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08

..

우직한 바른생활 경찰 배꼽 빼는 은행강도 되다

  • 심영섭 영화평론가 대구사이버대 교수

    입력2007-10-24 17:2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직한 바른생활 경찰 배꼽 빼는 은행강도 되다

    ‘바르게 살자’는 장진이 각본을 쓰고, 그의 영화 ‘아는 여자’ ‘박수칠 때 떠나라’의 조감독이었던 신예 라희찬이 연출한 코미디 영화다.

    장진 영화에 늘 나오던 그 남자, 동치성이 아니다. 이번엔 정도만이다. 정도만 걷고, 정도만 본다. 그래서 작은 항구 삼포시에 경찰서장이 부임해오던 날도 “나 경찰서장이야”라는 한마디에 꾸벅 인사를 한 사내는 어김없이 서울내기 서장에게 면허증을 보여달라고 한다. 영화 도입부에 정도만 머리 위로 ‘신호 준수’란 푯말이 클로즈업되는데 왜 아니겠는가, 신.호.준.수야말로 그의 캐릭터에 딱 맞는 팻말이다.

    장진이 각본을 쓰고 ‘아는 여자’ ‘박수칠 때 떠나라’를 조감독한 신예 라희찬이 연출을 맡은 영화 ‘바르게 살자’의 모든 웃음은 장진의 페르소나인 정재영이 분한 정도만이 정도만 걷는 데서 나온다. 사실 그는 ‘정도만’ 걸어서 부패한 시장의 뒤를 쫓다가 교통경찰로 좌천됐고, ‘정도만’ 걸어서 모의 경찰훈련 때 은행강도 역을 하게 된다. 심각하고 결기에 찬 얼굴로 웃음을 자아내는 정도만은 “최선을 다해 갈 데까지 가라”는 서장의 말도 100% 받아들이고 실전처럼 강도짓을 한다.

    바르게 살자. 제목만 보면 참 패기 없는 문패다. 그 허허실실한 제목 안에 장진식 코미디가 만개한다. 예의 타이밍을 빼앗고 리듬을 훔치고 허를 찌른다. “최선을 다해”라는 진지한 대사만 해도 그렇다. 경찰 모의훈련에서 강도 역을 하게 된 정도만은 인질 역을 맡은 은행 직원과 손님들에게 “최선을 다해 움직이지 마”라고 외치는데 이 대사가 장진의 손에 가면 저승사자도 벙실댈 판이다.

    실수투성이 인물들의 빈틈없는 연기 앙상블

    또 한 가지, 장진의 영화세상이 늘 재미있는 까닭은 모든 주인공의 어눌함과 서투름에 대한 감독의 따뜻한 시선 때문일 것이다. 간첩이 간첩 같지 않고 도둑이 도둑 같지 않으며 강도가 강도 같지 않다. 인질협상가는 말을 유창하게 해야 한다면서도 용각산을 먹고 컥컥거리고, 강도가 들자 얼굴도 안 내민 점장은 “그때는 잠시 귀가 안 들렸다”며 변명하기에 급급하다. 실수투성이, 자가당착에 빠진 모순된 인물들은 장진 코미디의 포스이며 주진모(그 주진모가 아닌 ‘타짜’에 나오는 주진모 씨) 이영은 이철민 등 조연들의 연기 앙상블이 맞아떨어지면서 장진의 수다는 재미를 넘어 쾌락의 경지로 넘어간다.



    여기에 라희찬 감독의 연출은 신인답지 않게 차분하고 매끈하게 각본을 받쳐준다. 정도만의 뒷모습을 롱테이크로 잡고, 짧은 클로즈업과 대비시키는 첫 장면부터 영화의 60% 이상이 은행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벌어지는 장진 특유의 연극적 상황인데도, 용케 영화의 맥을 잘 잡아내는 게 신인감독 같지 않다. 특히 모의탈출이긴 하지만 인질들이 우산을 쓰고 맨발로 버스를 타는 장면에서 보여주는 위트 넘치는 편집감각과 부감을 사용한 우산의 동선은 영화의 백미.

    그러나 이 영화에서 무엇보다 흥미로웠던 것은 가상 게임이라는 어떤 틀이 제공하는 서사 구조의 교란이다. 영화의 줄거리는 그것이 가상 게임이라는 사실을 빼면 신문 한 귀퉁이를 장식하는 뻔한 스토리로 전락할 수도 있었다. 즉 강도 한 명이 은행에 들이닥쳐 인질극을 벌이며 경찰과 대치한다. 그런데 이를 경찰의 ‘모의훈련’이라는 기발한 상황에 집어넣으면서 관객과 영화 텍스트의 경계를 뒤흔드는 게임이 벌어진다. 서바이벌 게임의 은행강도 버전이라 해야 할까.

    장진 각본 조감독에게 맡기면 대박 … 그 법칙 또?

    그렇기에 영화의 합이 조금만 어긋나면 영화의 흡인력에 구멍날 위험요소가 다분하다. 그러나 실전처럼 하자는 경찰서장의 말대로 영화는 이런 함정을 재기 있게 피해간다. 이 모든 것은 가짜지만, 관객이 진짜라고 받아들일 때만 긴장감이 산다. 중요한 것은 타이밍. 한 여성 인질이 도저히 못 참겠다고 발딱 일어서 정도만에게 대들자 그는 정색하며 ‘딱’ 하고 따귀 때리는 소리를 내는데, 물론 정도만이 자기 손바닥으로 시늉만 한 것이다. 그래도 인질 목엔 ‘기절’이라는 푯말이 걸린다. 사망 가짜, 귀싸대기 가짜, 기절 가짜. 이 희한한 가짜의 세상에서 경찰일 때는 아무리 최선을 다해도 무시당하고 되는 일도 없던 주인공은 온 세상의 관심을 받는 강도로 돌변한다(아무튼 이 필자, 이 영화를 보신다면 ‘최선을 다해’ 웃게 된다는 사실 하나는 장담할 수 있다).

    사실 이 영화의 어떤 뼈대는 누구나 15분만 매스컴을 타면 유명인사가 될 수 있다는, 리얼리티 뉴스쇼를 다룬 존 허즈펠드 감독의 ‘15분’과 닮았다. ‘바르게 살자’의 일본 원작인 사이토 히로스의 소설 ‘노는 시간은 끝나지 않았다’ 역시 매스미디어를 비판하는 시선이 우세하다. 그러나 ‘바르게 살자’에는 시디신 사회의식이나 언론비판보다 한바탕 신명나게 놀아보자는, 최선을 다해 웃기는 코미디 본연의 정신으로 ‘정도만’ 간다.

    진작 그렇게 하지. 사실 각본을 잘 쓴 것 말고 장진 감독이 잘한 일이 또 있다. 자신의 각본을 라희찬 감독에게 맡긴 것. 기이하게도 제작사 ‘필림있수다’ 사단은 장진 감독이 자신의 각본을 조감독에게 맡길 때마다 홈런이나 안타를 친다. ‘웰컴 투 동막골’이 그랬고 ‘바르게 살자’가 그렇다. 장진 감독의 특기는 누가 뭐래도 코미디이며 그는 한국의 우디 앨런임이 분명한데 그의 최근 행보를 보면 멜로, 스릴러, 조폭 영화까지 안 하는 게 없다.

    정말이지 말이 난 김에 장진 감독, 우리 바르게 살자! ‘필름있수다’의 ‘바른 결정’이 이 가을 한국 영화사에 흥미로운 코미디 한 편을 만들어낸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