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 시대다. 음악계도 예외는 아니다. 브라운관에서 아이돌 아닌 가수를 만나기 점점 더 어려워지는 게 현실이다. 아이돌 특성은 ‘기획’에 있다. 자본, 즉 기획사가 주도적으로 연습생을 선발하고 훈련시켜 그룹을 만든다. 여기에 작곡가와 안무가 등이 붙어 그들을 완성한다.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음악 창작자’라는 개념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시스템이다.
그런 아이돌의 정반대편에 인디가 있다. 인디에 대한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원론적으로는 독립 유통 음반을 의미한다. 유니버설, 소니 BMG, 워너뮤직그룹, EMI 같은 메이저 레이블이 사실상 모든 음악 유통을 장악하는 미국이나 영국에서 메이저 레이블에 종속되지 않고 독자적인 제작, 유통 시스템을 갖춘 레이블을 인디 레이블이라 불렀다. 그리고 여기에 소속돼 활동하는 뮤지션을 인디 뮤지션이라 했다. 그게 시작이었다. 인디 뮤지션은 판매 실적과 활동무대가 열악한 대신 음악 창작의 자유를 보장받았다. 그 덕분에 메인스트림에서는 할 수 없는 온갖 실험이 가능했다. 대중음악 미학의 발전사는 일정 부분 인디 레이블과 인디 뮤지션 몫이었다.
그 개념이 1990년대 중반에 한국에 이식됐다. 홍대 앞을 중심으로 헤비메탈이 아닌 펑크와 얼터너티브 등을 연주하는 밴드가 등장하고, 그들이 공연하는 클럽이 각광받기 시작하면서부터다. 당시 인디 담론은 운동권 내지 진보진영이 주도했다. 그들은 인디에 정치적 함의를 부여했고, 그로 인해 ‘문화 게릴라’라는 프레임이 생겨났다. 그들을 조명하기 위해 매체는 스토리를 원했다. 자연히 그들의 음악보다 가난한 현실에 초점을 맞췄다. 그 덕에 한국 인디는 ‘지하실에서 라면을 먹지만 우리 자신의 음악이 있기에 행복하다’는 스토리를 입었다. ‘획일화한 대중음악에 저항하는 진짜 음악’이란 포장지도 덧씌워졌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그게 다는 아니다. 그런 인식이 조금씩 바뀐 건 스타가 등장하면서다. 크라잉넛, 노브레인, 언니네 이발관, 델리스파이스 같은 밴드들이 지상파에 진출했고 음반도 많이 팔았다. 그 덕에 문화 게릴라라는 표현은 씨알도 안 먹힐 소리로 쏙 들어갔다. 그 대신 ‘실력파 뮤지션’이란 표현이 자리 잡았다. 2000년대 이후 이른바 메이저 가수의 자질 논란이 극심해지면서부터다. 그 무렵 신인 가수를 소개하는 보도자료에 그들의 실력 을 증명하는 수사로 ‘홍대 인디밴드 출신’이란 문구가 자주 등장했다. 체리필터처럼 사실인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사실이 아니었다. 씨엔블루의 캐치프레이즈가 인디밴드인 것도 마찬가지다.
당시 인디 신이 자신들을 스스로 규정하지 않아서 생긴 해프닝이다. 홍대 음악=인디음악, 즉 로컬 음악을 의미하던 시절이다. 장르는 다양해지고 밴드 색깔은 더욱 다양해졌다. 일원화한 묶음이 불가능했다. ‘홍대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TV 출연보다 라이브에 역점을 두는 음악’이란 포괄적 합의가 부지불식간에 생겼다. 실력이 있는 것으로도 여겨졌다.
2008년 데뷔 앨범을 내기도 전에 이미 스타덤에 오른 장기하는 인디란 무엇인가를 다시 고민하게 했다. 최근 장기하뿐 아니라 요조, 국카스텐, 검정치마, 브로콜리 너마저 등 새로운 세대의 뮤지션이 주목받으면서 사람들이 다시 인디음악을 얘기하기 시작했다. 과거와 다른 건 문화 게릴라 혹은 실력파, 라이브 중심이 아닌 그저 인디음악에 대해 얘기한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다시 질문해보자. 지금, 인디는 무엇인가. 적어도 나는 대중음악의 X축과 Y축을 형성하는 예술과 상업 중 전자 쪽으로 기운 음악이라 말하고 싶다. 최근 그런 나의 생각을 뒤흔드는 일이 있었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선거 후보가 독립 야구팀 고양 원더스에 이어 인디밴드와의 만남을 추진한다는 뉴스를 봤다. 그런데 당 관계자 말이 걸작이다. “인디밴드는 그야말로 음악계 2군이라고 할 수 있다.” 충격적이다. 유명하지 않고, 돈을 많이 못 벌면 2군이란 말인가. 1군과 2군의 차이는 실력이다. 아이돌과 인디 뮤지션의 차이가 실력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하는 것인가. ‘돈벌이’로 주류와 비주류를 나누는, 문화를 바라보는 그런 시각이 진심으로 한심하다.
