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는 최근 대선 주자들 간 극한 대치를 불러왔던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지 않는 대신 경쟁력 조사라는 절충안을 제시하며 돌파구를 마련했다. 최종 후보를 뽑을 때 진행하는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민주당) 후보와의 본선 경쟁력을 묻기로 결정한 것이다.
국민의힘은 예비경선을 통해 후보를 4명으로 압축한 뒤 11월 5일 당원 투표 50%와 일반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최종 후보를 선출할 예정이다.
본선 경쟁력을 묻는 설문 방식은 민주당 대선후보와 국민의힘 대선주자 간 양자대결 형태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정홍원 선관위원장은 9월 5일 “여권 유력 후보와 우리 후보를 일대일로 놓았을 때 어떤 게 나올지 이런 걸 측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1·2차 예비경선서 당심 확인될 듯
![국민의힘 정홍원 선거관리위원장(가운데)이 9월 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공정경선 서약식’에서 윤석열 전 검찰총장(오른쪽)과 인사하고 있다. [동아DB]](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61/38/5f/72/61385f72089fd2738276.jpg)
국민의힘 정홍원 선거관리위원장(가운데)이 9월 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공정경선 서약식’에서 윤석열 전 검찰총장(오른쪽)과 인사하고 있다. [동아DB]
일각에선 “일대일 가상대결로 본선 경쟁력이 제대로 측정될 수 있겠느냐”는 회의적 시각도 나온다. 정권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국민의힘 지지층은 결집력이 높기 때문에 어느 대선주자를 양자대결 여론조사에 넣더라도 유의미한 격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여론조사 응답자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의 후보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는 만큼 후보의 경쟁력보다는 정당을 보고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나온다.
당 안팎에선 당원들의 표심이 후보 선출에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일대일 가상대결 여론조사에서 어느 후보가 더 우세한지 판단할 수 있을 만큼 격차가 나지 않을 경우 50%가 반영되는 당원 투표에서 판가름이 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해 당원 투표 비율이 각각 20%와 30%가 반영되는 1차 예비경선(9월 15일)과 2차 예비경선(10월 3일) 결과에 관심이 모아진다. 국민의힘 핵심 지지층인 당원의 표심을 통해 어느 주자가 당심을 확보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본선 경쟁력’ 조사가 도입되면서 네거티브 공방이 경선 과정에서 치열하게 벌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정책 대결보다는 흠집 내기를 통해 상대적으로 자신의 본선 경쟁력을 높이려는 전략이 펼쳐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