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정신이 된 안티꼰대 _권재현 기자
‘안티꼰대’ 분위기 속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EBS 캐릭터 펭수. [유튜브 ‘자이언트 펭TV’]
이제까지 EBS가 내놓은 캐릭터는 펭수의 선배격인 ‘뽀로로’처럼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한 반면, 펭수의 주된 팬덤은 2030세대입니다. 자신의 인기를 “전부 다 제 덕입니다”라고 자임하는 펭수의 말도 일리가 있지만, 한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시대정신이 된 ‘안티꼰대’ 현상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입니다. 9월 25일 영국 공영방송 BBC는 ‘KKONDAE(꼰대)’를 ‘오늘의 단어’로 선정했고, 11월 5일 뉴질랜드 의회에서는 클로에 스와브릭 녹색당 의원이 자신의 연설을 방해하는 나이 든 의원들에게 “됐네요, 부머(boomer·베이비부머를 비꼬아 이르는 말)”라고 일갈해 화제를 모았습니다.
댓글란에는 안티꼰대 현상에 공감하는 의견은 물론, 펭수 이모티콘으로 팬심을 표출하는 반응이 많았습니다. 그 가운데 펭수의 ‘어록’을 인용해 기성세대와 신세대 모두 “서로 눈치 챙기자”며 상호 존중을 강조하는 댓글이 돋보였습니다.
네이버 아이디 적**
“‘본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은 보여주지 않으면서 끊임없이 잔소리를 해대는 윗세대’라는 기사 속 구절이 정말 완벽하게 꼰대를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네이버 아이디 ㄴ**
“윗세대의 잘못된 악습과 관행에 반대하는 것은 좋다. 하지만 기성세대를 무조건 꼰대로 몰아가 혐오하는 것이야말로 자칭 요즘 세대의 ‘역꼰대질’ 아닌가? 펭수도 그랬잖아, 서로 존중하고 사랑하면 된다고. 우리 서로 눈치 챙기자… 펭펭!”
세계 7대 수학 난제 중 유일하게 풀린 푸앵카레의 추측 _과학 커뮤니케이터 궤도
푸앵카레는 위상동형(기하학상 서로 다른 도형도 ‘오물조물 주무르면’ 비슷하게 만들 수 있다는 위상수학의 개념)을 통해 ‘배에 밧줄을 달고 지구를 한 바퀴 돈 후 끌어당긴 밧줄이 어딘가 걸리지 않는다면 지구는 둥근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어딘가에서 밧줄이 걸린다면 지구는 가운데 구멍이 뚫린 도넛 모양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는 이를 확대 적용해 1904년 우주 모양을 추측했습니다. 100년 가까이 지난 2002년에야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에 의해 푸앵카레 추측이 증명됩니다.
‘무슨 말인지 몰라 조용히 읽었다’는 한 독자의 고백처럼 난망한 주제에도 불구하고 200개 가까운 댓글이 달리는 등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수학사에 길이 남을 업적 덕에 필즈상이나 상금 11억 원 등 여러 제안을 받았지만 모두 거부한 ‘철벽남’ 페렐만의 개인사도 푸앵카레 추측 못지않게 흥미로웠기 때문은 아닐까 싶습니다. 어느 독자의 당부처럼 앞으로 궤도 밖의 과학 연재를 통해 나머지 6개의 난제도 알기 쉽게 설명해주길 바랍니다.
네이버 아이디 서**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몰라서 조용히 글을 읽었습니다.”
네이버 아이디 fell****
“필력 좋은 궤도님. 세계 7대 수학 난제가 대체 뭔지 알고 싶습니다. 설명이 불가능한 것도 있다던데, 그래도 한 번 정리해주시길 기대해봅니다.”
채용비리 입사자 자리 보전에 허탈과 분노
‘채용비리 입사’ 밝혀져도 자리 보전 태반 _ 강지남 기자
‘사필귀정’(事必歸正·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감). 상식에 가까운 이 사자성어가 공공기관의 ‘채용비리 입사’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일까요. 9월 30일 감사원은 ‘비정규직 채용 및 정규직 전환 등 관리실태’ 감사 결과 보고서를 통해 서울교통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전KPS,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5개 공공기관의 채용비리 실태를 발표했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비정규직 정규직화’를 골자로 한 고용안정정책을 펴왔습니다. 이번 감사 대상이 된 5개 공공기관에서도 지난해 1월까지 총 3048명이 정규직(일반직 또는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됐습니다. 문제는 이 중 11%에 해당하는 333명이 기존 재직자의 사촌 이내 친인척이라는 점입니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찾아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시대’를 천명한 인천국제공항공사의 경우 대통령 방문 후 신규 채용한 3604명 중 93명이 인천국제공항공사나 협력사 임직원의 친인척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더 심각한 것은 감사원이 공공기관 채용비리를 밝혀놓고도 대부분 ‘증거 불충분’ 등을 이유로 검찰에 수사 요청조차 하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에 따라 각 공공기관도 채용비리로 입사한 것으로 의심되는 이들에 대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습니다. 댓글의 주된 여론은 분노와 허탈함으로 요약할 수 있을 듯합니다. 격한 반응 속 ‘부정 채용된 이는 쫓아내야 한다’는 상식을 간명하게 짚은 댓글이 돋보입니다.
