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56

..

자연 기운 ‘5행’이 그 한 잔에

차의 五味

  • 글 | 김대성 한국차인연합회 고문·차 칼럼니스트

    입력2012-09-24 10:4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자연 기운 ‘5행’이 그 한 잔에
    우리 민족은 맛에 대한 감각이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사람 성격까지도 맛으로 구분한다. 이것도 저것도 아닌 사람을 ‘싱겁다’고 표현한다. ‘싱겁게 키가 크다’고도 했다. 하나하나 꼼꼼하고 집요하게 일을 처리하는 사람을 ‘맵다’고 하고, 손해는커녕 빈틈없이 이익을 따지는 사람을 ‘짜다’고 얘기한다. 이렇게 우리는 이런 맛, 저런 맛으로 사람과 세상을 보고 또 살아간다.

    차를 마실 때도 5가지 맛, 즉 오미(五味)를 따진다. 맵고(辛) 시고(酸) 떫고(澁) 쓰고(苦) 단(甘)맛을 고루 갖춘 차를 일품으로 친다. 자연의 기운인 오행(五行)을 두루 갖췄으니 완전무결하다는 뜻이다.

    여기다 우리 몸인 오장(五臟)에도 이 맛을 맞춰놓았다. 간에 해당하는 동쪽은 신맛, 심장에 해당하는 남쪽은 쓴맛, 신장에 해당하는 북쪽은 짠맛, 서쪽의 폐는 매운맛, 중앙의 비장은 단맛으로 구분 지었다. 실제로 간에는 신 것이, 심장에는 쓴 것이, 비장에는 단 것이 좋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설마 했는데 현대에 와서 과학적으로도 뒷받침됐으니 옛사람의 혜안이 그저 놀랍다.

    차의 쓴맛은 카페인, 떫은맛은 타닌, 단맛은 아미노산에서 비롯한다. 차에서 매운맛이나 짠맛, 신맛을 느끼기란 쉽지 않다. 포도주나 향수의 품질을 가리는 전문가가 있듯, 차 등급을 정하는 품차사(品茶師)가 있다. 그들은 차 한 잔을 맛보고 차를 만든 시기와 날씨를 찾아낸다. 언제 찻잎을 땄으며, 솥에서 찻잎을 덖을 때 어떤 나무로 불을 지폈는지도 알아낸다. 어떤 물을 쓰고 어느 정도 끓였는지까지 족집게로 집어내듯 정확히 맞춘다.

    차 고수들은 이 오미를 신통하게 가리면서 차 맛을 통해 삶의 맛을 배운다고 말한다. 일본에서는 고졸하면서도 여운이 긴 차 맛과 차 생활을 ‘시부이’라고 한다. 차 맛과 삶의 맛을 한데 묶어 표현한 말이다. 이 말이 ‘쌉쌀하다’의 ‘쌉’에서 나왔다는 말이 있듯 우리의 차 맛과 삶의 맛은 아주 가까이 있었다.



    차 생활을 하면서 가장 먼저 익힐 수 있는 삶의 철리(哲理)는 쓴맛이 다하면 단맛이 돈다는 고진감래(苦盡甘來)다. 진하게 우려낸 차를 마시고 조금 있으면 목구멍에서 단맛이 올라옴을 느낀다. 또 조금 사이를 두고 엷게 우려낸 차를 마시면 신기하게도 입안에 단맛이 돈다. 차 맛을 잘 느끼지 못하는 초보자도 한 번쯤 시도해볼 만하다. 차 맛을 쉽게 익히는 방법이기도 하다.

    그러나 우리가 차를 마시면서 추구하는 최고의 맛은 역시 시원하고 개운한 맛일 것이다. 좋은 차는 마시고 나면 위장에서 하단전인 항문 쪽으로 내려가면서 엉덩이 꼬리뼈로부터 등뼈, 목뼈를 타고 머리 위까지 알지 못할 뜨뜻하고 시원한 기운이 솟구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당나라 시인인 노동(盧仝·795~835?)은 “첫째 잔은 입술과 목구멍을 적시고, 둘째 잔은 외로운 번민을, 셋째 잔은 메마른 창자를 찾나니 생각나는 글자가 5000권이나 되고, 넷째 잔은 가벼운 땀 솟아 평생의 불평 모두 털구멍으로 흩어지네, 다섯 잔째는 기골이 맑아지고, 여섯 잔만에 선령과 통하였다네, 일곱째 잔은 채 마시지도 않았건만 느끼노니 겨드랑이에 맑은 바람이 솔솔 일어나네” 하고 썼을 정도로 차를 마시면 비 개인 하늘처럼 마음이 맑아지고 상쾌한 기분이 든다. 이렇듯 시원하고 개운한 삶, 그 속에 차의 참맛과 차 생활의 참다움이 담겨 있다.



    차향만리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