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95

..

구가인의 구구절절

‘이불킥’ 했던 당신을 위한 영화

켈리 프레몬 감독의 ‘지랄발광 17세’

  • 채널A 문화과학부 기자 comedy9@donga.com

    입력2017-07-04 15:1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쪽팔림의 유통기한은 5년.’ 20대 시절까지 내 지론이었다. 부끄러운 짓을 저지른 후 매일 밤 후회 막심 이불차기를 해댔지만(“도대체 그때 왜 그딴 e메일을 보낸 거냐고!”), 5년쯤 지나면 대략 “뭐 그 나이엔 그럴 수도 있지, 큼큼…”류의 자기 합리화를 했다.

    나이가 들수록 이불킥 횟수가 줄었다. 다만, 나이 먹어 저지른 부끄러운 사건은 5년이 지나도 여전히 쪽팔린 채 남는다는 걸 깨달았다. 더는 ‘그럴 수도 있는 나이’는 없다.

    ‘지랄발광 17세’(감독 켈리 프레몬)를 보며 밤새 이불킥 하던 소싯적을 떠올렸다. 주인공 네이딘(헤일리 스테인펠드 분)은 한창 질풍노도의 사춘기를 보내는, 세상에서 자신이 가장 비참하다고 생각하는 소녀다. 아빠는 어린 시절 사고로 돌아가셨고, 엄마는 자식보다 자신이 더 중요하다. 학교 성적은 물론, 외모와 대인관계까지 빼어난 오빠와는 늘 으르렁대는 사이. 자신의 존재조차 모르는 짝사랑 남(男)은 어렵게 시도한 페이스북 친구 신청을 거절하고, 유일하게 위로를 주던 10년지기 단짝친구는 하필 앙숙인 오빠와 눈이 맞아버렸다.

    영화는 이후 네이딘이 가족, 친구와 갈등으로 폭발하는 내용을 큰 줄기로 삼아 그 와중에 썩 괜찮은 ‘썸남’을 만나고, 짝사랑에게 부끄러운 문자메시지를 실수로 보낸 후 괴로워하며, 자살 전 고민 상담을 하러 찾아간 교사에게 돌직구 조언을 얻는 에피소드 등을 유쾌하게 엮는다.

    다소 걱정되는 건 흥행 여부다. 이 영화 개봉 전후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트랜스포머’ ‘스파이더맨’ ‘덩케르크’와 봉준호 감독의 ‘옥자’ 등이 스크린에 걸린다. 영화 홍보담당자는 ‘15세 관람가’라며 하이틴 관객 몰이를 은근 기대하는 눈치지만, 동년배의 성장기를 굳이 극장까지 가서 보겠다는 10대 관객이 얼마나 될까 싶다. 게다가 지랄발광까지 한다는데…. 그럼에도 제목의 거친 어감(원제 ‘The Edge of Seventeen’을 왜 이렇게 번역한 걸까)이나, 밋밋한 포스터에 비하면 들여다볼수록 매력적인 구석이 많은 영화다.



    객관적으로 대단한 사건이 아니더라도 ‘세상의 중심이 나’인 시절엔 외계인 침공 같은 충격에 휩싸이곤 한다. 10대 고유의 예민한 감성을 포착하되 무겁지 않은 톤으로 그려내는 것이 이 영화의 미덕이다. 자의식 과잉의 골칫덩어리 주인공은 (내 자식이 아니라는 전제 하에선) 깜찍한 면도 많다. 특히 후반부에 등장하는 귀여운 한국계 썸남과 달달한 로맨스는 화려하지 못한 사춘기를 보낸 여성 관객(“네, 접니다”)이라면 대리만족을 느끼며 흥미롭게 지켜볼 부분이다.   

    영화 말미, 네이딘은 자신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 역시 자기 못지않게 무거운 짐을 지고 살며 그 때문에 힘들어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한층 성장한다. 따라서 이 성장영화는 10대뿐 아니라 인생의 한 시절 자의식 과잉으로 민폐 혹은 ‘진상’ 짓을 한 경험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하다.

    한편 골칫덩어리 사춘기 자식을 둔 부모라면 ‘내 자식은 저보단 낫지’ 싶은 마음에 위안을 받을지도 모르겠다. 혹시 영화 주인공보다 못한 자식이라면 항간에 도는 ‘지랄 총량의 법칙’(평생 쓸 수 있는 ‘지랄’ 총량은 정해져 있다)이라는 말로 소소한 위로를 드린다. 실제로 10대 사춘기의 지랄발광은 하이틴 드라마로 사랑스럽게 포장할 수 있지만, 나이 든 이들이 그 같은 행동을 한다면  사회 고발물이나 스릴러로 장르가 바뀐다. 지랄발광 37세나 47세보단, 그래도 17세가 낫지 않나. .

    구가인은 두 아이의 엄마로 한때 ‘애 재우고 테레비’를 보다 이젠 평일 대체휴일에 조조영화도 보고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