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306

..

부자 되려면 종잣돈보다 투자수익률, 투자 기간이 더 중요!

[김성일의 롤링 머니] 소액으로 시작해 투자 근육 키워야… 세상에 ‘가장 좋은’ 전략은 없다

  • 김성일 데이터노우즈 이사

    입력2021-09-14 10:00:02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강의하거나 유튜브에 출연할 때마다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종잣돈’에 관한 것이다. 종잣돈이 얼마나 필요하느냐는 질문인데, 아마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종잣돈의 필요성에 대해 들어서일 것이다. 필자는 종잣돈에 관해 다른 의견을 말하고 싶다.

    우선 종잣돈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경제> 부실기업을 살리기 위해 금융기관에서 새로이 융자해주는 자금, 2. 어떤 돈의 일부를 떼어 일정 기간 모아 묵혀둔 것으로, 더 나은 투자나 구매를 위해 밑천이 되는 돈’.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의미는 두 번째다. ‘투자 밑천’을 종잣돈이라고 한다.

    종잣돈, 투자수익률, 투자 기간의 상관관계

    ‘부자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고 상황에 따라 바뀐다. 부자의 기준을 돈 관점에서 보면 ‘자산 크기’라고 할 수 있다. 자산 크기를 늘리려면 어떤 요소가 필요할까. 우선 모두가 생각하듯 종잣돈이 필요하고, 거기에 투자수익률과 투자 기간이 추가된다. 이를 간단한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자산 크기=종잣돈×(1+투자수익률) ^ (투자 기간) 미래 내 자산 크기는 종잣돈과 곱하기(×) 관계를 갖는 데 비해 투자수익률, 투자 기간과는 제곱(^·캐럿) 관계를 갖는다. 즉 부자가 되려면 종잣돈 크기가 아니라 투자수익률과 투자 기간이 더 중요하다는 뜻이다. ‘수포자’인 내 딸처럼 수학 공식만 봐도 멀미가 나는 분들을 위해 간단한 예를 살펴보자.

    ‘표1’은 종잣돈이 1000만 원(0.1억 원)부터 5000만 원(0.5억 원)까지이고 각각의 수익률이 1~30%인 경우 10년의 투자 성과를 비교한 것이다. 종잣돈 1000만 원인 사람이 연 30% 수익을 올리면 10년 후 자산은 1억3800만 원이 된다. 이 금액은 5000만 원으로 시작한 사람이 수익률 10%를 냈을 때 자산인 1억3000만 원보다 더 크다. 즉 종잣돈 크기가 아니라 수익률 크기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표2’는 종잣돈이 1000만 원(0.1억 원)부터 5000만 원(0.5억 원)까지이고 수익률이 10%인 경우 투자 기간이 1~30년으로 달라질 때 투자 성과를 비교한 것이다. 종잣돈이 1000만 원인 사람이 연 10% 수익으로 30년간 투자했다면 잔고가 1억7400만 원으로 불어난다. 이는 종잣돈 5000만 원인 사람이 10년간 투자한 결과인 1억3000만 원보다 크며, 4000만 원으로 시작한 사람이 15년간 투자한 결과인 1억6700만 원보다도 크다. 즉 종잣돈 크기가 아니라 투자 기간이 더 중요하다는 얘기다.

    위 사례들을 통해 부자가 되는 데 더 중요한 요소는 종잣돈보다 투자수익률과 투자 기간임을 알았을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문제가 있다. 사람은 대부분 투자수익률에만 집중한다. 높은 수익률을 노리다 보니 위험이 큰 투자 대상을 선택한다. 인생을 바꾸는 방법이 높은 수익률이라고 생각해서다. 그러다 큰 위험을 겪게 되고 많은 손실을 입곤 한다. 실제로 세계적인 투자자로 이름난 이들의 투자수익률도 그리 높지 않다. 세계 부자 순위에 늘 이름을 올리는 워런 버핏의 연평균 수익률은 20% 수준이며, 조지 소로스나 피터 린치, 레이 달리오 같은 대가 역시 20%대 수익률을 기록했다. 다만 그들이 전 세계 투자자로부터 인정받고 큰 부를 일군 것은 매우 오랜 기간 투자를 지속하면서 큰 실패 없이 수익을 내왔기 때문이다.

    위험은 낮추고 수익은 높이는 자산배분 투자

    예금금리가 1%도 되지 않는 저금리 시대다. 투자 수익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해선 안 된다. 다만 투자에는 늘 위험이 따른다는 점을 기억하자. 위험을 조절하고 감당할 수 있는 범위에서 투자해야 한다. 자산배분 투자법은 포트폴리오 위험을 낮추면서 수익은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필자는 두 권의 졸저 ‘마법의 돈 굴리기’와 ‘마법의 연금 굴리기’를 통해 자산배분 투자를 소개한 적이 있다. 전문 번역가가 아님에도 윌리엄 번스타인의 ‘현명한 자산배분 투자자’를 번역한 바도 있다. 자산배분 투자는 안정적이지만 수익률이 높지 않다는 단점을 지닌다.

    세상에 ‘가장 좋은’ 투자 전략이라는 것은 없다. ‘최적’의 포트폴리오나 ‘최선’의 배분 비율 따위도 없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투자 철학에 부합하는 적절한 전략을 찾고 잘 실천하는 것이다. 또한 앞서 검토한 것처럼 투자 기간을 길게 가져가야 한다. 투자 기간을 늘리는 방법은 하나다. 투자를 일찍 시작하는 것이다. 사회초년생이 되면 투자를 시작하라고 권하고 싶다. 종잣돈이 단 100만 원만 있어도 투자를 시작할 수 있다. ETF(상장지수펀드)를 이용한 자산배분 투자는 그 정도 종잣돈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 소액으로 시작해 투자 근육을 키우고 금융 지식을 쌓아가길 권한다. 수익이 쌓이는 잔고를 보면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소비가 줄면 투자금이 쌓이는 속도가 빨라진다. 잔고가 불어나는 속도에 가속도가 붙는 것이다. 이것이 부자로 가는 길이다.

    김성일은… 홍익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오랫동안 국책은행에서 IT(정보기술)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은행원이 아닌 두 아이를 둔 가장으로서, 평범한 월급쟁이로서 ‘돈을 어떻게 굴려야 할까’ 고민한 끝에 자산배분이 정답이라고 결론 내렸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 금융전문가 과정을 수료하고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금융공학 MBA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는 ‘마법의 돈 굴리기’ ‘마법의 연금 굴리기’가 있다.

    *포털에서 ‘투벤저스’를 검색해 포스트를 팔로잉하시면 다채로운 투자 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