그런 아이돌의 정반대편에 인디가 있다. 인디에 대한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원론적으로는 독립 유통 음반을 의미한다. 유니버설, 소니 BMG, 워너뮤직그룹, EMI 같은 메이저 레이블이 사실상 모든 음악 유통을 장악하는 미국이나 영국에서 메이저 레이블에 종속되지 않고 독자적인 제작, 유통 시스템을 갖춘 레이블을 인디 레이블이라 불렀다. 그리고 여기에 소속돼 활동하는 뮤지션을 인디 뮤지션이라 했다. 그게 시작이었다. 인디 뮤지션은 판매 실적과 활동무대가 열악한 대신 음악 창작의 자유를 보장받았다. 그 덕분에 메인스트림에서는 할 수 없는 온갖 실험이 가능했다. 대중음악 미학의 발전사는 일정 부분 인디 레이블과 인디 뮤지션 몫이었다.
그 개념이 1990년대 중반에 한국에 이식됐다. 홍대 앞을 중심으로 헤비메탈이 아닌 펑크와 얼터너티브 등을 연주하는 밴드가 등장하고, 그들이 공연하는 클럽이 각광받기 시작하면서부터다. 당시 인디 담론은 운동권 내지 진보진영이 주도했다. 그들은 인디에 정치적 함의를 부여했고, 그로 인해 ‘문화 게릴라’라는 프레임이 생겨났다. 그들을 조명하기 위해 매체는 스토리를 원했다. 자연히 그들의 음악보다 가난한 현실에 초점을 맞췄다. 그 덕에 한국 인디는 ‘지하실에서 라면을 먹지만 우리 자신의 음악이 있기에 행복하다’는 스토리를 입었다. ‘획일화한 대중음악에 저항하는 진짜 음악’이란 포장지도 덧씌워졌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그게 다는 아니다. 그런 인식이 조금씩 바뀐 건 스타가 등장하면서다. 크라잉넛, 노브레인, 언니네 이발관, 델리스파이스 같은 밴드들이 지상파에 진출했고 음반도 많이 팔았다. 그 덕에 문화 게릴라라는 표현은 씨알도 안 먹힐 소리로 쏙 들어갔다. 그 대신 ‘실력파 뮤지션’이란 표현이 자리 잡았다. 2000년대 이후 이른바 메이저 가수의 자질 논란이 극심해지면서부터다. 그 무렵 신인 가수를 소개하는 보도자료에 그들의 실력 을 증명하는 수사로 ‘홍대 인디밴드 출신’이란 문구가 자주 등장했다. 체리필터처럼 사실인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사실이 아니었다. 씨엔블루의 캐치프레이즈가 인디밴드인 것도 마찬가지다.
당시 인디 신이 자신들을 스스로 규정하지 않아서 생긴 해프닝이다. 홍대 음악=인디음악, 즉 로컬 음악을 의미하던 시절이다. 장르는 다양해지고 밴드 색깔은 더욱 다양해졌다. 일원화한 묶음이 불가능했다. ‘홍대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TV 출연보다 라이브에 역점을 두는 음악’이란 포괄적 합의가 부지불식간에 생겼다. 실력이 있는 것으로도 여겨졌다.
2008년 데뷔 앨범을 내기도 전에 이미 스타덤에 오른 장기하는 인디란 무엇인가를 다시 고민하게 했다. 최근 장기하뿐 아니라 요조, 국카스텐, 검정치마, 브로콜리 너마저 등 새로운 세대의 뮤지션이 주목받으면서 사람들이 다시 인디음악을 얘기하기 시작했다. 과거와 다른 건 문화 게릴라 혹은 실력파, 라이브 중심이 아닌 그저 인디음악에 대해 얘기한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다시 질문해보자. 지금, 인디는 무엇인가. 적어도 나는 대중음악의 X축과 Y축을 형성하는 예술과 상업 중 전자 쪽으로 기운 음악이라 말하고 싶다. 최근 그런 나의 생각을 뒤흔드는 일이 있었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선거 후보가 독립 야구팀 고양 원더스에 이어 인디밴드와의 만남을 추진한다는 뉴스를 봤다. 그런데 당 관계자 말이 걸작이다. “인디밴드는 그야말로 음악계 2군이라고 할 수 있다.” 충격적이다. 유명하지 않고, 돈을 많이 못 벌면 2군이란 말인가. 1군과 2군의 차이는 실력이다. 아이돌과 인디 뮤지션의 차이가 실력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하는 것인가. ‘돈벌이’로 주류와 비주류를 나누는, 문화를 바라보는 그런 시각이 진심으로 한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