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14/80/38/26/1480382684114.jpg)
정의당 경북도당의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4년간 박정희새마을대학원 석사과정에 몸담았던 학생 338명에게 학비, 생활비, 항공비 등 명목으로 지급한 금액은 총 56억8900만 원. 문제는 이 장학금 재원의 절반 이상이 세금이었다는 사실이다. 국비 9억2600만 원, 지방비 23억8800만 원으로 전체의 58%에 달했다. 영남대가 학교 예산으로 배정한 금액은 18억4700만 원(32%)에 불과했다. 정의당 측은 “학생 인당 평균 1600만 원씩 지원받았다”고 밝혔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지자체의 박정희새마을대학원 연평균 지원금은 6억 원. 반면, 국립대인 경북대가 지자체로부터 받는 지방비 장학금 지원액은 연간 5000만 원(경북대 장학처 통계)에 불과했다. 경북대 한 관계자는 “새마을사업에 대한 각 지자체의 지원 조례나 새마을운동조직 육성법에 따라 새마을사업을 주도적으로 펼치는 영남대를 더 많이 지원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를 감안하더라도 박정희새마을대학원에 지원되는 액수는 너무 크다”고 말했다.
영남대 인근 지자체나 장학재단, 대학 관계자는 대부분 “최외출 전 부총장의 지역 내 영향력이 각 지자체가 박정희 전 대통령이나 새마을운동과 관련한 사업에 엄청난 액수의 돈을 지원하는 배경일 수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최 전 부총장이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 중 한 명으로 분류되며 국내 새마을사업을 실질적으로 총괄하고 있다는 것은 웬만한 공직자라면 다 아는 사실이다. 박 대통령은 한때 영남대 학교재단인 영남재단의 이사장이었다.
이와 같은 의혹에 대해 최 전 부총장은 “약 40년간 정부 성격과는 관계없이 새마을운동 관련 공부에만 매진해왔다. 정당 입당도 거절했고 현 정부에서도 아무런 구실을 한 것이 없다. 새마을운동 발상지로서 개발도상국과 새마을운동을 공유하려고 장학금이나 행사 보조금을 지원하는 것일 뿐 특혜는 없다”고 못 박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