로 변신키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왜 월마트는 ‘최저가격 보상제’를 안 하지?”

    “월마트가 창고형 매장을 고집하는 이유는 뭘까?”

    세계에선 1위, 한국에선 5위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계 할인점 월마트를 두고 쏟아지는 질문이다. 월마트는 그동안 미국식 경영만 고집한 탓에 한국에선 업계 하위권을 맴돌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그런 월마트가 변하기 시작했다. 월마트는 10월3일부터 9일까지 전국 15개 매장에서 ‘한글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빈 우유팩으로 ‘한글사랑’이란 글씨를 만들어온 초등학생들이 월마트 매장에서 1.5ℓ짜리 우유 2팩씩을 건네받고 까르르 웃음을 터뜨렸다. 명목상으로는 어린이들에게 재활용과 한글사랑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기 위한 행사였지만, 실제 목적은 ‘한국 속으로 뛰어들겠다’는 현지화(localization) 사업의 일환이었다.

    외환위기를 틈타 창고형 할인매장을 앞세우고 한국 시장에 진출했으나 이마트 롯데마트 등 토종 할인점에 밀려 쓴맛을 본 대형 외국계 유통업체들이 뒤늦게 ‘한국형 할인점’으로 변신하기 위해 몸부림치고 있다. 외국계 할인점들이 토종 할인점의 대공세에 밀려 절치부심하다 적극적인 현지화를 통한 자구책을 강구하고 나선 것이다. 이 같은 외국계 할인점의 현지화 노력에 대해 일부에선 “국경일에 태극기를 나눠주는 등 외국 기업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한 마케팅과 홍보사업 위주로 짜여져 있을 뿐, 한국상품 수출통로로 기능하는 등 진정한 의미의 현지화 노력은 찾아볼 수 없는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의 현지화”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까르푸·월마트, 토종 할인점에 완전 열세



    외국계 할인점 ‘무늬뿐인 현지화’
    외국계 할인점들의 현지화 노력은 눈물겹다. 지방에서 특히 고전하고 있는 프랑스계 대형할인점 까르푸는 “현지화에 실패해 한국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기존의 운영방식으로는 한국에서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비로소 느꼈다는 것. 까르푸는 백화점 스타일을 가미해 기존 매장을 리모델링하고 신규 점포를 출점하는 등 한국형 할인점으로 변신하기 위해 2007년까지 1조원 정도를 한국에 투자할 계획이다. 까르푸 관계자는 “점포 리모델링을 통한 현지화 정책과 함께 할인점의 본령인 가격으로 승부를 걸겠다”고 밝혔다. 월마트 박찬희 상무도 “그동안은 한국 시장을 배우는 단계였다고도 볼 수 있다”며 “월마트는 길게 보고 사업을 하는 기업이라 조바심을 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외국계 할인점들이 적극적으로 현지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엔 삼성테스코의 성공도 일부 작용했다. ‘브랜드 네임’만 믿고 한국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던 월마트 까르푸와 달리 영국 테스코와 삼성의 합작기업인 삼성테스코는 한국에서 승승장구하고 있다. 2002년 4조50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업계 2위를 기록한 삼성 테스코의 성공은 한국인들의 외국 할인점에 대한 거부감이 생각보다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다. 업계에선 영국의 테스코가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삼성’이라는 타이틀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테스코가 지분의 89%를 소유하고 있는 삼성테스코는 월마트 까르푸와 별반 다를 게 없는 외국계 기업이지만 ‘삼성’이라는 브랜드 네임 덕에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삼성 계열사라고 알고 있어 지방을 중심으로 번지고 있는 외국계 할인점 비토 움직임에서도 조금 비켜서 있다.

    테스코가 한국에 쉽게 연착륙한 또 다른 이유는 다른 외국계 할인점보다 훨씬 먼저 현지화 사업을 시작했다는 점. 삼성테스코는 점포 컨셉트에서부터 다른 외국계 유통업체들과는 반대로 갔다. 물건만 싸게 사면 그만이라는 서구의 할인점 고객들과 달리 감각적 쇼핑을 중시하는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약국 병원 문화센터 어린이놀이방 등을 1층에 배치했다. 최근 매장 리모델링에 나선 까르푸가 테스코를 벤치마킹하고 있는 셈이다. 삼성테스코의 한 관계자는 “다른 외국계 기업들은 세계적으로 통일시켜놓은 매뉴얼대로 하면 중국에서든 유럽에서든 한국에서든 성공할 수 있다는 글로벌 마인드를 강조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그런 생각이 통하지 않았다”면서 “월마트 까르푸가 보기 좋게 실패했다”고 꼬집었다.

