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342

2022.06.03

노옥희·박종훈 교육감 당선인, 보수 강세 지역에서 재선 성공

[김수민의 直說]

  • 김수민 시사평론가

    입력2022-06-03 10:00:02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노옥희 울산교육감 당선인(왼쪽). 박종훈 경남교육감 당선인. [뉴스1, 동아DB]

    노옥희 울산교육감 당선인(왼쪽). 박종훈 경남교육감 당선인. [뉴스1, 동아DB]

    6·1 지방선거 광역자치단체장 당선인 가운데 “불리한 구도를 뚫고 당선했다”고 평가할 만한 인물은 없다. 하지만 광역자치단체장에 가려 잘 보이지 않던 영역을 들여다보면 ‘솟아오르듯 당선’한 이가 적잖다.

    교육감 선거에서 최대 승자는 보수 강세 지역에서도 진보 성향으로서 재선에 성공한 노옥희 울산교육감 당선인과 박종훈 경남교육감 당선인이다. 양쪽 다 ‘보수 단일 후보’를 상대로 승리했다. 그들이 직무수행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는 방증인 동시에, ‘보수 대 진보’라는 당파적 대결과 ‘단일화’ 정치공학이 패배한 결과다. “그나마 신장된 교육 복지나 학생 인권을 되돌리는 것이 아닌가”라고 걱정한 주민도 숱했을 것이다. 보수 계열 교육정치인들이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특정 정당 초강세 지역인 영남과 호남의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다른 정당 소속 또는 무소속으로 당선한 이들도 이번 지방선거의 ‘최대 승자’다. 경남 남해군수에는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장충남 후보가 당선했다. 중앙정치 바람을 많이 받는 대도시와 달리, 농어촌은 한 번 뿌리내리면 쉽게 후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줬다. 울산 동구에서는 진보당 김종훈 후보가 2011년 보궐선거에 이어 재선에 성공했다. 여러 지역에서 사표 압력에 시달리는 소수당 후보도 2위권 안에 들면 거꾸로 당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다.

    영호남 무소속 기초단체장 강세

    전북 3곳, 전남 7곳, 경북 3곳에서는 무소속 단체장이 나왔다. 지역 내 제1당의 공천을 받지 못한 후보가 대부분이지만, 그중에도 ‘튀는’ 사례들이 있다. 김희수 전남 진도군수 당선인은 네 번째 도전 끝에 지역 최초로 무소속 군수가 됐다. 전북 임실군수에 네 차례 모두 무소속으로 출마한 심민 당선인은 3연임에 성공했다. 재선한 최기문 경북 영천시장 당선인은 지난 10년간 무소속이었다. ‘졌잘싸’ 후보도 있다. 경북 영주시장에 도전해 47.78%를 득표하고 석패한 황병직 후보다. 시도의원을 각각 두 차례 역임한 황 후보는 이번까지 총 5번의 선거에서 계속 무소속을 고수했다.

    이들 정치인이 경쟁 후보보다 나은 정치인이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다만 중앙정치의 폭풍과 지역 내 독점정치를 이겨낸 귀중한 사례임은 틀림없다. 이들은 초인적인 노력을 기울였다는 공통점이 있고, 그들 지역은 대부분 정치인과 긴밀한 관계를 맺기 쉬운 소도시 및 농어촌이다. 일반화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정치권에 남은 과제는 분명하다. 제도적인 개선을 통해 지역 내 경쟁체제와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중앙정치와 별개로 그 지역의 정치지형을 바꿀 수 있는 ‘지역 정당’을 허용해야 한다. 지방의원 선거는 한 선거구에서 3명 이상을 뽑는 구조로 제도를 바꿔야 한다. 그것이 지방선거 최대 부조리인 ‘무더기 무투표 당선’을 면하는 길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