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대학생의 혈서. [뉴스1]
코로나19 사태로 대면 수업이 어려워지자 대학가에서는 등록금 반환 논의가 불거졌다. 학생들은 학사 일정이 짧아졌고 비대면 수업에 시행착오도 많았으니 등록금을 일부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학교 측도 사정은 있다. 처음으로 맞는 방역 일정에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웠기 때문. 게다가 갑자기 비대면 수업 설비를 갖추느라 지출도 늘었다.
이렇게 논쟁은 평행선을 달리는 듯싶지만, 학생들의 이야기는 달랐다. 학교와 학생 간 갈등의 시발점은 등록금이 아니라는 것. 학생들은 대학 측의 고압적인 태도를 문제 삼고 있다. 등록금은 차치하더라도 학사 일정, 방역 방법 등 학생들의 일정과 관련된 사안에서 학생들이 완전히 소외됐다는 지적이다.
갈등의 씨앗은 대면 시험
경북지역 한 대학생이 비대면 시험을 보고 있는 모습. [뉴스1]
지방 출신 학생들도 난감하기는 마찬가지다. 그간 비대면 수업으로 학교에 가지 않았는데, 시험 때문에 1~2주일 서울에 머물 곳을 찾아야 할 처지가 됐다. 한양대 재학생 박모(27) 씨는 “어떻게 알았는지 시험을 앞두고 학교 근처 원룸과 오피스텔에 단기 임대 광고가 붙었다”고 말했다.
물론 일부 교수가 비대면 시험을 보겠다고 나선 이유가 있다. 비대면 시험이라는 상황을 악용해 부정행위를 하는 학생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외대에서는 988명이 수강하는 대규모 강의의 비대면 시험 도중 700명의 학생이 오픈 카카오톡방을 통해 정답을 공유하다 적발됐다. 중앙대는 공공인재학부 학생들이 헌법 과목 비대면 기말고사에서 부정행위를 모의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학생 의견 반영 못한 시험 방식
학생들은 시험 방식을 결정할 때 자신들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양대 총학생회 교육정책위원회 관계자는 “당초 학교 측은 학생의 의견을 듣겠다고 했으나, 교수들의 반대로 이를 취소했다”고 밝혔다. 이에 학생들이 반발하기 시작했다. 본관 앞에 부스를 설치하고 6월 5일부터 농성에 나섰다. 6월 6일 교수들과 농성하는 학생들 사이에서 말다툼이 벌어졌다. 이때 기획처장이 “비대면 시험을 원하면 학생들로부터 혈서라도 받아오라”고 말했다. 이 발언이 알려지면서 혈서 사태까지 벌어지게 된 것.대면 시험을 치르는 과정에서도 문제가 발생했다. 일부 대면 시험장에서 코로나19 유증상자가 발생한 것. 한양대 총학생회 교육정책위원회 측에 따르면 14개 과목에서 대면 시험을 치르던 중 유증상자가 확인돼 총 600여 명의 학생이 자가격리 처분을 받았다. 격리된 학생들은 학사 일정에 또다시 혼란이 생겼다. 다른 과목의 대면 시험을 보러 갈 수 없었기 때문.
학생들은 학교가 자신들과 대화를 통해 학사 일정을 조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류덕경 한양대 총학생회 교육정책위원장은 “(방역 등의 문제로) 학사 일정에 차질이 생기면 학교 측에서는 교수와 학생이 자율적으로 해결하라고 한다. 하지만 학생과 교수는 당초 대등한 관계가 아니다. 결국 교수진이 원하는 대로 결론이 날 공산이 크다. 그러니 학교가 나서서 조율해줘야 한다.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이를 반영해야 하는데도 학교 측은 대화할 의사가 없어 보인다. 등록금 반환에 관해서는 아직 학교와 제대로 대화조자 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6월 23일 한양대 학생들이 서울 성동구 한양대 신본관 앞에서 농성을 하고 있다. [뉴스1]
일부 고압적 태도에 학생들 반발
고압적 태도는 비단 한양대만의 문제는 아니었다. 한국외대에서는 대면 강의 방식에 한 학생이 불만을 품자, 교수가 “따귀를 때리고 싶다”고 발언한 사건이 있었다. 한국외대 모 교수가 6월 8일 강의 도중 자신에게 익명의 e메일로 대면 강의에 대해 불만을 표한 학생의 사례를 소개했다. 교수는 “해당 학생에게 대면 강의를 반대하는 이유를 묻자 (대면 강의를 하면) ‘등록금을 돌려받지 못할 것 같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내가 등록금을 돌려줄 테니 따귀 5대만 때리고 싶은 마음”이라고 말했다. 수업을 듣던 학생 70여 명이 이 이야기를 들었다.연세대에서는 한 교수가 “학생들은 왜 등록금을 내려달라고만 하나. 10만 원씩 더 낼 생각은 못 하나”라고 말해 논란이 일었다. 해당 발언은 단과대 회장단과 교수가 교육 상황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자리에서 나왔다. 당시 교수는 “온라인 강의를 위해 학교가 120억 원가량을 썼다. 10만 원씩 더 내 온라인 수업의 질을 높이자고 교수들에게 부탁도 해야지, 왜 그렇게 못하느냐. 다른 학교 학생들이 등록금 인하하자고 해서 우리도 등록금 인하? 그럼 연세대가 뭐가 달라. 10만 원이 큰돈인가”라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학생들은 당장 돈보다 학교 교수진의 태도가 답답하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다니는 박모(27) 씨는 “물론 학생들은 배우는 입장이고, 교수들의 지도에 잘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건 안다. 하지만 이는 배우는 자리에서만 지키면 될 일이다. 학사 일정 변동, 학교 측의 방역정책 때문에 학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고 토로해도 아무도 듣는 사람이 없다. 대화 자리를 마련해달라고 나서면 떼쓰는 아이 보듯 무시하거나, 가르치려 드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학생인 동시에 교육 서비스 이용자인데, 후자의 지위는 전혀 인정받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