    외국계 할인점 ‘무늬뿐인 현지화’

    지방 중소도시 소상인들의 할인점에 대한 반감은 하늘을 찌른다. 특히 외국계 할인점에 쏠린 눈길은 곱지 않다.

    지방 중소도시에서 할인점에 대한 반감은 하늘을 찌른다(‘주간동아’ 403호 ‘지방은 지금 할인점의 악몽’ 참조). 지방에 진출한 할인점들이 기존 상권을 윽박지르며 재래시장과 영세상인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외국계 업체들에 대한 거부감이 한국계 할인점의 그것에 비해 더 심하다. 우리 고장 돈을 외국으로 빼돌린다는 원망 때문이다. 이런 반감 탓에 외국계 할인점들은 지방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내 임기 중엔 절대 안 된다’ ‘허가는 못해주니 행정소송을 하라’는 등 딴죽을 거는 지방자치단체와 단체장들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입점한 도시와 함께 간다’는 현지화를 부르짖지 않고서는 거부감을 극복하기 어려운 것이다.

    산지 직구매를 늘리는 등 할인점들의 현지화 노력에는 긍정적인 부분이 적지 않다. 하지만 업체들이 현지화 사업이라고 내놓는 프로그램의 상당수는 한국경제 혹은 지방경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기보다는 자사의 이미지 개선을 위한 것이다. 출점시 지역 발전을 위해 써달라며 기부금을 조금 내놓거나 양로원, 보육원과의 자매결연, 각종 대회 개최 등 1회용 전시성 행사가 현지화라는 이름이 붙은 사업의 대부분이다. 할인점의 현지화 사업에 대해 ‘눈 가리고 아웅’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모두 이 때문이다. 외국계 할인점이 독거노인 지원, 소년소녀 가장 돕기, 장학금 전달 등 자원봉사활동 및 자선행사를 꾸준히 실시하는 것은 물론 바람직한 일이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경제에 이바지하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기부금 내고 각종 전시행사 열며 ‘생색’

    외국계 할인점 ‘무늬뿐인 현지화’

    현지화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듣고 있는 월마트는 10월3일부터 9일까지 전국 15개 매장에서 '한글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까르푸는 세계 31개국에 진출한 매장 네트워크를 통해 외국제품을 수입해 판매하고 있지만 한국제품을 구입해 해외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시킨 사례는 거의 없다. 이벤트성으로 안성배를 프랑스 매장에서 판매한 적이 한 차례 있는데 구매 액수가 수억원대에 불과했다고 한다. 글로벌 소싱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은 다른 나라에 진출한 까르푸와는 크게 대비되는 대목이다. 테스코도 한국상품을 자사의 글로벌 네트워크에 편입해 판매하고 있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테스코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한국제품을 구매해 수출하지는 못하고 있다”면서 “점차로 나아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나마 한국에 매장을 내기 이전에도 한국제품을 구입해온 월마트는 조금 나은 편이다. 월마트는 2000년 4억8900만 달러, 2001년 4억9100만 달러, 2002년 4억5000만 달러어치의 물품을 국내에서 구입해 전 세계 월마트 매장에 유통시켰다. 하지만 월마트 역시 의류 완구 신발 등 주로 저부가가치 상품에 관심을 보일 뿐 적극적으로 한국제품을 구매하려는 노력은 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월마트 관계자는 “한국제품의 수출통로로 전혀 기능하지 못하고 있는 다른 업체들과 월마트는 한국 시장에 대한 접근 방식이 기본적으로 다르다”고 말했다.

    다른 나라에서 다국적 할인점들은 외국제품을 수입하는 ‘일방 통로’가 아니다. 다국적 할인점들은 질 좋은 제품을 세계로 유통시키는 전진기지 구실을 한다. 특정제품이 다국적 할인점의 글로벌 판매망에 진입하면 단숨에 4~5배씩 매출이 치솟는다고 한다. 외국계 할인점들이 한국의 우수상품을 자사의 글로벌 매장에 공급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충북대 이만형 교수는 “매장 건립을 위한 투자를 해놓고 한국에 얼마를 투자했다고 으스대기보다는 한국제품을 외국에 소개하고 지역농민들과의 계약재배 등을 통해 윈윈 관계를 맺는 등 수익금의 상당부분을 한국에 환원하는 게 진정한 의미의 현지화”라고 지적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