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 · 노경]
서울 중구 동호로 주택가에 둘러싸인 서향의 사무빌딩 아산나눔재단 사옥. [사진 제공 · 노경]
● 준공 2017년 9월
● 설계 와이즈건축(장영철·전숙희)
● 수상 2018 서울시 건축상 우수상
건축계에는 부부 건축가가 많다. 지난번 프리츠커 프로젝트로 소개된 ‘삼각학교’를 설계한 네임리스건축의 나은중·유소래 부부처럼 와이즈건축 역시 장영철·전숙희 부부가 공동설계를 한다.
와이즈건축은 기발한 건축설계로 유명하다. 어둠 속에서 다른 감각으로 공간을 체험하게 하는 서울 북촌의 전시 공간 ‘어둠 속의 대화’와 서울 마포구 성미산 주택가의 330㎡(약 100평) 공간을 종군위안부 할머니들의 기억으로 아로새긴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이 대표적이다. 장영철 대표는 ‘가라지 가게’라는 공방도 운영한다. 서울 성동구 금호동 와이즈건축 사옥 1층 차고(garage)에 세웠다고 가라지 가게가 된 이곳에선 자작나무 합판을 이용해 다양한 수납공간을 창출하는 선반, 의자, 데스크를 제작하는데 독특한 작품으로 미술계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의표를 찔렸다. 장영철·전숙희 부부에게 와이즈건축의 작품 중 하나를 자천해달라 했더니 아산나눔재단 사옥을 골랐다. 사진상으로는 회색빛 격자무늬 사무실 건물이라 다소 평범해 보였다.
부부는 이 사옥을 고른 이유로 “건축의 기본으로 돌아가게(Back to Basic) 만들어준 작품”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호기심이 생겼다. 평범해 보이는 건축 안에 뭔가 비범한 것이 숨어 있다는 기대가 생겼다. 그래서 서울 중구 신당동에 있는 사옥을 직접 보러 갔다.
좁고 길쭉하게 사무공간을 쌓아올리다
8층 회의실 공간에 위치한 대나무숲 공중정원. [사진 제공 · 노경]
지하 2층의 다목적 강의실. 방음장치와 특수조명이 설치됐으며 최대 80명까지 수용이 가능하다.[지호영 기자]
지하 1층 로비 공간. 동호로에서 들어오하면 1층에 해당하지만 건물 뒤편에서 접근하면 지하 1층이다. [지호영 기자]
아산나눔재단은 현대그룹 창업주인 아산 정주영 회장 서거 10주기를 기념해 2011년 설립된 공익재단이다. 고인의 창업정신을 기려 청년창업 인큐베이팅 사업을 펼치고 있다. 별도 사옥을 짓기 전에는 전 직원이 297㎡(약 90평) 규모의 사무실에서 일했다. 그러다 사옥을 지은 뒤 6~7층을 쓰는데도 전체 사무공간은 오히려 264㎡(약 80평)로 줄었다. 4~5층은 협력업체 대여 공간이고, 2~3층은 주차 공간, 1층~지하 2층은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강의실 및 상담실로 구성돼 있다. 지하 3층은 기계실.
사옥이 들어선 공간은 고도제한이 있어 원래는 6층 높이밖에 지을 수 없었다. 그런데 주차장을 지하가 아닌 지상에 설치하는 아이디어로 고도제한을 풀고 2개 층을 더 쌓아올릴 수 있었다. 아산나눔재단 사옥은 경사로에 위치한다. 그래서 동호로 쪽 정문으로 들어오면 만나는 로비가 지하 1층이고 그 뒤편으로 들어오는 후문이 1층에 해당한다. 그 1층에서 기계식 주차로 2~3층에 14대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게 해 보너스 2개 층이 더 생긴 것이다.
재단 사무공간으로 쓰이는 6~7층. 가운데 공간을 뚫고 계단과 중간층을 설치한 라이브러리 구성으로 시각적 공간감을 확장하면서 추가 공간까지 만들어냈다. [사진 제공 · 노경]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내부 기둥이 없는 ‘무주(無柱)공간’을 만든 점도 주효했다. 10×15m 크기 공간의 사방 콘크리트 기둥과 기둥 사이의 콘크리트 관에 활시위처럼 휘어질 정도로 팽팽하게 당긴 강철 와이어를 삽입해 하중과 충격을 견디게 하는 포스트텐션 공법을 적용했다.
빛에 따라 숨쉬는 얇고 고운 피부
8층의 좌담공간. 오후 시간대라 블라인드가 많이 내려졌음에도 자연조명으로 환하다. [지호영 기자]
‘외부 베네시안 블리안드(EVB)’가 장착된 아산나눔재단 사옥의 격자형 창호. 2~3층 주차장의 블라인드는 내려져 있고 나머지 층은 옥상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블라인드가 작동되지만 각 층마다 수동조작도 가능하다. [사진 제공 · 노경]
또 다른 착시현상이 있다. 이 격자창마다 블라인드가 달려 있다. 보통 블라인드는 건물 내부에 다는데, 이 건물은 창 외부에 일괄적으로 달아놓았다. 그것도 가느다란 강철실로 연결된 알루미늄 재질의 특수 블라인드다. 햇빛이 강한 이탈리아 도시 베네치아에서 개발됐다고 해 건축계에선 ‘외부 베네시안 블라인드(External Venetian Blind·EVB)’라고 부른다.
아산나눔재단 사옥의 EVB는 옥상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태양의 고도와 층별 입사각에 맞춰 통합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국내에서는 최초이고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쉽지 않다고 한다. 예를 들어 정면창의 경우 서향이라 아침에는 블라인드가 다 올라가 햇빛이 잔뜩 들게 하고, 해가 길어지는 오후에는 블라인드가 내려가 차단한다. 단, 주차장이 있는 2~3층의 블라인드는 늘 내려져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낭비를 최대 40%, 특히 여름철 냉방 부하는 최대 80%까지 줄이는 효과가 발생한다.
28개 알루미늄 금형을 조립해 EVB와 외벽, 창과 창호를 일체화해 두께를 30cm가량 줄인 ‘펑션 원’(왼쪽)이 결합된 구조. 지하 1층 로비에서 서쪽 창호를 바라보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지호영 기자]
태양 고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돼 있는 옥상. 또 잔디를 깔아 여름엔 열기를 차단하고 겨울엔 단열 효과가 발생한다. [지호영 기자]
일찍이 니체는 “심층 같은 것은 없고 오직 표층만 있을 뿐”이라고 했다. 아산나눔재단 사옥이야말로 이 표현에 딱 들어맞은 건축이다. 좁은 실내공간을 확장하고자 얇으면서도 잡티 없이 맑은 피부, 햇빛에 강하면서도 관리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건강한 피부를 빚어냈기 때문이다.
전숙희 소장은 “건축의 본질에 충실하자는 생각으로 기술적, 미학적 돌파구를 찾다 보니 처음엔 생각도 못 했던 건축적 해답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격물치지(格物致知)의 경지에 눈을 뜬 기분”이라며 “예술적 심미안이나 기술적 성취를 앞세우기보다 해당 건축의 본질을 읽어내는 데 충실하자는 목표 의식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