다음 아이디 이**
“부정 채용된 자들은 그 자리에서 나가라고 해야 정상 아닌가.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 나라에서는 이들이 여전히 직장에 다니고 있다.”
울진 자영업자 자처한 댓글 “탈원전 직격탄…올겨울 정말 추울 듯”
“탈원전用 LNG도 향후 가격 불안, 에너지안보 한층 더 위협” _ 김우정 기자
지난해 9월 5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인근에서 한울원자력발전소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요구하는 울진군민들이 시위를 벌이고 있다. [뉴시스]
한전과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영업이익 악화와 탈원전정책은 연관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불어나는 적자에 국내외 주주들의 원성이 높아지자 전기요금 인상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한전 경영진과 정부 사이에 묘한 기 싸움도 관측됩니다. 온 교수는 정부가 원자력발전의 대안으로 제시한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국내 여건상 더는 확대하기 어렵고, 또 다른 대체재인 LNG(액화천연가스)도 수입의존도가 높아 에너지안보가 우려된다고 전망했습니다.
경북 울진에서 자영업을 한다는 한 독자의 댓글이 눈에 띕니다. 물론 길지 않은 댓글만으로 구체적인 정황을 알 수는 없습니다. 다만 지난해 6월 한울원자력발전소의 신한울 3·4호기 건설이 취소됨에 따라 원전이 위치한 울진의 지역경제가 적잖은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같은 해 9월에는 청와대 앞에서 울진군민 700여 명이 원전 건설을 재개하라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그런 가운데 ‘올겨울은 정말 추울 것 같다’는 호소가 안타깝게 느껴집니다.
네이버 아이디 ppoi****
“아무런 대책도 없이 하루아침에 탈원전의 직격탄을 맞은 경북 울진의 한 자영업자입니다. 올겨울은 정말 추운 겨울이 될 듯합니다. 탈원전이든 친원전이든 정해진 법 절차에 따라 한다면 아무런 불만이나 이의가 없을 것입니다. (중략) 일개 국민은 이런 부당함에 댓글로밖에 저항하지 못한다는 것이 슬픕니다.”
연령 낮아지는 미성년 범죄, “학교·가정 안전망 붕괴로 심각해져” _ 김우정 기자
현행법은 원칙적으로 미성년 범죄자를 형법이 아닌 ‘소년법’에 따라 처벌합니다. 아직 신체·정신적으로 미숙해 성인과 같은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취지입니다. 또 같은 미성년자도 나이에 따라 처분이 달라집니다. ‘범죄소년’(14세 이상~19세 미만)은 소년법을 따르되 죄질에 따라 형법상의 형사처벌도 가능합니다. 반면 그보다 어린 촉법소년에 대해서는 형사처벌이 불가능하고 2년간 소년원 송치가 최대 처분입니다. 9월 21일 경기 수원시에서 13세(2006년생) 중학생 7명이 초등학생을 집단폭행한, 이른바 ‘06년생 집단폭행 사건’ 등 촉법소년의 잔혹범죄 이후 소년법 폐지 또는 개정을 요구하는 여론이 들끓는 이유입니다.
미성년자 범죄에 대한 엄벌주의를 두고 전문가들의 의견도 분분합니다. 다만 현장에서는 무조건적인 엄벌에 우려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2010~2018년 소년부 재판을 맡아 1만2000여 명의 청소년 범죄자를 만난 ‘호통판사’ 천종호 부산지방법원 판사가 대표적입니다. 천 판사는 대다수 촉법소년은 ‘괴물’이 아닌 개선의 여지가 있는 미성년자인 만큼 사회적 포용이 중요하다는 입장입니다. 댓글에는 촉법소년에 대한 엄한 처벌, 심지어 소년법 폐지를 주장하는 격앙된 반응이 적잖았습니다. 그 가운데 신중한 어조로 어른과 사회의 책임을 자성하고 아이들에게 다시 한 번 기회를 주자는 댓글이 있어 주목할 만합니다.
다음 아이디 빛과**
“흉악한 범죄를 저지르는 아이는 소수일 것입니다. 법을 강화해 범죄자로 낙인찍기보다 아이들의 자존감을 회복시켜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아이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청소년 시기가 지나면 대부분 아이는 제자리로 돌아옵니다. 형사처벌 연령을 낮춰 법을 강화하면 언젠가 내 아이가 그 피해자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다음 아이디 사**
“미성년자들의 죄는 사실상 가정과 학교의 학대, 방임 탓이다. 미성년자들에게 가혹한 법의 잣대를 들이대기 전에 그 아이들이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원인을 찾아 고쳐줘야 한다. (중략) 결국 어른들이 범죄자를 만드는 것이라 생각한다.”
김우정 기자
friend@donga.com
안녕하세요. 주간동아 김우정 기자입니다. 정치, 산업, 부동산 등 여러분이 궁금한 모든 이슈를 취재합니다.
‘주가 안전판’ 확보한 삼성전자, 본원 경쟁력 확보 시급
인도네시아 연구원 기술 유출 수사 장기화… KF-21 사업 난항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